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준영 Jul 09. 2020

비행 학교

"선택은 신중하게"

유학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항공사에 종사하는 현직 조종사와 조종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가입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접속하였다. 서너 군데 적극적으로 광고하는 곳도 있었는데 대부분 한국인 에이전트가 소개비 명목으로 비싼 수수료를 받고 있었다. 가히 항공강국이라 할 만큼 미국에는 비행학교가 다. 그 가운데 대다수 한국 학생들이 선택하는 비행학교는 극소수다. 선택 기준은 학교가 위치한 곳의 날씨, 한국 학생 수, 혹은 저렴한 학비 등 다양하였는데 과거 A항공에서 예비 조종사를 뽑아 운항인턴을 보냈던 학교에는 전체 학생 200여 명 가운데 한국 학생 수가 절반이 넘다.


리버사이드 플라이트 센터 비행기들

한국인 교관도 많았고 심지어 한국어로 번역된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A항공 교육기관이었다는 입소문에 한국 학생들이 줄을 잇는 듯 보였다. 나는 가급적 한국인들이 드문 곳을 가고 싶었다. 새로운 경험을 만끽하려면 익숙한 것으로부터 벗어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 일 년 내내 따뜻한 애리조나의 날씨는 비행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았다. 반면 플로리다의 경우 봄에 토네이도가 덮칠 정도로 날씨가 나쁘지만 한국 학생들이 많이 찾는 곳이었다. 미국은 일교차도 크고 날씨가 변화무쌍하였다. 파일럿은 비 오고 눈 내리는 흐린 날씨에도 비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날씨 변화가 잦은 곳이 비행 배우기에는 더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날씨는 학교 선택 기준에서 제외하였다. 문제는 비용이었다. 미국의 어느 비행학교를 가더라도 모든 과정을 마치는 데는 1억 가까운 비용이 든다. 한 시간 비행기를 타는데 드는 비용만 100달러가 넘었다. 최소 300시간을 요구하는 국내 항공사의 부기장 지원 요건을 충족하려면 미화 7만 불이 필요하였다. 여기에 교관 비용과 체크 라이드 비용, 교재, 생활비를 추가하면 비용은 점점 더 불어난다. 나는 그동안 직장 생활을 통해 벌어 둔 돈을 모두 쏟아 붓기로 결심하고 내 예산에 맞고 한국인이 적은 곳으로 학교를 선택하였다.

이전 01화 클리어 프롭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