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테호른 Dec 20. 2022

성공의 필수 요소 ‘자신감’ 키우는 법



어떤 일을 자기 능력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믿는 마음을 일컬어 ‘자신감’이라고 한다. 어떤 사상이나 생각을 굳게 믿으며, 그것을 적극적으로 실현하려는 ‘신념’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감이 가득한 사람은 어떤 행동을 하건 대범하게 행동하기에 결과의 도출 역시 매우 빠를 뿐만 아니라 결과가 좋지 않아도 절대 실망하지 않는다. 다음에는 다를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신감이 없는 사람은 다르다. 그들은 어떤 일을 할 때마다 머뭇거리기 일쑤며, 이는 결국 실패로 이어진다. 문제는 그것이 무의식을 지배해서 습관처럼 굳어지면 어떤 일도 해낼 수 없다는 것이다. 


자신감이 떨어지는 사람일수록 자기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감은 자아 존중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감이 없으면 무슨 일이건 쉽게 포기하고, 실패할 것 같은 일은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에게 무조건 의존하려고 한다. 나아가 매사에 부정적일 뿐만 아니라 일이 잘못되면 무조건 남 탓하기 일쑤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어떤 일에서 성공하려면 자신감을 반드시 지녀야 한다. 어떻게 하면 자신감을 키울 수 있을까?


자신감을 키우려면 어떤 부분에서 자신감이 부족한지 철저히 파악한 후 삶에 실제 변화를 가져다줄 생각과 행동을 적극적으로 끌어내야 한다. 그러자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


첫째, 합리성과 자기통제 능력을 키워야 한다. 자신을 자율적으로 통제하고 다스릴 수 있는 사람만이 자신감 있는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삶을 즐겨야 한다. 자기 행동이 가져오는 결과가 즐거울수록 스트레스는 줄고, 자신감은 커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생활이나 일을 통해 자신감을 키워야 한다. 


셋째, 실수와 실패에 관대해야 한다. ‘실수하지 않을까’, ‘실패하면 어떻게 하지’라는 생각은 자신감은 물론 자존감 역시 무너뜨린다. 실수와 실패는 누구나 반드시 겪는 일이다. 그러므로 그것에 사로잡혀 기운 뺄 필요는 전혀 없다. 그럴수록 자신감은 떨어지고 삶만 힘들어진다. 


넷째, 자신이 할 일을 직접 선택하고 책임져야 한다. 어떤 일에 대해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면 누구나 그 상황을 자신이 주도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즉,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 나아가 일의 결과가 좋으면 자신 역시 이바지했다는 긍정적인 경험을 갖게 되는 것은 물론 자신감 역시 훨씬 커진다. 


다섯째, ‘나는 할 수 있다’라는 주문, 즉 자기암시를 통해 자신을 격려하고, 자신이 ‘특별한 사람’임을 스스로 인식해야 한다. 실례로, 2016년 브라질 리우올림픽 남자 펜싱 에페 결승에서 박상영 선수는 ‘할 수 있다’라는 자기암시를 통해 9대 13으로 뒤지던 경기를 15대 14로 뒤집으며 기적과도 같은 승리를 거두었다.


단, 근거 없는 자신감은 버려야 한다. 그것은 오만과 만용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오만과 만용은 실제보다 자신을 부풀리기에 십상이다. 그러다 보니 열등감이 심한 사람일수록 그것을 자신감으로 착각해서 허세를 부리곤 한다. 실력이나 실속은 없으면서 겉으로만 뭔가 있어 보이는 척하는 셈이다. 그것은 진정한 자신감이라고 할 수 없다. 진정한 자신감은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전 05화 생각을 ‘힘’과 ‘능력’으로 바꾸는 법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