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독증을 읽다: 다르게 읽는 사람들의 세계>>
cadarik caddel gaayana baalath alberto edgar eadda farris cadaham farriz edger faadi gaayatree haazar agapito baahir haafiz
GAAYANA HAAFIZ EADDA CADAHAM CADARIK EDGER ALBERTO HAAZAR
FAADI FARRIZ EDGAR AGAPITO FARRIS CADDEL BAALATH GAAYATREE BAAHIR
위의 단어는 필리핀 이름에서 랜덤으로 몇 개 가지고 와 본 것이다. 위와 아래 단어의 차이는 소문자냐 대문자냐는 것 밖에 없다. 그러면 파란색의 이름과 오렌지색의 이름 중 같은 이름끼리 짝 맞추기 게임을 한다면 얼마나 쉽게 찾을 수 있을까?
난독증이 있는 사람들 중엔 이미지형이 종종 있다. 만약 내가 단어를 그림처럼 인식하는 사람이라면 그 단어가 대문자인지 소문자인지에 따라 식별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같은 단어였지만 대소문자가 바뀌어있어서 같은 단어로 인식하는데 남들보다 시간이 조금 더 오래 걸렸다면 나에게, 혹은 내 아이에게 난독증이 있을 수도 있다.
#난독증 #성인난독증 #글 읽기 #문자인식 #읽기 부진 #읽기 장애 #특정 학습장애 #DYSLEXIA #시각적사고 #이미지형 #난독증을 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