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 레크리에이션 센터에서 남편과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고 있었다. 오전 11시 30분, 학생 같은 아이들이 갑자기 헬스장에 몰려들어왔다. 덤벨, 러닝머신 등 자연스럽게 헬스 기구들에 자리 잡고 운동을 시작하는 아이들.
"오빠, 쟤네 오늘 학교 안 가나?"
"그러게. 왜 이 시간에 헬스장에 오지?"
중학생, 고등학생 정도로 보이는 아이들이 헬스장에 오는 것도 신기한데 평일 오전 11시 30분에 학교에 안 가고 왜 왔지? 싶었다. 그런데 다음 날에도 또 우르르 몰려오는 아이들. 친한 캐나다 언니에게 물어봤다. 애들 학교 안 가고 왜 헬스장에 가냐고.
"헬스장 옆에 고등학교잖아. 여기 애들은 다 점심시간에 나가서 먹거나 운동하고 들어가거나 그래."
일단 맨 처음 들었던 생각은 K엄마이자 K교사인 나로서는 "공부는 언제 하니?"였다. 한국 학생들은 교복 입고 대입을 앞두고 점심시간에도 학교에서 공부에 집중할 때니 말이다.
그런데 더 놀라웠던 것은 사실...
일과 중에 학교 밖을 나간다는 사실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외출증 없이 학교 밖을 나가면 "무단 외출"로 벌점을 받거나 학교 규칙에 따라 지도를 받게 되어있다. 이렇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캐나다 학교에 아이를 보내면서, 캐나다 교사들 정말 부럽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학교 밖을 마음대로 나갈 수 없는 데는 이유가 있다. 8시 30분 등교부터 오후 4시까지의 시간 동안에 아이들을 책임지는 건 바로 그 시간 그 학급을 담당하는 '교사'기 때문이다. 점심시간은 '담임교사'의 책임이다. 그래서 아이가 나갔다가 사고가 나면 그 책임은 온전히 '교사'가 져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는 학교 내에서 안전히 머물러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at your own risk"라는 문구를 자주 본다. "네가 자유롭게 행동해도 되는데 그건 다 네가 위험을 감수하고 책임도 네가 져야 하는 거야."라는 의미다. 이는 학교에서도 마찬가지다. 아이들은 자기 의지로 행동할 자유가 있지만, 그것은 모두 '자신의, 보호자의 책임'인 것이다. 학교나 교사의 책임이 아니다.
둘째 네모가 학교에서 상처가 나서 피가 난 적이 있었다. 한국 어린이집에서는 담임 선생님께서 전화까지 해주시고 아이가 왜 다쳤고 잘 돌보지 못해서 "죄송하다"는 말씀까지 하신다. 그런데 캐나다에서 아이가 다쳐온 날, 선생님께서 우연히 날 만나 말씀하셨다. "아이가 recess(휴식 시간) 때 다쳤나 본데 저는 안에 있어서 못 봤어요."라고.
한국이 절대 캐나다 학교의 시스템을 따라갈 수 없는 이유?
"세모야, 너는 하루에 학교에서 바깥에 몇 번 나가?"
북미 지역에는 하루에 recess라고 휴식 시간이 있다. 하루에 두 번, 꼭 바깥에 나가 햇볕을 쬐고 자유 놀이를 하는 것이다. JK학년부터 8학년까지, 10개 학년이 모두 동시에 한 운동장에 나가서 논다. 세모는 요즘 야구에 빠져있다고 한다.
"엄마, 잠깐만... 하나, 둘, 셋, 넷... 여섯 번?"
"뭐?! 여섯 번을 나간다고? 그럼 공부 언제 해?"
아이는 쉬는 시간마다 바깥을 나가 놀았던 것이다. 일단 학교가 2층으로만 되어 있어 무조건 바깥을 나갈 수 있는 구조인 것, 운동장이 정말 매우 매우 크다는 것도 한 몫할 것 같다.
ADHD 아이인 세모는 캐나다 학교 생활을 하면서 수면의 질이 아주 좋아졌다. 나는 그것이 낮에 활동량이 매우 많고 계속 햇볕을 쬐면서 '세로토닌' 호르몬이 많아지면서 잠이 개선되었다 추측한다. 우울증 관련 책에도 햇볕을 쬐는 건 매우 권장하고 있기 때문에 오후에 아이들이 바깥에 나가 햇볕을 쬐는 것은 정신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와... 우리나라도 이렇게 자주 나가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생각했다가 머리를 절레절레 저었다. 한국의 중학교 교사로서, 우리 반 아이들이 계속 바깥에 나간다는 건 아찔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다치면? 내 책임이고, 그렇다고 매 시간마다 아이들 보러 나가야 한다면? 행정일은 언제 다 해? 안 돼 안 돼.'
수학여행에 간 날, 한 아이가 크게 다친 적이 있었다. 아이가 다쳐서 새벽에 나가 병원 진료를 봐야 했던 선생님이 생각난다. 순간 순간에 우리는 교사로서 '책임'을 다 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면서도 걱정했던 것은 '내가 책임을 다 하지 않은 것이 있을까 봐' 염려했다. 체험 학습에 가서 아이 하나가 휴게소에서 버스에 치였던 사건이 있었다. 너무 안타깝고 슬픈 일이었다.
당시 담당했던 담임 교사는 과실 치사로 재판을 받아야 했다. 체험학습부터 수학여행까지... 그 일이 생각나며, 교사로서 몇 백 명을 인솔해서 수학여행에 가는 것이 두려웠었다. 추억을 만들어주는 것도 좋은 일이지만, 사고는 늘 예측 불가 하며, 그 책임은 온전히 내가 지고 가야 하는 것이니 말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으니까."
아이들이 자유롭게 뛰어놀지 못하고
교실에 꼼짝없이 앉아 바깥을 나가면 안 되는 이유
아이들이 함께 떠나는 추억 여행보다
차라리 교실에서 책만 보는 것이 나은 이유
정해진 시간 이외에는
신체 놀이를 하지 못하게 하는 이유
우리나라 아이들이 자유로울 수 없는 이유?
때론 사람의 힘으로 통제하기 어려운 일까지
사람에게 책임을 묻기 때문이 아닐까?
책임과 의무가 많아지면,
사람은 '방어적'으로 행동할 수밖에 없으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