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hinstory Sep 10. 2024

Home이 그립다.

집에 가고 싶은데, 나는 분명 집이었다. 

나는 한국에서 살기 시작하면서 부업으로 번역, 통역, 영어회화강사 등 영어와 관련된 일들을 부업으로 하기 시작했다. 부업으로만 벌써 8년이 넘었는데, 아래는 영어 회화 강사일을 하던 학원에서 있었던 일이다. 


회화 학원에는 나와 1명 더를 제외한 모든 선생님들은 호주, 미국, 캐나다 등 세계 각지에서 온 원어민 선생님이었다. 수업 시간이 1시간 정도 비어 선생님 대기실에서 다른 선생님들과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고향이 그리운가 에 대한 주제로 얘기를 하게 되었다. 내 발음과 억양만 듣고 내가 캘리포니아에서 왔다는 것을 맞춘 선생님이 계신데, 그분과 여러 이야기를 나누다가 문득 너도 고향이 그립니 라는 질문을 받았다. 

순간적으로 나는 생각이 멈췄고 바로 대답을 할 수가 없었다. 잠시의 시간이 지나고 나는 "Um... that's... deep"이라고 답했다. 


한국에서 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나는 집이 그리워졌다.

집에서의 편안함, 집에서의 포근함 그리고 고향에서의 삶, 그곳의 사람들 등 모든 게 그리웠다.

이곳에서 살면서도 항상 '언젠간 돌아가야지'라는 마음이 있었다. 마치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는 느낌이었다.


생각해 보면 웃긴 일이다. 분명 내 집은 한국이고 고향도 한국이다. 부모님이 계시는 집도 한국에 있고 나의 국적, 나의 눈과 머리 색 등 '나'를 제외한 모든 게 한국이 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나는 마치 돌아갈 고향이 있는 것처럼 생각했다. 


나는 온전히 '나' 자신이 될 수 있는 미국에서의 삶이 그리웠다.

여러 얽혀있는 이해관계와 복잡한 삶을 뒤로하고, 물론 그러한 삶은 어디에나 있겠지만, 그런 복잡함을 '나'로서 대하고 싶었다. 주변에서 정하는 데로 대하고 싶지 않았다. 그 주변에서 벗어나보지 않은 한국사회의 사람들은 이런 생각을 절대 이해하지 못했다. (그렇다고 생각했다.)


사실 장단점을 현실적으로 하나하나 따져보면, 한국에서의 삶이 더 좋은 조건인 것은 사실이다. 일단 나는 이곳에서 '주' 인종이니까. 그 사실 하나만으로 모든 미국에서의 장점을 이길 정도로 좋은 조건이다. 그래도 나만의 고향이 그리웠다. 그곳에서 다시 식당 서빙을 하며 지낸다 하더라도, 그곳이 그리웠다.


나는 분명 Home에 있지만 Homesick을 겪고 있었다. 


이전 06화 어딜 가나 외국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