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다니엘 6시간전

논문의 주제

가상의 물탱크?

앞서 여러 미래에 대한 고민과 노력 끝에 결정된 나의 논문 주제는 다음과 같았다.

"Modelling and Optimization of Seasonal Thermal Energy Storage"

우리말로 하자면, 계절적 열 저장장치의 수학적 모델링과 최적화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모든 시작은 아이디어 뱅크인 나의 교수, M으로부터였다. M의 원래 주된 연구 분야는 수학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그 프로그래밍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과는 달리, 수학식이 있는 하나의 프레임워크에서 구현한 수학을 컴퓨터로 풀어내는 방식이다. 컴퓨터는 하나의 툴일 뿐, 이 모든 기본은 수학인 셈. 이 컴퓨터가 어떻게 더 빨리 계산을 할 수 있는지 수학적으로 도출하는 게 제일 큰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역시 나의 관심사와는 굉장히 멀다.


다만, 이 M이 워낙 기후변화와 에너지 관련한 분야에 관심이 많다 보니, 이 수학적 기법의 응용 사례로, 에너지 분야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다. 대부분은 터빈 없이 연을 날려 풍력 발전을 하는 방식에 굉장히 많은 노력을 쏟았고, 그런 이유로 내게도 이 주제에 대해서도 권유했었는데, 개인적으론 그것이 별로 현실적으로 느껴지지 않았기에 다른 기회가 있겠냐고 물었다.


M은 이렇게 대답한다.

"일단 대학에서 진행되는 99%의 연구는 상용화되지 않아. 이 기술은 적어도 1%보다는 높은데, 이는 기존의 풍력 발전과 달리 터빈이 필요하기 때문이지. 다만, 이 모든 건 내 생각일 뿐이고 결국 직감(Gut Feeling)에 끌리는, 네가 하고 싶은 걸 해야 하지."


어쨌든, 내가 이미 회의적으로 대답했으니, 그는 또 다른 하나의 본인이 생각했을 때 가상의 에너지 시스템을 이야기했다.

"사람들이 집에다가 태양광 설치를 많이 하면서 거기에 배터리도 사들이는데, 이건 사실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아냐. 내가 생각할 땐, 몇 달을 견딜 수 있는 배터리가 필요해. 예를 들면 여름엔 차가운 온도로 냉방을 공급하고, 겨울엔 그 여름에 나온 폐열을 이용해 난방을 공급하는 방식이지. 아마 이게 우리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일 큰 방법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건 아마도 물탱크가 되겠지?"

 

그리고 내게 얼마 지나지 않아 장문의 메일을 보냈다. 본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물탱크의 방식에 대해.


찾아보니, 그의 이상적인 개념, 이건 사실 존재했다...!




그렇게 결국, 이 계절적 열 저장장치에 관해 수학적 모델링과 최적화를 하는 것이 나의 논문 주제가 되었다. 열 에너지가 아니라 전기 쪽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 내겐 사실 완전히 의도하지 않게도, 열 에너지 분야에 연구를 하게 된 셈이다.


이 모든 게 정해지니, 기쁨과 동시에 두려움도 몰려왔다.

이는 내가 잘 모르는 땅의 물리학적 특성과 더불어 연구소에서 쓰는 수학 테크닉을 잘 버무릴 수 있을 거냐는 의문이었는데, 두려우면서도 어떻게든 되겠지 하며 해보기로 했다.


과연 내가 이 모든 걸 할 수 있을 것인가...





이전 07화 어두운 터널 속의 한 줄기 빛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