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심한 째까니 Sep 23. 2024

고수의 향기

향기

  

절기를 무시한 더위가 이어지던 8월 말, 포항에 갔다. 남편은 휴가를 내고 나는 수업을 조정했다. 뒤늦은 여름휴가는 아니었다. 친구 아들의 훈련소 입소에 동행하고자 시간을 냈다. 어렸을 때부터 봐서 남다른 마음도 있었지만 한 번도 경험해 보지 않은 일이라 호기심도 일었다. 딸만 둘인 데다 조카들도 여자애들이라 앞으로도 그런 기회는 오지 않을 것 같았다. 다행히 거리가 멀어 집안 어르신들이 가지 않는다고 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함께할 수 있었다. 월요일 오후 두 시 입소였지만 우리는 일요일 오후에 출발했다. 아이에게 회도 먹이고 포항도 구경시켜 주자는 이유였다. 그러나 순수하게 그런 의도만 있었던 것 같지 않다. 다녀온 후 사진을 보니 여름 밤바다를 즐긴 건 대와 상관없는 어른들이었다.  

   

전날 친구들과 마신 술이 덜 깬 아이는 가는 내내 잤다. 30년 전에 군대를 다녀온 두 남자는 그 시절 얘기로 열을 올렸고 친구와 나는 커피를 홀짝이며 지루한 이야기에 장단을 맞춰 주었다. 남편이 제대한 후에 만나서 훈련소까지 동행한 여자 친구도 내가 아니었고 편지로 이별을 고한 사람도 당연히 내가 아니다. 그리고 나는 군대 가는 동기나 선후배는 있었으나 남자 친구를 군대에 보낸 경험이 없어서 이 모든 상황이 즐거웠다. 심란한 아이에게는 조금 미안했지만.      


그날 밤 30년 선배들과 입소 예정 훈련병은 파도 소리를 들으며 술잔을 주고받았다. 천일야화와 맞먹는 군대 얘기는 끝날 것 같지 않았다. 입소가 천일 후가 아닌 게 얼마나 다행인지. 다음날, 늦은 아침을 먹으려고 식당을 검색했다. 점심으로는 조금 이른 시간이라 갈 만한 곳이 많지 않았다. 남편이 포항에 왔으니 이 지역 음식을 먹자며 ‘모리국수’ 어떠냐고 묻는다. 다들 처음 들어 본 음식이었다. 그게 뭐냐고 하니 칼국수 같은 거란다. 면을 좋아하는 남자들이라 생소한 음식이지만 국수가 국수겠거니 하며 먹자고 한다.     


카카오 맵을 켜고 골목을 빙빙 두 바퀴 정도 돌았을 때 정말 조그맣게 간판이 보였다. 골목 여기저기 번듯한 간판을 단 모리국숫집이 많았지만 남편이 가고자 하는 집은 현지인이 인정하는 곳이었다. 골목 입구부터 즐비한 낡은 의자를 보니 믿음이 갔다. 그런데 식당으로 들어서는 순간 대기 의자가 많은 이유가 꼭 맛 때문이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탁자가 세 개밖에 없었다. 벌써 한 가족이 에어컨 앞을 차지하고 있었다. 우리는 출입구에 가까운 에 앉았다.    

  

방 앞 쪽마루에 앉은 할머니는 우리가 메뉴를 정할 때까지 기다렸다. 미닫이문에 에이쓰리(A3) 정도의 메뉴판이 붙어 있었다. ‘모리국수 2인분 15000, 3인분 20500 ….’ 메뉴는 모리국수 단 하나였다. 우리가 5인분을 주문하자 할머니가 일어선다. 작은 체구의 할머니는 허리까지 ㄱ자로 꺾여 있어 더 왜소해 보였다. 할머니가 주방으로 들어가자 친구가 내 옆구리를 찌르며 선반을 눈으로 가리킨다. 거기에는 즉석밥이 상자째로 쌓여 있었다. 오로지 국수만 끓이겠다는 집념처럼 보였다. 밥 따위는 하지 않겠다는. 그 메뉴판 아래로 허영만 만화가의 방문 인증 사인이 붙어 있었다. 여느 맛집 인증 사인 판과는 달랐다. 보통은 사인한 종이가 찢어지거나 바래지 않게 코팅하는데 그 사인 판은 종이 위에 테이프를 바로 붙여 놓았다. 그런 인증 따윈 필요 없다는 듯. 고수의 향기가 났다. 앉은 자리에서 주방이 보였는데 일을 하는 사람은 할머니 한 사람이었다. 음식이 나오는 동안 모리국수가 뭔지 찾아봤다.      


모리국수 이름은 생선과 해산물을 ‘모디’(‘모아’의 사투리) 넣고 여럿이 모디(모여) 먹는다고 ‘모디국수’로 불리다가 ‘모리국수’로 정착됐다고 보거나 음식 이름을 묻는 사람들에게 ‘나도 모린다.’고 해서 생겨났다는 설도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그곳이 일본인 집성촌이어서 ‘많다’는 뜻을 가진 일본어 ‘모리’를 써서 모리국수가 됐다는 말도 있었다. 설도 재료도 다양한 음식이었다.

     

먼저 온 손님 음식이 나오고 뒤이어 우리 것도 나왔다. 할머니가 커다란 냄비를 실은 카트를 밀고 옆으로 왔다. 냄비 크기에 놀라고 있는데 친구 남편에게 테이블로 옮겨 달란다. 건장한 성인 남성이 일어나 단단히 잡고 옮겨야 할 무게였다. 냄비 안 재료는 별거 없어 보였다. 빨간 국물 안에는 대가리를 딴 콩나물, 면, 아귀 그리고 명태가 들어 있었다. 그냥 생선 매운탕에 칼국수 면을 넣은 거였다. 아침도 잘 먹지 않는데 거기다 생선 매운탕이라니. 마늘 맛이 많이 나는 칼칼한 국물을 몇 숟갈 뜨고 말았다. 재료가 싱싱하기도 하고 원래 비린내가 많이 나는 생선들이 아니어서인지 맛이 크게 나쁘지는 않았다. 그러나 아침으로 먹기는 좀 부담스러웠다. 예비 훈련병이 잘 먹어서 그나마 위안이 됐다.     


아침부터 시작된 빨강은 해병대 훈련소까지 이어졌다. 800여 명의 까까머리 아이들이 ‘어머니, 아버지 사랑합니다.’라고 함성을 지른다. 코가 시큰해지더니 이내 빨개졌다.  

‘남의 아들, 건강하게 잘 다녀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