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으로 만드는 주먹밥
준비물
식재료 : 밥, 단무지, 맛살, 김, 통깨
조리도구 : 도마, 가위, 볼, 접시, 숟가락, 스텐리스 물컵, 일회용 비닐봉지
tip.
활동대상의 특성상 손사용을 많이 하지 않기로 한다.
주먹밥을 만들려고 했지만 위생상 컵밥으로 대체한다.
[활동평가서]
활동계획서에는 주먹밥이었지만 현장에서 컵밥으로 변경하였다.
1) 활동계획서 대로 진행 하였는가?
- 활동계획서 대로 활동하지 못했다.
2) 활동계획서 대로 진행하였다면 대상자에게 어떤 자극을 주었고,
그들이 나타내는 반응에 대해 탐색하고
치료사는 매 단계마다 관찰하고 파악하였는가?
활동계획서대로 활동했다면 양 손의 협응과 눈과손의 협응이 이루어지고
오감 중에서 손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작업이었을 것이다. 특히
감각이 예민한 자폐성장애 친구에게 도움이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3) 활동계획서 대로 진행하지 못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다른 방법으로 진행하였다면 구체적인 방법을 기술해 보고
왜 이 방법을 사용했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 활동계획서대로 진행 하지 못한 이유는 손으로 주물러 주먹밥을 만들어야 하는데
지나치게 손사용이 많은 친구가 있었다. 지나 친 손사용은 주먹밥 만드는데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온몸, 타인터치, 바닥쓸기 등 위생을 생각해여 중단하게 되었다.
직접적인 손사용이 덜한 컵을 이용하여 주먹밥을 만들기로 하였으며
스텐리스 물컵에 밥을 넣고 흔들어 보니 동그랗게 주먹밥이 만들어졌다.
컵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치료사의 지시에 따라야 하고
컵을 흔들기 위해 온몸을 흔드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힘조절이 미숙하여 컵에서 밥이 달아나기도 했다.
4) 다른 방법에 대해 대상자의 반응은 어떠 햇는지 관찰 파악하였는가?
- 흔들어서 밥이 뭉쳐지는 것을 보고 신기해 했으며
컵에서 달아나는 밥을 보고 신기해 하기도 했다. 온몸을 흔드는
타인의 모습을 보고 즐거워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활동순서
①밥은 미리 한다.
②단무지를 가위로 자른다.
③맛살을 가위로 자른다.
④김은 비닐에 넣어 부순다.
⑤밥을 볼에 담는다.
⑥밥에 단무지, 맛살, 김, 통깨를 넣는다.
⑦숟가락으로 골고루 섞는다.
⑧컵에 비빈 밥을 한 숟가락 담는다.
⑨컵을 흔든다.
⑩동그란 모양이 되면 접시에 붓는다.
tip.
①도마를 테이블 위에 놓고
②도마 위 쪽에 볼을 놓고
③도마 위에 단무지와 맛살을 올려 놓고 다지기를 사용한다.
④작은 물컵에 비빔밥 한 숟가락을 담아서
⑤컵을 좌우로 흔든 후 접시에 붓는다.
활동방법
1. 단무지와 맛살은 가위로 자르거나 다지기로 두드리기
- 가위질이 서둘거나 두려워하는 대상자에게는 손을 잡고 가위질을 하는 방법을 지도한다.
- 다지기 사용에도 힘의 조절이 어려운 대상자는 손을 잡고 두드리는 강약을 느끼고 하여
힘을 사용하는 방법을 지도 한다.
- 활동 대상의 특성과 수준에 맞게 조리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김은 가위로 자르거나 비닐 봉지에 넣어 부수기
- 가위 사용이 용이하다면 김을 접어 가위로 자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비닐 봉지에 김을 넣고 바람을 빼 주어야 김이 잘 부숴진다.
3.통깨는 빻아서 또는 통으로 넣기
- 통깨를 그냥 사용하는 것보다 빻아서 사용하면더 고소하다
- 작은 깨 절구를 이용하여 빻아 보는 경험을 가져 보게 한다.
4. 밥을 재료와 골고루 비벼 보기
- 볼에 밥을 담고 지시에 따라 준비 한 재료를 한 가지식 넣어 보게 한다.
단무지 (한 숟가락) 넣으세요.
맛살 (한 숟가락) 넣으세요
김 (한 숟가락)넣으세요
깨 (한 숟가락} 넣으세요
- 재료를 가늠한 후에 양을 정해 준다.
5. 한 숟가락 컵에 담아 보기
- 한 숟가락의 의미를 직접 경험하게 한다.
6. 좌우로 흔들어 보기
- 다지거나 가위로 자른 식재료가 너무 크게 썰어진 경우에는 동그랗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7. 접시에 담아 보기
- 손으로 만지지 않고 컵에 잇는 밥을 접시에 담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08. #컵밥 권명숙글20190819
#장애인을지도하는요리치료사를위한레시피만들어주세요.
#요리치료사레시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