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나팍크 May 25. 2024

12호. 가족은 칡과 등나무처럼 얽혀서


지난 부처님 오신 날에 들렀던 석굴암에서 등나무를 보았다. 정자 인근에서 자리하며 사람들에게 시원한 그늘막을 만들어주고 있었다. 그걸 본 아빠가 우리에게 물었다.


‘너네, 갈등의 어원이 뭔지 아나?’


갈등(葛藤)이란 말은 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힌 모양새에서 나온 말이다. 칡도 등나무도 다 각자의 고유한 쓰임새가 있다. 약재로도 쓰이고 조경용 수목으로도 쓰이고. 그러니까 각각은 사람들을 치유하거나 쉼터를 제공해 주며 지치고 아픈 사람들을 쉬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둘은 아주 독특한 특성이 있는데 바로 두 녀석이 만나면 반대방향으로 돌며 서로가 서로를 옭아맨다는 것이다. 서로를 옭아매는 것은 물론 그 가운데 있는 각종 수목들을 고사시켜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될 정도이다. 갈등. 있는 힘껏 붙어서 그 무엇보다 가까운 사이지만, 계속해서 다투고 옭아매는 그것.


가족은 내가 기억이 없던 시절부터 함께 한 존재이기에 나의 수많은 변태를 지켜보았다. 엄마는 태중에서부터 나의 존재를 느껴왔을 것이고, 부모님은 숨만 간신히 시던 나를 이 세상에서 생존시켰다. 가나다를 배우고, 처음이라며 친구를 데려 오기도 했을 것이다. 울면서 들어온 날도, 웃으면서 들어온 날도 있었겠다. 동생과는 또 얼마나 싸워댔는가. 오죽했으면 하루는 엄마가 둘 다 주먹 올리라고 말했다. 서로 무력으로 싸워서 이기는 놈이 그냥 서열 1위 차지하라며 우리를 세워놓은 적도 있었다. 그렇게 자라며 대학생이 되어 집을 떠났고, 외롭고 돈 없는 대학생은 또 부모님의 그늘막에 있게 되었다. 성인인 듯 아닌 듯 애매한 경계에서 5년을 보냈다. 나는 부모님을 너무 좋아했고, 그래서 틈만 나면 대구로 와서 부모님과 시간을 보냈다. 한 달에 2번씩 오는 날도 매우 잦았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개인으로서 나의 이고(Ego)는 강해졌지만, 이상하게도 부모님 앞에서는 항상 유아기 때의 내 모습으로 돌아가곤 했다. 자라난 내 생각을 말하는 게 꼭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는 것 같아서. 어떻게 말해도 부모님 앞에서는 마냥 애기일 것 같아서. 나는 계속해서 성장하지 않는 피터팬의 나로서 존재해 왔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나는 자랐다. 그리고 이 과정이 마냥 매끄럽게 전달되지만은 않은 것 같다. 다투고, 서로 상처가 되는 말을 했다가도, 화해하고. 서로 끊임없이 실망시키고. 부모님을 만족시키고 싶은 K-장녀였지만 나는 알았다. 하루빨리 이 타이틀을 스스로가 벗어던져야 한다고. 세상이 무작위로 아무나 골라 K-장녀를 부여했을지언정 지금부터의 책임은 나에게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과정에서 부작용도 많았다. 어릴 때 했어야 할 반항을 20대 후반에 하기도 했고. 빨리 나 스스로를 독립시키겠다는 집착에 여러 단계를 건너뛴 충격요법을 쓰기도 했다.


서로 얽혀있는 칡나무와 등나무는 참 가족 같다. 그런데 이런 칡나무와 등나무를 공생시킬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인위적으로 이 둘 사이에 약간의 틈을 줘 느슨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이 둘은 공생할 수 있다고 한다. 가족도 그런 것 같다. 너무 한 몸인 마냥 끌어안기보다는 서로의 개체를 인정하고 느슨함과 유연함이 필요하다. 그러나 쉽지 않겠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 정도로 다른 두 개체이지만, 한 편으로는 그래서 또 대단하게도 얽혀 버리니까. 그러나 갈등은 어느 관계에서나 필요하며, 때때로 서로의 성장을 가져오기도 한다고 믿는다. 무엇보다도 갈등은 나 스스로의 결핍을 마주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 칡과 등나무 하나만을 끊어내고 분리해 낼 수 없듯이, 갈등은 결국 상대방뿐만의 아니라 나의 문제이기도 하다. 나의 결핍을 마주하게 된 그 순간, 우리도 더 상생할 수 있지 않을까.





이전 11화 11호. 퇴사 후 1년을 되돌아보다 (4) 마지막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