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사비나 Nov 24. 2024

캐나다 부모들이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

캐나다의 아이들이 행복한 이유

캐나다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보면 가슴이 두근거릴 때가 있다. 한국 엄마인 내가 보기에 굉장히 아슬아슬하게, 와일드하게 노는 아이들의 모습에 다치진 않을까 괜히 가까이 가서 지켜보게 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구름사다리에 매달리는 게 아니라 위에 올라가서 노는 아이들, 하키 채를 휘두르며 신나게 하키를 하는 아이들, 높은 미끄럼틀을 타려고 가파른 계단을 오르는 유치원생들까지. 한국 엄마들이라면 내 아이가 다칠까 봐, 다른 아이를 다치게 할까 봐 안 된다고 할 것들... 이곳에서는 많은 것들이 허용되는 것을 보고 있다.


나라면 호되게 혼을 내거나 짜증이 날 법한 일들에 그들은 참 관대하다. 안 되는 것은 "I know how you feel. But you can't." 네가 어떤 마음인지는 알지만 안 돼.라고 단호하게 말하는 부모들. 갑자기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아 울음을 터뜨리는 초등학생 아이를 보고 엄마는 다 울 때까지 기다려준다. "Take a deep breath." 심호흡을 해보자.라고 담담하게 대응하는 그녀.


이 장면을 보며 나는 두 가지를 느꼈다.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나는 일단 주변의 시선을 신경 썼을 것이다. '아이가 이렇게 쉽게 짜증을 내고 우는 아이라니 엄마가 평소에 다 들어줘서 그런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까 신경 썼을 것이고, 내가 어떻게 대응하나 판단하는 시선에 내 신경을 곤두세웠을 것이다. 두 번째로 그렇게 공공장소에서 우는 아이에게 짜증이 났을 것이다.


캐나다에서 아이를 키우며 나는 그들이 아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배우는 중이다.


Kids are okay to be kids.
아이는 아이다워도 괜찮다.

이곳에 이민오신 분들은 하나같이 삶이 녹록지 않다고 하지만, 아이에게는 천국인 곳이라고 말한다. 처음엔 단지 공부를 많이 할 필요가 없어서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점점 더 부모들이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를 보며 느꼈다. 이곳이 아이들에게 천국인 이유는, 충분히 아이다울 수 있기 때문이었다.


아이들이 아이다워도 괜찮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하키채를 휘두르다 친구가 좀 맞아도

"아이들은 그렇게 놀다 보면 다칠 수도 있는 것"

짜증이 나서 울음을 터뜨리고 쉽게 진정이 되지 않아도

"아이니까 아직 감정 조절을 배워가는 것"

컨디션이 좋지 않아서 하루종일 짜증을 내고

떼를 부려도 "아이들은 자신이 왜 불편한지 모르니까"

친구와 싸워서 다쳐도

"아이니까 서로 싸울 수도 있고

그렇게 사과하는 법도 배우는 것"

ADHD 증상으로 학급에서 조절이 잘 안 되어도

"아이니까 아직은 어른들이 더 이해해주어야 하는 것"

이렇게 저마다의 '어린 시절'을 존중받는 문화인 것이다.



'어린 시절', childhood를 존중받는 문화.

이런 문화가 가능한 이유를

부모들의 부모들을 만나고 나서 알게 되었다.

'아! 물려받았구나.'


나는 한 동안 부모를 원망했다. 아침이면 급하게 할머니, 할아버지 아침 상을 차리며 우리도 눈곱도 떼기 전에 밥을 먹게 했던 엄마의 급한 성격에, 말을 듣지 않고 떼를 쓰면 묵직하게 맞았던 기억들에 쌓이고 쌓였던 알 수 없던 억울함들이 마음에 생생하게 남아있다. 내 친구들이라고 다를 바 없었던 어린 시절. 그 시절 부모들은 그렇게 아이들을 키워왔다. 눈 뜨면 월화수목금토 일을 나가 야근을 하고 열심히 저축을 하고 또 일을 하러 나가던. 엄마들은 열심히 아이들을 보고, 시부모님을 모시고 자식이 대학을 가는 게 인생의 최종 목표인 삶.


1950년대의 캐나다 가족과 한국의 거리의 모습, 아이를 안은 엄마(왼쪽)와 아이를 업고 일터에 나온 엄마(오른쪽)의 모습.

우리 부모님은 1950년, 1060년대 생이다. 한국 전쟁이 1953년에 끝났으니 우리 아버지는 그 전쟁이 끝나고 먹고사는 문제가 차마 해결되기도 전에 태어난 아기였다. 당장 배를 굶지 않기 위해 닥치는 대로 보이는 일을 해야 하고 미래가 보이지 않는, 하루하루를 연명해야 했던 그 시절에 내가 엄마였다면 나는 어떤 엄마였을까? 다정하게 우는 아이를 달래줄 수 있었을까? 얼른 누구 한 명이라도 더 일을 나가야 하는 상황에서 아이와 별을 보고 아이의 꿈 따위를 들어줄 여유가 있었을까?


그렇게 자란 아기는 나의 부모가 되었다. 세대를 걸쳐 재빠르게 성장한 우리나라. 대학을 나온 이들이 잘 살아가는 것을 본 우리 부모 세대는 자식들의 공부에 온 열정을 다했다. 대학을 나오면 행복하다고. 안정적인 평생직장이 너의 평생을 행복하게 해 줄 거라고. 그들은 먹고살 걱정은 덜었으나 여전히 바빴고, 아빠는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삶, 엄마는 가족을 위해 영혼을 갈아 넣는 삶을 살아갔다.


빠르게 성장한 나라인 만큼,

천천히 배워야 아는 것들을 놓쳐왔다.

누구도 아이다움을 존중받지 못했기에

아이는 아이다워도 괜찮다는

그 가치관을 대물려주지 못했다.



지금의 30, 40대 부모들이 힘든 이유는 여전히 아이답지 못했던 어린 시절, 알아야 줄 수 있는 것들을 주지 못해 헤매고 있어서가 아닐까? 누군가는 너무 억울해서 아이의 아이다움을 과하게 보호하다 탈이 나거나, 누군가는 여전히 자신이 받은 그 악순환의 대물림을 끊지 못해 아이에게 어른답길 기대하거나.


나쁜 대물림을 끊는 방법은 뼈를 깎는 고통으로 이를 악물고 해야 한다고 한다. 어쩌면 나 역시 원망했던 부모도 나를 위해 그 나쁜 대물림을 끊어내려고 부단히 애를 써왔을지도 모른다. 늘 야근하고 토요일까지 출근하면서도 꼭 일요일에 나와 동생을 데리고 산을 오르고 바다에 튜브를 던지던 추억이 분명 있으니까. 심심해하는 우리에게 오목을 알려주던 그 작은 방의 온기가 분명 있었으니까.


캐나다 부모들이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 

'아이다운 어린 시절'.

우리도 물려받지 못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 세대를 걸쳐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닌 방향이니까.

그래서 오늘 나는 어떤 마음을 물려주었을까?


[사진 출처] (1) alamy (2) 편린-1952년 스위스 출신 베르너 비숍 촬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