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위드리밍 Oct 01. 2022

인생 숙제의 답을 찾다.

프로성장러가 된 이유

 유년 시절에는 느끼지 못했는데, 사회생활을 하면서 솔직하지 않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어요. 어쩌면 어릴 때에는 인간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았지만 사회생활을 하면서부터 여러 이해관계가 보이기 시작한 게 맞는 표현 같아요.

자신의 패는 끝까지 숨기고, 여러 질문을 통해 상대에게 대답을 이끌어낸 뒤 결국 자기의 논리를 완성하는 사람.

 그중엔 조직의 리더라는 이름으로 공유된 정보를 벽으로 가두고 그 정보를 가공하여 공공 목표가 아닌 개인의 이득을 위해 활용하는 사람이 너무나 많아요.

 한편으로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오히려 혼란을 줄이기 위해 팀원에게는 제한적이고 필요한 정보만 전달하는 게 낫다는 의견도 있어요. 맞아요. 이 말도 공감합니다.


 하지만 저는 제가 아는 모든 정보는 함께 일하는 모두에게 팩트만 공유해서 배경지식은 모두가 같게 제로 베이스에서 그 이후 생각은 자유롭게 토론하는 것을 지향해요. 사람은 생각의 동물이니 아무리 팩트만 전달하려 해도 당연히 제 가치관과 고정관념들이 자연히 스며들 수밖에 없지만 그 사실 자체를 알고 우선 인정한다면 적어도 최대한 이성적이고 공정하게, 그리고 사실에 기반해서만 이야기할 수 있게 돼요.


그런 측면에서 저는 배구 여제 김연경 님의 리더십을 존경해요. 한 인터뷰에서 리더십이 뭐냐는 질문에

"솔직한 피드백. 솔직함이 중요합니다. "라고 답합니다.



지금 이 사람이 잘못된 행동을 하고 있고 팀원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고 있는데 그 선수에게 그냥 '너 잘하고 있어.'라고 얘기하기보다는 '너 지금 잘못하고 있는 것 같아. 지금 너 때문에 팀 분위기도 안 좋고 너로 인해 다른 부정적인 에너지들이 생기잖아.'라고 정확히 표현해 주는 것. 그게 진정한 솔직한 리더십이라고요.

매우 공감합니다. 조직이라는 곳이 늘 루틴 한 일상이 반복되고 다양한 성향의 사람들이 회사의 이익을 위하여 새롭게 조합된 집단이라 다양한 말. 말. 말. '카더라.'가 생겨 날 수밖에 없는 곳이기도 해요.


그래서 저도 팀에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팀의 시너지 방해하는 조직 구성원이 있다면 그 친구에 대해 어떤 디렉션을 줘야 할까 늘 고민해요.

 분명 A를 너무나 잘하는 친구인데 그 역량을 키워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데 말실수나 목표보다는 다른 잿밥에 관심이 많아서 일을 그르치거나 완성도 있게 마무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여러 케이스들이 있겠지만 저는 최대한 동료의 장점과 강점을 살려 커리어를 키울 수 있는 방향성. 그리고 지금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 솔직하게 다가가 명확히 피드백하고 개선을 위해 노력해달라는 잔소리를 덧붙이곤 해요.


솔직한 사람이 성장한다.


 제 첫 회사가 Lg생활건강 차석용 회장님이 이끄는 제과 회사였어요. 조직 생활에서 방향을 잃을 때 백과사전처럼 꺼내보는 자기 계발 마인드의 끝판왕이라 할 수 있는 '그로잉 업' 그분의 책이에요.



모르는 걸 모른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이 성장하더라.

차 부회장은 정직함을 강조한다. 모르는 걸 모른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그리고 모르는 걸 숨기고 자꾸 다른 핑계나 대안으로 덮으려고 허황된 대답을 하는 사람을 싫어한다. 물론 맨날 모르기만 하면 안 된다. 그건 무능이다. 차부회장이 강조하는 것은 '모르는 것'이 아닌 모르는 걸 모른다고 얘기할 수 있는 '일종의 자신감'이다. - Lg생활건강 차석용 이펙트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자신감은
결국 자존감과 연결되더라고요.


요즘 전 블로그를 하면서부터 '프로성장러'라는 수식어가 익숙해졌어요.


저의 오랜 친구들 말에 의하면

"넌 언제나 열정적이었고 늘 열심히 사는 친구다."라고

학창 시절부터 친구들이 볼 때 전 늘 무언가를 하는 친구였데요. 그리고 어느 리더는 제게 살면서 저 같은 성장형 인간을 본 적이 없다고 해주셨죠.

 이렇게 주위의 피드백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저만의 강점을 알 수 있어요. 그렇게 '어제보다 나은 오늘이 되자.'라고 늘 마음으로 다짐하던 저는 프로성장러 배러맘이 되었어요.


 하지만 늘 전 왜.

이렇게 일을 열심히 하면서 사는 걸까. 이런 질문이

늘 제 삶의 숙제로 남아있었어요.


일? 돈? 에 대한 결핍?

여러 고민들이 떠올랐고 결국 답을 찾을 수 있었던 건 자존감이었어요.

인정 욕구, 자존감을 채우기 위해 일과 성과, 주변의 인정에 대한 목마름.


 태어날 때부터 똑똑한 오빠의 동생으로 살아가며 저는 늘 엄마의 인정을 받기 위해 열심히 살아왔던 것 같아요.  

 학창 시절에도 학생 회장이었던 오빠의 동생으로 학원에서도 늘 오빠의 동생으로 불려와서 선생님과 언니 오빠들. 친구들도 모두 ○○동생이라 불리며 자랐어요.  그래서 학창 시절에도 공부를 참 열심히 했었어요. 그때는 잘 몰랐지만 이제와 돌이켜보니 모두 부모님과 주위의 인정받고 싶어서 그랬던 거네요.


 그렇게 떨어진 자존감을 무언가의 생산 활동을 통해 채우며 살아왔더라고요. 생산적인 활동을 하지 않으면 늘 불안했어요. 일을 하고 주변에 도움을 주어야 제 자존감이 채워지는 타입. 일이 제 결핍을 채워온 수단이었더라고요.

 

 이제는 저만의 가정을 이뤄 남편과 아이들의 사랑을 너무나도 듬뿍 받아서 더 이상 자존감이 문제가 되진 않아요.

 하지만 다음은 습관이 문제였어요.

 어릴 때부터 매일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불안했던 마음이 곧 제 습관이 되어버렸어요. 아마 어릴 때부터 너무 오랜 시간 노력하고 연습해서 학습된 결과로 제 몸속 세포와 유전자들이 그 습관들을 기억하고 있더라고요.

 그렇게 전 학창 시절에는 공부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후부턴 일로 제 마음의 공허함을 채우기 위해 열심히 살았어요. 그리고 늘 제 마음의 허기를 채워줄 행복을 찾아 줄 곧 천직을 찾아 헤매었던 것 같아요.


 저도 아직 용기가 많이 부족해요.

 하지만 최소한 스스로에게는 부끄럽지 않기 위해 불편한 감정이 생기면 제 안의 마음속을 한번 더 들여다보고 가까워지려 노력해요.


솔직하게 이야기한다고 해서 대화의 주도권을 뺏기고 지는 것이라 생각하지 않아요. 오히려 솔직함이 생각보다 많은 일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정말 많이 경험했어요.


이제부터라도 내면의 자신에게 손을 건네어 사소한 일부터 솔직해지는 연습을 해보는 게 어떨까요?




성장은 자신의 약점을 받아들이기 시작할 때 시작된다.
(Growth begins when we begin to accept our own weakness)- 장 바니에(Jean Vanier)



< 나만의 가치, 내 삶의 정답을 찾는 방법 >


주변의 평가, 피드백에 예민해지자.

솔직한 사람이 성장한다.

나의 결핍을 들여다보자.

그리고 나의 결점을 드러내고 인정하라.


(계속...)


이전 13화 행복을 찾아서 나를 돌아보기 시작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