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의 캐나다 적응기
캐나다 학교는 11월 말, Teacher-Parents Conference가 있다. 콘퍼런스라고 해서 무슨 발표 같은 것인 줄 알았는데 학부모 상담이었다. ADHD 아이를 캐나다라는 낯선 나라의 학교에 던져두고 하루하루 긴장했던 첫 9월의 시간이 지나 어느새 가을 학기가 마무리되고 있다니. 그동안 아이가 잘 해냈는지 궁금해 바로 상담을 신청했다.
한국에서도 늘 대면 상담은 꼭 신청했었다. ADHD 아이를 학교에 보내면서 늘 선생님께 죄송스럽고 감사드리는 마음. 얼굴 뵙고 아이가 어떻게 지내는지 솔직한 피드백을 듣고, 힘든 점은 죄송하다는 말로, 그저 잘 맡아주셔서 감사드린다고 자그마한 말들로 큰 마음을 전하기 위함이었다. 지난 글에도 적었었지만 캐나다에 오고 1주일 만에 나는 선생님께 아이의 ADHD를 오픈해야 했다. 약물 치료를 한 지 2년이 넘어갔는데 증량을 하지 않았고 그래도 잘 해내리라 믿었는데, 약효가 약했는지 아이는 silly boy로 묘사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낯선 곳에서 반에서 유일한 아시아인인 세모가 친구를 사귀는 것마저 어려워질까 두려웠다. 그렇게 선생님께 용기 내어 아이의 ADHD를 오픈했고, 먹던 약도 증량했다.
증량 이후, 세모는 종종 충동성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는 이메일을 받기는 했지만 선생님의 코멘트 끝엔 늘 "ADHD 증상이니까 아이도 어쩔 수 없을 거예요. 이해해요. 다른 점들은 아주 좋습니다."라는 감사한 말씀이 담겨있었다.
드디어 상담하는 날, 선생님과는 늘 이메일로 세모의 학교 생활을 자주 주고받아서 더 이상 할 말이 있을까 싶었지만 다시 한번 땡큐! 감사 인사를 드리러 찾아뵈었다.
"세모는 수학이랑 운동을 너무 잘해요. 친구들도 세모를 굉장히 좋아하고 세모도 친구들하고 잘 지냅니다. 특히 선생님들께 항상 예의 바르고, sweet boy에요. 가끔 자기도 모르게 행동하고 나서 지적하면 바로 죄송하다 하고 다시 주의하려고 하는 면이 보이고, 예측하지 못한 행동을 할 때가 있는데 아마 ADHD 때문이겠죠? 자기도 조절이 어려운 것이니 이해해요."
선생님의 감사한 말들 끝에는 늘 "ADHD라서 그런 거니 이해한다."라는 말씀. 그 말씀 하나로도 정말 이곳에서는 세모가 '문제아'가 아닌, '도움이 필요한 아이'로 수용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며칠 후, 학교에서 온 '성적표'. 그곳에는 세모에 대한 성향이나 교우 관계, 과목별로 어떻게 잘 해내고 있는지 excellent인지 good인지 need help인지 숫자로 적혀있었다. 사실 외국어로 배우는 과목들이다 보니 성적은 기대하진 않았다. 그저 학교에서 선생님을 힘들게 하는 건 아닌지, 친구들과는 잘 지내지 못하는 건 아닌지 그런 것들이 가장 궁금했다.
"한 과제에 집중하거나 다른 과업으로 전환할 때 어려움이 있다."는 내용의 문장이 보였다. 예전 같았으면 역시 잘 해내지 못하네.라고 생각하며 하루 종일 마음 아팠을 문구. 아이의 ADHD는 늘 함께 있었지만, 그것을 알게 된 지 만 4년이 되어가는 지금, 내 마음은 달라졌다.
'그렇지. 세모는 ADHD니까. 집중이 어렵고, 전환 주의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지.'하고 그냥 아이의 특성으로 받아들였다. 이 문구보다 더 마음이 갔던 것은 "친구들하고 잘 지내고, 학교에 오는 것을 즐거워합니다."라는 문구. 9살 아이에게 이것만큼 중요한 게 있을까?
아마 내가 아이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까지, 긴 시간이 나를 단련시켰던 것 같다. 하지만 사실 나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준 건 캐나다에 오고 나서 만난 '다양성'의 가치를 아는 사람들이 해주는 말 하나하나였다. 그 말들이 내 안의 말들이 되어 내 내면의 스토리텔링을 바꿔주었다.
"나는 ADHD가 있어. 내 아들도 ADHD야."라고 고백해 준 옆 집 이웃 찰리.
"우리 아이는 자폐스펙트럼이랑 ADHD가 같이 있어." 처음 만난 날 아이의 어려움을 웃으며 말한 새라.
"ADHD 아이는 그냥 자기도 어쩔 수 없는 거잖아요. 잘 안 보이면 안경을 쓰듯 아이도 약을 먹으면서 도움 받는 거죠." 오히려 나에게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라며 작은 위로를 건네준 세모의 담임 선생님.
/
"왜 아이를 정신건강의학과에 데려갔어?"
"왜 정신과 약을 먹여? 좀 크면 나아질 텐데."
"ADHD 아닌 것 같은데? ADHD는 TV에 나오는 그런 애들 아니야?"
"어머... 그럼 앞으로 공부하거나 이런 건 힘들겠네."
여기서는 적어도 이런 질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세모와 나는 행복하다.
ADHD 아이, ADHD 아이의 엄마가 아닌,
그냥 아들과 엄마.
우리 가족은 그렇게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