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차라리, 이 돈으로, 이왕이면

by 바삭 Mar 26. 2025

김피탕이라는 음식을 처음 접한 건 몇 해 전, 배고픈 새벽에 무심코 누른 먹방 영상에서였다. 무슨무슨 탕이라길래 당연히 국물 음식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그건 김치+피자+탕수육의 줄임말이었다. 그 메뉴들이 같은 테이블에 올라와 있는 것도 충분히 새로운데 심지어 같이 조리를 했다고? 충격에 잠이 달아났다.


찾아보니 김피탕은 몇 년 사이 좀 더 대중적으로 알려졌을 뿐 원래 존재하던 음식이라고 한다. 내가 나고 자란 동네에선 그 음식을 접할 기회가 없었다. 아리송한 생김새에 비해 준수한 맛으로 탄탄한 마니아층까지 보유했다는 그 음식이 궁금해져 언젠가 꼭 김피탕을 맛보리라 다짐하며 잠들었는데, 그것은 벌써 6년도 더 전의 이야기이고 나는 아직도 김피탕을 안 먹어봤다.


그놈의 세 단어 때문이다. 오늘은 드디어 시도해 볼까? 할 때마다 머릿속에 순차적으로 떠오르는 '차라리/이 돈으로/이왕이면'. 셋이 합쳐지면 이런 문장이 완성된다. '차라리 이 돈으로 피자랑 탕수육을 따로 사 먹는 게 낫지 않나? 아니다, 이왕이면 아는 맛인 치킨을 먹자.' 이럴 때 '차라리'나 '이왕이면' 뒤에 붙는 말은 내게 익숙한 것들이다. 경험해 봤으니까, 익숙하니까 무의식적으로 더 좋다는 결론을 내리는 걸까.


어쨌든 김피탕을 먹어봐야겠다고 6년이나 생각만 하고 있는 날 보며 느끼는 건, 인생의 모든 부분에서 (크게는 직업을 선택하는 일부터 작게는 수건 개는 법까지) 과거에 해 왔던 행동들의 관성을 벗어나기가 너무 힘들다는 것이다. '과거'라는 범주에 묶일 경험들이 많아질수록(달리 말하면 나이가 많아질수록), 그리고 그 경험들이 성공적일수록 몸집을 불리는 블랙홀이 내 주변을 맴도는 것만 같다. 새롭고 도전적인 생각은 무엇이든 집어삼켜 없애 버리려고.


김피탕을 처음 만든 사람의 머릿속이 궁금하다. 김치도 피자도 탕수육도 좋으니 세 가지를 한 번에 먹자! 였을까? 아니면 피자를 먹다 보니 느끼하고, 탕수육만 먹자니 심심해서 매콤한 김치를 추가했을까? 아니, 사실은 다 따로따로 시켜 먹느니 '차라리' 한 그릇에 함께 먹어보겠다고 생각했을지도. '차라리' 뒤에 과거의 것이 아닌 미래의 것을 갖다 두기만 해도 선택지가 무수히 많아진다.

매거진의 이전글 텍스트형 인간의 일일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