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쪼하 Aug 18. 2022

DAO와 ESG-'거버넌스'로 접근

<DAO, 조직 문화를 바꿔다오!> 4편

요새 ESG가 화두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거버넌스(Governance)를 아우르는 단어로, 기업의 주요 성과지표로 자리 잡고 있다. 요 근래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로 그 역사는 상당히 오래됐다는 점에서 이전에 소개한 DAO와 웹 3.0과 비슷하다. ESG란 용어 자체는 사실 UN 글로벌 콤팩트(UNGC)의 2004년 8월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했다. 


그럼에도 ESG가 대중에게 퍼진 지는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폭염 등으로 모두가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다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ESG도 이목을 끌기 시작했다. 2025년이 ESG 확산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각 국가마다 ESG를 본격적으로 제도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는 자산총액 2조 원 이상의 상장사,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에 의무 공시를 적용한다. 유럽은 2021년 3월부터 역내 활동 금융사에 '지속가능 금융 공시제도(SFRD)'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는 이를 모든 상장사로 확대한다. 홍콩도 2025년까지 금융기관 및 상장기업에 기후 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기준에 맞춰 ESG 정보 공개 의무를 부과할 예정이다. 


ESG와 가상자산(암호화폐)이 무슨 상관이냐고 물을 수 있다. 아직까지는 완전 별개의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어서다.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두 영역 간 연관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 비트코인 현물 투자 펀드를 출시한 블랙록은 ESG 경영에서 가장 큰 목소리를 내고 있는 자산운용사다. 블랙록은 ESG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발표를 하기도 했다. 


또, 두나무의 자산총액이 10조 원을 넘어선 것을 고려하면 2025년부터 일부 가상자산사업자는 ESG 공시 의무를 적용받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위와 같은 단편적인 사실들로만 두 영역을 연결하기란 뭔가 미흡해 보인다. 


사실 ESG와 가상자산을 연결할 수 있는 키워드는 바로 '거버넌스'다. 그중 DAO는 의결권 역할을 하는 거버넌스 토큰을 가진 구성원이 조직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토큰 거버넌스를 구현하고 있다. 마침 ESG에 대한 초점도 E(환경)에서 G(거버넌스)로 옮겨가는 추세다.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김진성 한국기업 지배구조원 ESG평가팀장은 ESG 등급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로 거버넌스를 꼽았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보다도 더욱 거버넌스 개선이 필요하다. 오너 일가가 실제로 과반수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서도 계열사의 출자 관계를 통해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그러다 보니 일반 주주는 기업의 결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대표적으로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의 물적 분할은 거버넌스 차원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LG화학의 핵심 사업인 2차 전지 배터리가 분리되면서 LG화학 주주들이 타격을 받았다. 실제로 LG화학 주가는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한 2022년 1월 27일부터 하락하더니 2022년 3월에는 최저가 43만 7000원을 기록했다. 2021년 2월 최고가(105만 원)에서 1년 만에 반 토막이 났다. 


주로 소액 주주인 개인 투자자들은 그 과정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이와 달리 DAO는 보유한 거버넌스 토큰 수량에 따라 의사결정권을 부여한다. 개인 투자자라고 해도 거버넌스 토큰이 있다면 조직의 의사결정에 관여할 수 있다. 여기서 거버넌스 토큰은 일종의 의결권 역할을 한다. 그 토큰은 DAO에 자산을 예치하거나 제안을 내놓는 등 네트워크에 기여한 데 따른 보상으로 받는다. 


증권 시장의 소액 투자자보다 인베스트먼트 DAO 구성원이 기업의 투자 결정에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글로벌 코인 리서치(GCR)는 구성원 중 $GCR 토큰을 700개 이상 소지한 구성원에게 투자 프로젝트 제안과 집행 자격을 부여한다. DAO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투자를 유치하도록 최소 보증금을 매긴 셈이다. 대신 프로젝트 투자가 성공적으로 종료된 경우, 투자 참여자들은 그 이익의 6%를 갖게 된다. 그중 투자를 주도한 구성원은 성공 보수뿐 아니라 GCR 토큰까지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다. 이렇게 DAO를 자발적으로 꾸려나갈 동기를 부여한다. 


(최초의 인베스트먼트 DAO인 '메타 카르텔 벤처' DAO는 이런 수익 구조로 인해 현재는 구성원 대부분이 경제 활동에서 졸업했다고 한다.)


주식 보유자는 자신이 투자한 기업이 성과를 내면 그 이익의 일부를 배당금으로 돌려받는다. 문제는 배당금 규모가 그리 만족스럽지 않다는 거다. 인베스팅 닷컴에 따르면, 국내 대장주 삼성전자의 1분기 배당금 수익률은 2.06%, 2분기 배당금 수익률은 2.43%에 그친다.  


흥미로운 점은 인베스트먼트 DAO뿐 아니라 대부분의 DAO들은 '환불' 기능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투자처뿐 아니라 DAO의 규칙을 바꿀 수 있는 제안이 구성원 대다수의 찬성을 받아 통과했지만, 몇몇 구성원은 그 제안에 여전히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아니면 DAO가 설립 목적을 이루는 데 실패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컨스티튜션 DAO'는 미국 헌법 초판을 구매하자는 취지로 결성됐으나, 결국 낙찰받지 못했다.) 그 경우 DAO는 거버넌스 토큰을 이더리움(ETH) 등 다른 네트워크에서 쓸 수 있는 가상자산으로 돌려준다.


주식을 매도하면 의결권이 사라지는 것과 일견 비슷해 보이나, 사실은 다르다. DAO의 환불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DAO의 토큰 거버넌스를 훑어봤다. 일반 기업보다는 DAO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좀 더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듯하다. 다만, DAO의 거버넌스는 하나의 참고 사례에 그친다. 현재 당면한 기업의 거버넌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되기 어렵다. (제도 미비 등의 문제로)  


또한, DAO의 거버넌스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번거로운 의사 결정: 모든 구성원이 모든 제안에 다 투표해야 한다?

독과점 현상 발생: 토큰이 많은 이에게 권한도 쏠린다!

대표/임원의 부재: 조별 과제처럼 흐지부지될 수도...


그렇다면 여러 DAO들은 이런 한계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 다음 편에서는 DAO의 한계와 그에 대한 해결책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