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순석 Jul 10. 2024

80년대생 부모 다음에는 90년대생 부모

90년대생은 한국 사회에서 특별한 데가 있는 세대이다. 물론, 대중적인 반향을 일으킨 『90년생이 온다』에서 묘사하고 또 설명하는 것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면 그 책에서는 세대의 특성과 나이의 특성을 합쳐서 세대의 특성처럼 설명한다거나, 세대의 특성과 시대의 특성을 합쳐서 세대의 특성처럼 설명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세대-시대-나이의 구분을 한 후에도 그 세대의 특별함이 분명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비혼이라는 문제를 보자. 우리 시대 전 사회적 관심사인 저출생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상당한 관심을 받는 ‘비혼’은 개인들의 의사인 동시에 사회적인 현상이 있다. 80년대 초반생인 내가 10대일 때에도 우리 사회에 그런 선배들이 있었다. 당시까지는 ‘독신주의’라고 불렀다. 그 독신주의가 점차 비혼주의라는 말로 대체될 만큼 사회가 달라지는 과정이 진행되며, 70년대생보다 80년대생 중에서 비혼주의를 선택한 이들이 늘었다. 


중요한 것은 70년대생에서 80년대생에서 늘었던 수준보다 80년대생에서 90년대생으로 가면 더 크게 는다는 것이다. 바로 그 변화하는 정도의 차이가 90년대생의 특별함이다. 그러니까 70년대생에서 80년대생 사이의 차이가 3%였다면, 80년대생과 90년대생의 차이는 3-4%가 아니라 10%인 식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결혼에 대한 태도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조직과 개인의 관계나 소비 패턴 등 여러 면에서 90년대생은 전 세대와 다른 면이 있다. 물론, 비혼주의의 경우에서처럼, 90년대생들의 특성은 전에 없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전에는 더 적은 수만 하던 것을 90년대생들이 더 크게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를테면 70년대생에서 80년대생으로 넘어오면서 어떤 특성이 2%에서 5%의 구성원이 하는 것으로 늘었다면 90년대생에 이르면 7-8%가 아니라 13-15%에 이르게 되는 그런 모습이라는 얘기다. 10% 이상 구성원들이 무언가를 선택하면 더이상 예외로 취급할 수가 없다. 그래서 그렇게들 90년대생들을 이해하기 어렵다며 아우성인 것이다.


홈스쿨링 및 언스쿨링 관련해서도 비슷한 변화가 예상된다. 일단 학교 밖으로 나오는 이들이 늘어날 것이다. 게다가 나온 후의 모습들도 전과 다를 것이다. 70년대생 부모들까지는 학교 밖으로 나오면 일단 대안학교부터 알아봤다면, 80년대생 학부모들은 그 정도가 약해졌다. 대안학교도 선택지이지만 계속해서 홈스쿨링 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리고 그들 중에는 초등과정을 마치면, 중등과정은 빠르게 통과하고 바로 대학으로 가는 이들도 상당하다. 90년대생들은 더할 것이라 추측해볼 수 있다. 사회의 여러 지표들으 통해 90년대생 부모들이 어떻게 다를 것인지를 예상해보면, 80-84년생 (학)부모들을 보며 이런 저런 얘기들이 나오는 것은 예고편에 불과할 것이다.  

이전 06화 사회 변화에 반응하는 시민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