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문용대 Oct 17. 2020

누비처네 사기 등잔

수필가로 널리 알려진 목성균의 수필 전집 ‘누비처네’는 오래된 책이라 구하기가 쉽지 않다. ‘누비처네’라는 제목이 생소하다. 도대체 그게 무엇인지 궁금했다. ‘누비처네’라는 한 편의 글을 책 제목으로 정한 것이다. 누빈 포대기, 즉 두 겹의 옷감 사이에 솜을 넣고 줄줄이 바느질을 한 조그마한 이불 포대기를 말한다. 이 책은 수필 쓰는 많은 이들로부터 교과서처럼 여겨지고 있다.

책 속에 ‘돼지 불알’이라는 제목의 글도 있다. 그런 글을 쓸 생각을 한 것부터가 예사롭지 않다. 제목부터 입에 올리기에 쑥스럽고 남사스럽기까지 하다. 목차를 보고 궁금증을 참지 못해 책 중간에 있는 글을 먼저 읽어 보았다. 입덧하는 새댁 며느리가 남편이 집을 비운 사이, 시어른이 동네 친구들과 어울려 잔치를 벌일 요량으로 구해 온 소중한 귀물(貴物 )돼지 불알을 훔쳐 야반에 뒷집 새댁을 불러 몰래 구워 먹어버린 사건(?)이다.

“몸체의 뽀얀 살결과 동그스름한 크기가 아직 발육이 덜 된 누이의 유방 같은데, 등잔 꼭지는 여러 자식이 빨아 댄 노모(老母)의 젖꼭지같이 새까맣다. 그 못생긴 언밸런스를 우리는 당연히 고마워해야 한다.”

‘누비처네’의 백 한편 수필 중 여섯 번째 글 ‘사기 등잔’에 나오는 대목이다. 하얀 사기(砂器)로 된 등잔을 어쩌면 이렇게 누이의 유방에 비유하며 절묘하게 표현을 했을까? 목 수필가는 나와 열두 살 차 띠 동갑인 셈이다. 50~60년대 글이 많아 내게 더 흥미롭게 다가온다. 요즘 젊은이들은 겪지 않은 전깃불이 들어오기 전 이야기다. 내 또래는 등잔불을 떠 올리게 된다. 목성균이 쓴 ‘사기 등잔’을 읽으니 어릴 적 생각이 밀려온다.

등잔이란 기름을 부어 불을 붙이는 사기 부분을 말하지만 등잔대 전체를 말하기도 한다. 우리 집 등잔대는 대대로 물려받아서였는지 때와 석유가 찌들어 색이 거무스름하다. 바닥 닿는 판은 좀 넓은 편이다. 거기에 4~50센티미터쯤 길이의 나무를 세우고 그 위 받침대에는 사기로 된 등잔을 올린다. 등잔 밑에는 제비 표 성냥 통이 늘 놓여 있고 쓰고 난 성냥개비가 모인다. 사기 등잔 뚜껑 안쪽 구멍에 창호지를 말아 심지를 끼워 넣은 뒤 사기로 된 등잔 속에 석유를 붓고 심지에 불을 붙인다. 심지가 너무 꽉 끼이면 기름을 못 빨아올리고, 너무 가늘면 심지가 사기 등잔 속으로 빠져버리기 때문에 적당히 굵어야 한다. 너무 길게 올라 온 심지에 불을 붙였다가는 콧구멍이 새까맣게 그을리게 된다.

등잔 꼭지 끝 불을 붙여 검어진 불똥은 성냥개비나 바늘로 자주 털어 줘야 불빛이 맑고 밝다. 심지를 몇 번이고 쑤셔 올리다 보면 짧아져 석유를 못 빨아올려 갈아야 한다. 갈고 나면 불이 한결 밝아진다. 어쩌다가 머리가 등잔불에 너무 가까이 갔다가 눈썹과 앞머리를 태우고 창피해서 밖을 못 나간 적이 여러 번이었다. 무엇보다 불붙은 등잔을 넘어뜨리기라도 하는 날에는 바닥에 석유가 엎질러지는 것은 둘째치고 바닥에 불이 붙어 초가를 모두 태우기도 한다.

등잔불을 떠 올리니 호롱불 생각도 난다. 웬만히 부는 바람에도 유리 커버가 있어 등잔불 같이 쉽게 꺼지지 않아 좋다. 처마 밑에 호롱불을 매달면 마루나 마당 전체를 밝히는데 그만한 게 없다. 등잔이건 호롱이건 밑에서 위를 쳐다보게 돼 있으니 아래쪽이 어두운 것이 흠이다. ‘등잔 밑이 어둡다’라고 했다. 가까이에서 일어난 일을 오히려 잘 모를 때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내가 중학생쯤일 때 우리 집에는 소 수레(달구지)가 있었다. 지게에 물건을 저 나르지만 멀리 가기는 어렵다. 시골에 짐차가 있을 리 만무하고 읍내나 도시로 물건을 옮기기에 이만한 게 없다. 아버지께서 저녁 어둑어둑할 때까지 안 오시면 호롱에 기름을 채워 들고 마중 가는 것은 늘 내 차지였다. 멀리 가지 않고도 아버지를 만날 때가 있지만, 때로는 읍내 삼 십리 길을 다 가서야 만나기도 한다. 어두운 굽이 길을 몇 번이고 돌 때마다 만날 것 같던 아버지를 못 만나면 힘이 빠지고 다리가 아프지만 그건 둘째고 무서워서 걸음이 더 빨라진다. 그러다가 아버지를 만나면 눈물이 확 쏟아지기도 한다. 오래도 아니고 아침에 헤어진 아버지를 만나는 것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몹시 기다리던 사람을 만나는 것이 이처럼 기쁜 것이다.

이 같은 등잔불이나 호롱불 이야기가 한 세기를 지낸 일도 아니고 내가 어릴 때 겪은 일들이다. 오늘을 살고 있는 나로서는 그 시절을 회상하면서 모든 것에 감사할 뿐이다.

-------
목성균 : 1938년에 충북 괴산에서 태어나 57세 늦깎이로 수필에 입문해 '명태에 관한 추억'을 남기고 2004년에 타계했다. 유고집으로 '생명', ‘행복한 고구마'와 듣기도 이상야릇한 '돼지 불알'에 이어 타계한 지 6년 만인 2010년 문학평론가 겸 출판사 발행인 김종완에 의해 ‘누비처네’가 나왔다. 2014년에 나온 보급판은 626면에 101편의 수필이 실려 있다.

이전 08화 하모니카 여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