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리스 부인 Oct 02. 2022

잔치국수

한 주를 마무리하는 따듯한 국물

먼지가 날리는 건설현장 모퉁이 가건물,  '함바집(현장 식당)'이라 불리는 수진의 식당이 있다. 

아이보리색 플라스틱 패널로 지어진 그곳에는, 일상과 사람, 그날의 이야기 그리고 하루를 버티게 해 주는 음식이 있다.


수진의 식당에서는 토요일 점심 메뉴로 항상 분식을 내놓는다. 주로 국수가 나오는데 곁들임 음식으로 떡볶이나 김말이가 나오기도 한다. 국수는 더운 여름의 열무국수를 제외하고는 잔치국수가 나온다.

 

수진이 멸치와 디포리, 다시마와 양파를 넣고 육수를 끓인다. 김여사가 펄펄 끓는 물에 소면을 넣어 삶는다. 면을 삶고 나서 식사시간까지 시간 차가 있으니 면은 약간 꼬들꼬들한 상태로 삶아낸다.

최여사는 고명을 만든다. 계란지단을 얇게 부쳐내고, 애호박은 가늘게 채를 썰어 들기름에 볶는다. 

그 사이 수진이 양념장을 만든다. 맛간장에 쪽파와 청양고추를 썰어 넣고 액젓과 고춧가루, 설탕, 다진 마늘과 참기름을 눈대중으로 넣고 조리개로 휘젓는다. 수진이 완성된 양념장 위에 통깨를 한 줌 흩뿌린다. 


추운 겨울날 몸 녹일 곳 하나 없는 현장에서 일하다 온 사람들에게, 뜨끈한 잔치국수는 마음까지 따뜻한 기운으로 가득 차게 해주는 마법의 국물이다. 어른 주먹만큼 크게 뭉쳐진 소면 한 개를 그릇에 넣고 그 위에 계란지단과 애호박볶음을 올린다. 그 옆에 잘게 썰어진 잘 익은 김치를 담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휴대용 가스레인지 위에 올려진 들통에서 따뜻한 국물을 뜬다. 접시에 국수만으로는 부족한 배를 채우기 위해 떢복이나 만두 같은 곁들임 메뉴를 적당히 올려 담는다. 


테이블마다 홍고추와 청양고추가 얹어진 양념장이 있다. 꽂혀진 티스푼으로 양념장을 덜어 국물에 넣는다. 국물 안에 넣은 잘게 썰은 익은 김치가 입맛을 개운하게 북돋는다.

테이블마다 '후룩, 후루룩' 하는 소리가 들린다.

더운 여름철에는 열무나 동치미 국수, 얼음을 띄운 오이냉국에 국수를 말아 내기도 하지만, 사람들은 수진의 식당 토요일을 잔치국수가 나오는 날이라 생각한다.

국수가 나오는 날은 밥을 평소의 절반만 한다. 남은 국물에 밥을 말아먹는 사람도 있지만,  손님들은 남은 국물에 떡볶이나 튀김과 같은 곁들임 음식을 같이 먹는다.  


토요일은 대부분 오전에 작업이 끝난다. 일찌감치 작업을 마치고 옷까지 갈아입은 사람들이 식당에서 국수를 먹는다.  현장의 공기가 빠듯하면 잔업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장 일에 지친 사람들은 돈을 더 쳐 주더라도

 (주말 근무는 평소의 임금보다 50%를 가산해서 지급한다.) 주말까지 남아 잔업하기를 꺼려한다. 주말 잔업에 나서는 사람은 돈이 급하거나, 아니면 용역업체에 소속돼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이다.


 '찌바오'와 '꾸옌린'은 베트남에서 온 노동자다. 단기 취업 비자를 갖고 들어와 이곳 현장에서 일한 지는 두 달 밖에 되지 않지만, 이전에 다른 현장에서 일한 적이 있어 한국말도 잘하고 현장 분위기에도 잘 적응한다.

두 사람은 주말에 잔업이 있으면 항상 자원한다. 주말이라 해도 어디 딱히 갈 데도 없을뿐더러 (그들의 말에 따르면 한국의 주말은 '돈' 없이는 돌아다닐 수 없는 곳이라고 한다.) 한 푼이라도 더 모아야 더 빨리 고향에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에게 평소 임금의 배를 주는 주말 잔업은 돈을 더 빨리 모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토요일에는 찌바오와 꾸옌린이 점심시간이 끝날 무렵에 식당에 온다. 

둘을 본 수진이 냉장고에서 숙주를 꺼내고, 양파를 얇게 채 썰어 접시에 올린다. 앞접시에 두 가지 야채를 올려놓고, 그날그날 구할 수 있는 삶은 고기 몇 점을 얇게 저며 같이 놓는다. 메뉴에 따라 소고기가 될 수도 있고, 돼지고기나 닭고기가 될 수도 있다. 그 위에 찌바오와 꾸옌린을 위해 조금 사다놓은 고수를 두어 줄기 올려놓으면 나름 베트남식 쌀국수가 된다.

물론 면은 쌀국수면이 아닌 소면이다. 육수도 고기 육수가 아닌 멸치 육수지만 두 사람에겐 나름 고향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다. 

찌바오가 숙주와 양파를 덜어 그릇 안에 넣는다. 아삭한 숙주와 양파의 식감이 입맛을 자극한다. 꾸옌린이 어머니가 해주던 쌀국수(베트남에서는 '포' 라고 부른다고 한다.)의 맛에 대해 이야기 한다. 

테이블로 다가온 수진이 두 사람에게 맛이 어떠냐고 묻는다. 찌바오가 엄지 손가락을 추켜세우며 맛있다는 표정을 짓는다.

잠시 생각에 잠기던 수진이 다음에는 양파를 식초에 좀 절여서 넣어 보자고 한다. 

"똑같을 수는 없지만, 그러면 좀 더 쌀국수와 비슷한 맛이 나지 않을까요?" 

 

토요일의 수진의 식당, 찌바오와 꾸옌린은 고향을 생각한다.



@ 수진의 TIP

잔치국수에 들어가는 김치는 물에 한 번 씻은 후 썰어 놓는 것이 좋다.  김치 양념이 많이 묻어 있으면 국물에서 텁텁한 맛이 난다. 씻어낸 김치가 들어간 국물은 좀 더 시원하고 개운한 맛이다. 


이전 09화 두부조림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