오마카세라는 단어를 패러디한 '고마카세' 독서 모임을 시작한 지 3개월이 되었다. 매 회차마다 다른 참여자를 모집해서 진행할 계획이었는데, 계획과 달리 동일한 참여자들이 이어지고 있다.새로운 멤버를 충원하는 공지를 블로그에 올렸지만, 좋아요가 참여 신청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예전 같으면 왜 신청자가 적을까 라는 고민을 오래 했을 것이다. 지금은 고민하되, 오래 고민하지 않는다.나의 능력 없음으로 원인을 돌리지도 않는다. 다만 3회째 함께하는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며 나의 역할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어떤 사람이고, 그들과 어떤 이야기를 해야 하고, 나는 어떤 역할로 도움이 될 수 있는가 하고.
정말 감사하게도 그들로부터 통찰, 이끎, 감동 등 살면서 쉽게 듣기 힘든 단어들로 인정받고 있다. 행복이라고 표현하기에 부족해서 곰곰이 내 마음을 들여다보니, 그들의 피드백이 나 스스로에 대한 믿음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하다.
잘하지 못하지만 계속하길 잘했다.
어렸을 때부터 책 읽는 게 좋았다.
책 읽기를 좋아하는 유전자가 dna에 있었는가 하면,
그렇지는 않았던 것 같다.
책을 파는 영업사원이 학교 교실에 들어와 직접 홍보가 가능했던 시절, 사은품으로 주는 일회용 카메라가 무척 갖고 싶었던 기억이 있다. 그저 카메라가 갖고 싶어서 가난한 줄 뻔히 알고도 전집을 사달라고 졸랐다.
이후로는 현실에서 눈 돌리고 싶을 때 책을 찾았고, 그때의 내가'도망가고 싶은 마음'이었다는 사실은 어른이 되어서야 깨달았다.
도망가고 싶은 날들이 많았던 나는 그렇게
책 읽는 사람이 되었다. 책읽기 말고는 할 줄 아는 게 없어서 국어교육과에 입학했고,세 번의 임용 끝에 교사가 됐다.
우연히 아이들과의 독서 토론에 재미를 붙이며 내가 정말 좋아할 만한 일을 찾았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인지했다.
나의 '호'를 확신하지 못한 이유는
참여자를 리드하는 호스트로서의 역할에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다. 좋아한다고 말하려면 잘해야 할 것 같았다.
게다가 나는 국어교사가 아닌가.
그나마 잘하지도 못하면서 그저 좋아서 꾸준히 해 온 것이
스스로 칭찬할 만한 일이었다.
십 년이 넘게 호스트로, 때로는 참여자로 독서 모임을 했다.
그림책도 읽고, 청소년 소설도 읽고, 한강의 소설도 읽었다.
아이들과 토론했고, 어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시간이 내 옆을 그냥 흐르기만 한 것은 아니었는지,
나는 이제 확실하게 독서모임을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다.
여전히 잘한다고 내세울 수는 없지만,
읽고 싶은 책이 있을 때 같이 읽자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됐다.
타인의 인정과 칭찬은 이런 나의 변화 위에서 얻게 된 큰 결실이다. 그토록 얻고 싶었던 타인의 인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고맙다고 말할 수 있게 되기까지 참 많이 돌아온 것 같지만, 딱히 다른 길이 있었을것 같지도 않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만의 '호'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힘껏 껴안기를 주저한다.
좋아하면 뭐 해, 써먹을 데가 없는데. 좋아한다기보다, 그나마 할 줄 아는 거지. 좋아하기만 하지, 잘하지는 못해.
자신의 호를 알아챌 수 있는 것도 분명 능력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내가 좋아해 주지 않으면, 누가 대신 좋아해 줄까.
나를 인정하는 일은 어렵지 않다. 좋은 것을 좋다고 말하면 된다. 말하고 나면 좋은 일이 생길지언정, 절대 큰일 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