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병섭 Oct 05. 2022

나는 아무렇지 않은 척을 해야했고

겨울잠. 아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ExVYl_Kx8yM




지금부터 내가 좋아하는 노래에 대해 소개 해보겠습니다. 노래의 제목은 ‘겨울잠’입니다. 지금부터 이노래에 문학적표현이 들어간 가사에 대해 소개하고 어떠한 표현이 사용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소개 해보겠습니다.‘      


먼저 가사를 소개 해보자면 ’때이른 봄 몇송이 꺾어다 너의 방문 앞에 두었어. 별 띄운 여름 한컵 따라다 너의 머리맡에 두었어’라는 가사이다. 이가사는 대구 라는 문학적 표현이 들어가 있는데 대구는 앞구절과 뒷구절이 짝을 이루어 강조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이 가사의 상황은 방 앞에, 방안에서 누군가에게 꺾은 봄과 별 띄운 여름 한 컵을 두며 말해주고 있는 상황이다. 상황 속 봄과 여름을 가져다 준 사람이 자신이 떠나보낸 친구에게 그 친구가 떠난 후에 봄이 오고 별이 떴고, 그러한 모습이 보이고 나타나고 있는데 말하는이는 큰 상실감을 가지고 있는데에도 너에게도 그 풍경과 모습을 보여주고 알려주고 싶다는 마음을 강조 하는 의미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봄과 관련된 나의 경험이 있는데 어릴적 오빠와 엄마와 같이 어린이 대공원에 가서 벛꽃 구경도 하고 같이 뛰어 다니며 자전거도 타고 사진도 찍은게 사진 첩에 남아있는데 그사진을 보면 그때에 아름다웠던 풍경과 그때의 춥지않고 따뜻했던 그 느낌이 아직도 난다. 그래서 매년 돌아오는 봄을 느끼고 볼때마다 가족들에게 그 봄을 그때로 느끼게 해주고 싶었던 경험이 있다.      


다음으로 소개해줄 가사는 ‘빼곡한 가을 한 장 접어다’라는 가사이다. 이가사는 활유라는 표현이 나타났다. 활유란 생물이 아닌 것을 생물인 것처럼 비유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 가사의 상황은 가을이라는 계절을 느끼고, 보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 다른 그리운 사람을 위해 가을을 접어주려고 하는 상황이고, 이 가사의 상황에 대한 의미를 파악해보자면 가을이라는 따뜻해보이면서 차가운 계절을 노랫속에서 말하고 있는 ‘너’라는 사람도 느끼게 해주고 싶어하고, 생물이 아닌 가을은 접을 수 없는데 마치 접을 수 있는 종이처럼 접어서 주고싶을 만큼 그 순간의 감정과 기분을 이야기해주고 싶은 마음이 담겨져 있는 것을 알수 있게 된다.      


또한 가사의 상황을 예로들자면 나도 굉장하지는 않지만 기억에 남는 추억이 있다. 초등학생때에 있었던 일인데 나의 엄마께서는 계절마다 피는꽃을 책 사이에 끼워둘 뿐만 아니라 바닥에 떨어진 나뭇잎을 주워서 책사이에 끼워놓고  시간이 지나면 그 나뭇잎을 꺼내 나의 준비물이나 엄마의 취미생활을 하셨을 때 쓰셨던 모습을 보았고, 나도 학교에서 그 나뭇잎을 사용할때에도 정말 예쁘다 라는 생각을 자주했었고, 엄마가 그렇게 하신 덕분에 내가 좋아하는 것도 점점 엄마가 나에게 보여주시고 알려주셨던 거라는 것을 내가 커갈수록 이해하고 알게 되었던 추억이 있다,    

  

그 다음으로 소개해볼 것은 내가 이가사를 보고 고르게된 명가사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 멋지다고 생각한 이유에 대해 소개 해보고자 한다. 내가 고른 명가사는 바로 ‘언제나의 아침처럼’이라는 가사이다. 이가사는 중간 부분과 마지막부분에 언틋 보이는 가사인데 이가사의 상황을 내가 생각하기엔 누군가를 깨어나길 기다리면 조급해하거나 다그치는 것없이 편하게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을 한다. 내가 이가사를 멋지다고 생각하게 된이유는 어떤 사람이 든지 사람을 기다리든, 물건을 기다리든 바쁘지 않는 이상 여유롭게 다급하게 기다리지 않고,편하게 기다리며 언제든 올 아침을 맞이하듯 기다리는데, 이때 기다림을 언제나 올 아침으로 비유해 표현했다는 점이 멋지면서 기다리는 무언가에 대한 배려를 느낄수 있었던 것 같았기 때문이고,저녁으로 가사를 쓸 수도 있었겠지만 밝고 따뜻하고 상쾌한 느낌의 단어인 ‘아침’으로 기다림을 표현 하였다는 점에서도 멋지다고 생각이 들었던 것 같아 고르게 되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노래와 관련된 경험이 있다면  그중에 하나는 나의 엄마와 관련된 경험이다. 나도 엄마가 어느날 생긴 아픔으로 인해 고생을 하시고 힘들어 하시다가 원치않는 이멸을 하게 되었다.그날 이후 나는 그리움에 매일 눈물을 흘렸고, 슬픔에 잠겨 어떤일을 하든 잘 되지 않으면 매번 엄마생각이 떠오르면 눈물이 났었다. 그럴때마다 나의 학교에서든,집에서든,밖에 나가 아는 사람을 만나도 나는 아무렇지 않은 척을 해야했고, 나의 상황을 아는 사람은 슬픔의 상황을 같아 겪은 가족들과 1~2명의 친한 친구 선생님 뿐이여서 학교에 친구들과 같이 있을 때 내가 그친구들이 겪지않아 이해하지 못할 이야기를 꺼내 괜히 상황을 어둡게 만들고  싶지 않은 순간들이 있었고, 그후에 이노래의 가사들처럼 나도 엄마에게 오고,  고 있는 계절들을 같이 느끼게 해주고 싶었고, 하고 싶은 말들이 많은데 직접적으로 하지 못하고 기다려야 한다는 점이 나의 상황을 대신해 표현해준 느낌이 들었던 것 같았고, 가사중에 ‘깨어나면 이야기 해줄거지? 라는 가사가 있는데 마치 노래에서처럼 아직 깨어나지 못한, 깨어나지 못하는 사람에게 말을 하는 것처럼 나도 보고 싶고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은 엄마에게 이 말을 혼잣말로 했던 경험이 떠올랐다. 그때마다 나는 후회와 그리움, 아쉬움 등 많은 감정들과 생각, 기억에 너무나 고통스러웠었다. 또한 이 노래는 겪은 사람은 너무나도 많이 공감이 되는 말들이 담겨있다고 생각이 드는 것 같고, 이러한 슬픈,아픈 일을 겪지않은 사람도 어느정도는 이해 할 수 있는 가사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전 17화 창모는 알고 있을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