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H Jun 17. 2024

우리 모두는 희망으로 살아야 한다.

음악극 <섬 : 1933~2019>

 음악극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는 작품 <섬 : 1933~2019>

제목이 곧 내용을 의미하는데, 1933년에 한센병을 가진 사람들이 소록도에서 지내며 일어나는 일들부터 그들의 자손이 2019년도까지 발달장애를 가진 아이를 키우는 이야기까지 담고 있다. 소수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우리가 평소에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한번 더 되돌아보게 되는 작품이었다.


 소록도에서 40년간 한센인을 돌본 오스트리아의 간호사 마리안느와 마가렛의 삶을 중심으로 시작되는 이야기는 '목소리 프로젝트'의 하나이다. '목소리 프로젝트'는 박소영 연출가, 이선영 작곡가, 장우성 작가로 구성되어 우리 사회의 귀감이 되는 선한 영향력의 인물들을 무대에 복원하는 공연이다. 그중 2탄인 <섬:1933~2019>는 시대를 확장해 사회의 차별과 변견,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어지는 희망과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마리안느와 마가렛이 소록도에서 어떻게 한센인들을 살피었는지 그들의 삶과, 그 섬에서 희망으로 가득 찬 이야기일 줄 알았다. 그러나, 처음부터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나오는 연출에 초반에는 혼란스러웠던 것 같다. 인물들 간의 관계가 어떻게 이어지는지 모르겠어서 머릿속에 물음표를 띄우고 관람했었다.

 점차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었는데, 1933년도에서부터 '백수선'을 중심으로 한센인들의 낙원이라고 생각했던 소록도가 강제 노역과 통제로 이루어진 고통의 순간들이었던 참혹한 현실을 다루고, 백수선의 딸인 '고지영'과 마리안느와 마가렛의 이야기가 중간 연결역할을 하며, 2009년에서부터는 고지영의 딸인 '고지선'을 중심으로 발달장애아를 키우는 엄마가 겪는 사회의 매정한 인식과 시선에 냉담한 현실을 보여준다.

 전혀 다른 이야기이지만, 사회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에서 두 이야기는 매우 닮아있다. 이 작품을 통해서 그동안 알지 못했던 사실들을 알 수 있었고 그동안 무지하고 편견을 가졌던 나에 대해 되돌아보게 되었다.


 이 공연은 살아가면서 한 번쯤은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평소에 우리들은 어떤 생각을 하며 살아왔는지, 그저 각자 살기 바빠서 다른 생각을 할 겨를이 없었던 건지 아니면, 남들의 행동에 기대어 자신도 모른채하고 덮어두었던 일들이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일 것이다.


이전 09화 난 이제 세상에서 가장 눈부신 일을 하려 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