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다니엘 Dec 05. 2024

끝이 보인다…!

논문 과정의 마지막 달.


나는 논문 주제에 흠뻑 빠져 있었는데, 휴가에서 돌아온 나의 박사멘토 J가 오고 나서 내 큰 계획이 변경되었다.

J에게 그동안 한 결과물을 보여주고, 마지막으로 어느 학술지에 제출하면 좋겠냐는 등의 질문을 했는데, 아직 지도교수 M이 내가 쓴 글을 한 번도 보지 않았기에 이건 논문 디펜스가 끝난 이후에 이야기하는 게 좋겠다고 한다. 충분히 이해는 갔지만, 뭔가 나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느껴졌다.

그러곤 지금쯤 직장 지원하는 것에 대해 어찌 생각하냐니, 아무도 날 말리지 않는다며 하라고 종용한다.

허허... 괜히 나만 연구실에서의 의리를 지키려고 했던 건가.      

그렇게 짧은 미팅 이후, 그저 생각만 했던 걸 실천으로 옮기기로 했다. 그래서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직장에 지원했다. 이것만 해도 이틀 온종일 시간을 썼다.      


또, 학회에서 돌아온 지도교수 M은 논문을 제출하고 나흘 이후에 디펜스하면 다 읽을 시간이 없으니, 마감기한에 2주 앞서 초안을 보내줄 수 있겠냐고 묻는다. 그러면서 지금 당장 작성한 걸 보내달라더니, 몇몇 그래프를 훑어보고 아주 마음에 든다며, 몇 가지의 피드백을 남겨줬다.      


그렇게 M이 내게 앞당겨 준 새로운 마감기한인 열흘 남짓 남은 기간 동안 논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완성했다.


한 챕터가 끝날 때마다 나의 멘토 J가 지독히도 꼼꼼한 코멘트를 남겨주었고, 나름대로 완성됐다고 생각했을 땐, 같이 논문을 쓰는 석사 친구가 당일 자정에 가까운 시간에 피드백을 다시 보내줬다.


굵직한 결과물을 이미 한 달 전에 다 내놓은 상황임에도 이 결과를 글로 적는 건 꽤 어려운 과정을 동반했는데, 이는 내가 이론적으로 부족한 점이 많았고, 형식적으로도 연구실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맞추는 것도 꽤 지난한 과정이었다. 무엇보다도 내가 내놓은 결과 자체 중에 크고 작은 오류도 많았으며, 이는 글을 쓰면서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걸 다시금 정당화하는 과정도 꽤 시간이 필요한 일이었다.      


하지만, 역시나 생각건대 독일을 오기 전부터, 두꺼운 책들을 완독하고, 수없이 많은 생각과 글을 정리한 게 큰 도움이 됐다. 머릿속에 남아 있는 생각을 정리하고 쓰는 데에 있어선 그 방향이나 속도가 덕분에 빨라질 수 있다고 느꼈다. 물론 제대로 된 학위 논문을 쓰는 건 처음이지만. 이 논문을 쓰는 것도 하나의 글을 쓰는 것과도 비견할 수 있는 과정일 테다.           




그렇게 2주가 앞당겨진 가상의 마감기한이 도달했다.

지도교수 M와의 미팅 이후, 꽤 많은 것을 더 보완해야 했는데, 하다 보니 더 욕심이 생겨 이론을 계속 보강했다. 결국 내가 수학으로 표현해낸 결과는 내가 생각해도 아주 괜찮은 것이었는데, 이걸 어디서 찾아본 적이 없는 것 같기만 했다. 아주 뿌듯한 마음이 들었는데..     


그러곤 그동안 공부했던 수많은 종이를 살펴보게 됐다. 혹여 내가 이번 논문 작업에 들어가지 않은 부분이 있을까 하고... 재밌는 건 내가 거의 아주 깔끔한 방법으로 정리한 나름대로의 나의 이론이, 사실은 내가 이 논문을 시작할 때쯔음에 봤던 논문에 있었고, 이를 내가 한번 종이에 끄적였던 걸 알게 됐다. 허허. 이제야 내가 이 과정을 한번 했었다는 걸 어렴풋이 생각하게 됐다. 그 땐, ‘아, 이게 똑같은 거지.’ 하고만 적고 넘어갔는데, 이젠 내가 직접 내 논문을 실을 정도로, 직접 도출했으니 훨씬 더 발전한 거라고도 생각할 수 있겠다.      


휴일에도, 주말에도 밤늦게까지 수정했다. 그저 다 마무리가 되겠거니 한 것이, 보면 볼수록 수정할 부분이 보이는 게 꽤 괴롭기도 했다.


정말 정말, 완성이 됐다고 생각하곤 디펜스 발표 자료를 만들었다. 이젠 정말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했다.

이 지고지난한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는 그런 준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