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anzlerin May 15. 2022

성향이라는 이름의 지배자

사회생활을 할 만큼 했고 잘하는데도 넘지 못하는 벽이 사실은 내 자산

40대가 코앞인 지금, 아직 힘도 많고 이상주의도 적당히 남아있어서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현실과 충분히 비벼지고 갈렸기에 무리한 그림을 그리지 않고 에너지를 보존하는 방법도 안다. 남보다 내가 우선 더 중요하다는 것도 알기 때문에 날 남의 기대 (사실은 나의 기대)에 맞춰 넣지도 않는다.


이 정도로 객관화가 되고 실력도 출중하니 당연히 대인관계도 훌륭하다. 위쪽으로는 할 말을 간략하게 주장할 수 있고 아래쪽으로는 노력할 수 있다. 현대사회 조직의 특성상 애초에 구성원에게 주어진 자리가 본인의 특기와 빗나가 있을 때가 있고, 그에 대한 교정은 쓴소리와 흡사할지언정 결국에는 각자가 자신에게 더 편한 자리를 잘 찾아가야만 더 행복한 구성원이 되기 때문이다. 이걸 돕는 행위를 관리라고 한다.


이렇게 보면 나는 나무랄 데가 없다. 머리가 좀 커 보이긴 하지만 그 자체로 눈엣가시가 되는 조직환경은 차치하자. 그런 환경은 직무 특성상 그것이 필요하거나,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도태의 길목을 알아서 걸어가는 중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머리가 클 수밖에 없는 가방끈이지만 날 제대로 볼 줄 안다면 이 또한 문제가 안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이직을 2번 이상 경험했고, 그것이 많은 횟수는 아닐지라도, 계기와 임팩트는 나에게 매번 존재론적인 성찰을 하게 만들 정도요, 직종 자체를 바꾸게도 만들 정도였다. 이직으로 이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그 상황의 근본적 패턴 자체는 내 인생을 관통하는 붉은 실처럼 선형적이고 그만큼 친숙하다. 어, 또 너냐, 한동안 안 보였는데 사실 넌 계속 여기 있었네, 하는 느낌. 


벽처럼 느껴지는 무엇이다. 정확한 성분은 사람마다 극도로 다양할 것이다. 하지만 벽으로서 우뚝 서 있단 사실은 동일할 것이다. 그 벽을 직면하면 전의를 잃는다. 건강한 인정 욕구와 성취의 의욕에 활활 불타고 있던 순간에도 그 벽은 순식간에 그 뜨거운 에너지를 빨아들인다.


빨아들이고 난 후, 내 안에는 열기의 껍질만이 남는다. 껍질뿐인 열기란, 차가운 분노 같다. 배신감 같은, 갈 곳 없는, 영양가도 없는, 빨리 버리는 게 이득인 감정. 


그 감정을 또 며칠 삭히면 

슬픔만이 남는다. 소통이 불가능할 거란 확신이 선 것이고 그에 대한 대책까지 섰기 때문이다.

대책을 세웠다면, 다시 주도권을 내가 되찾아 온 것이기에,

인간 자체에 대한 연민만이 남는다. 소통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사람 속의 못난 부분들이기 때문이다.


왜 저러고 살까,


하고 끝맺으며 나만이라도 나아가야 한다.


이것이 벽이다. 넘을 수도 없고 넘을 생각도 안 드는. 그렇기 때문에 사람의 가장 솔직하고 불가항력적인 본질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나는 이 벽을 매우 소중히 여겨야 한다. 

나를 보호해주고 표현해주는 이 벽은

나의 성향이다. 날 나답게 만들어주는 것. 내 무한한 에너지의 보루. 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그 어떠한 대안도 남겨놓지 않는 강력한 정리자. 평소에는 나로 인해 갈고 닦여지지만 핵심 순간에는 정신이 까마득해지는 태풍을 영웅처럼 홀로 뚫고 나와서 나를 주장하는 지배자.

성향은 자산이다.    


 

작가의 이전글 독일과 한국의 민폐는 다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