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명숙 Nov 21. 2022

글 쓸 권리

글감과 의미만 있다면


글쓰기를 쉽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 백일장이나 문학상 심사를 한 후, 심사위원들에게 남은 한 가지 숙제가 있다. 심사평을 쓰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을 쓰기 좋아하고 쉽게 생각하는 심사위원은 단 한 사람도 없다. 심지어 서로 미루는 경우까지 있다. 할 수 없이 한 단락씩 쓰면 취합하여 마무리하겠다고 하기도 한다. 심사위원들이 대부분 문학 전공자이거나 작가인데도. 그만큼 글쓰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방증하는 예이다.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는 남들처럼 쓰려고 하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하는 것을 쓰면 되는데, 남들이 생각할 법한 것을 쓰려고 하니 말이다. 교과서나 어디서 본 듯한 글처럼 쓰려고 하면 안 된다. 그것처럼 어려운 게 어디 있을까. 그런 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남이 쓴 글은 아무리 좋아 보여도 내 글이 아니다.


물론, 내 생각을 쓴다고 해도 만만치 않다. 먼저 단어의 선택이나 문장이 올바른지, 내 생각이 문장으로 잘 표현되는지 등등 자신 없는 게 한두 가지 아니다. 그런 부분들은 익혀둘 필요가 있다. 그 방법이 자꾸 써보고 고치는 수밖에 없다. 사람과 집은 매만질수록 예뻐진다고 하지 않는가. 글도 그렇다. 자꾸 만지작거려야 글이 제대로 된다. 잘된 글은 그만큼 고쳐 쓰기를 많이 했기 때문이다. 아, 원론적인 이야기. 하지만 방법이 없다.

 

이러한 내 말이 사족이 될 것 같다. 단지 나는 이렇게 쓴다는 경험을 말하는 것이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한 방법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특별한 비법도 없다. 비법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은 듯하다. 아무리 비법이라 해도, 다른 이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사람마다 경험이 다르고,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인식이 다르며, 글을 쓰는 습관도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화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


내가 산문집을 내고 얼마 후 친구가 말했다. 책을 잘 읽었는데, 그 비슷한 경험은 자기도 많고 그렇게 쉽게 쓰는 거라면 쓸 수 있겠다고. 당장 오늘부터 한 편 써봐야겠노라고. 다행스러웠다. 내가 한 친구에게 창작 의욕을 불러일으켰다면, 그것도 보람 있는 일 아닌가. 그래서 좋은 생각이라며 쓰라고 했다. 삼 일 후 그 친구가 다시 말했다. 그렇게 쉽게 읽히는 글을, 자기도 꼭 쓸 것 같은 글을, 막상 쓰려고 하니 안 된다는 거였다. 쉽게 말해서 미안하다고, 아무나 쓸 수 있는 건 아닌 것 같다며 웃었다.


지금부터라도 매일 조금씩 쓰다 보면 할 수 있으니, 며칠 전 먹었던 마음을 그만두지 말라고 했다. 나는 몇십 년을 썼는데, 이제 삼일 쓰려고 해 본 것이니 당연한 거라고. 친구는 한숨을 내쉬었다. 그냥 남의 글 읽기만 하겠단다. 읽다 보면 또 쓰고 싶은 날이 올 테니, 그럼 그때 다시 써보라고 했다.


다른 사람이 노력한 시간들을 뛰어넘기는 쉽지 않다. 그런 시간을 보낸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분명히 다를 것이다. 글을 꼭 쓰고 싶다면, 그런 시간들이 있어야 한다. 혼자 고민하고, 다르게 생각하며,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이 필요하다. 그것을 뛰어넘고 글을 쓰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간혹 특별해 보이는 사람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알고 보면, 그렇게 보였을 뿐 숨겨진 노력이 분명히 있었다. 그래서 잘 쓰는 사람에게 나는 열등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냥 인정한다. 그가 글쓰기에 보낸 시간과 열정을. 이건 순전히 내 생각이다. 진정 타고난 특별한 사람이 있을 수도 있으니까. 백 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대문장가가 있을지 어찌 알겠는가. 나는 지금까지 그런 사람을 본 적이 없으니 드러나지 않는 노력이 있었을 거라고 말하는 것이다.


쓰지 않고 배길 수 없는 사람만이 오래 쓸 수 있다. 아니면 조금 쓰다 만다. 그 많은 문학전문지와 신문을 통해 등단한 사람이 모두 얼마겠는가. 글쓰는 공간 또한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도 수없이 많다. 처음에는 쓰고 싶어서 시작했겠지만 스스로 한계를 느껴 그만두기도 하리라. 계속하거나 그만두는 것에 대해 판단하고 싶지 않다. 단 오래도록 쓰려면 쓰지 않고는 안 되는 특별한 마음, 열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아주 어렸을 적부터 글쓰는 사람이 되고 싶었다.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그냥 글쓰는 행위 자체에 흥미가 있었다. 그러다 4학년 때 원고지에 쓴 짧은 글이 교실 뒤 ‘솜씨 자랑’ 게시판에 붙으면서 확고해졌다. 이름을 널리 알리는 작가가 되어도 좋지만 그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는 않다. 글쓰기는 내 벗이고, 가장 오래 할 수 있으며, 오랜 염원이었기 때문에, 쓰는 행위가 좋다. 그것을 나는 ‘글 쓸 권리’라고 생각한다.


하루 중 상당 부분 무엇을 쓸까, 어떻게 쓸까, 왜 쓰는가, 고민한다. 그 자체가 나는 즐겁다. 학교에 있을 때보다 퇴직한 지금이 훨씬 좋다. 논문보다 짧은 에세이라도 쓰는 게 더 자기 성찰적이어서 그럴까. 내 삶을 돌아보는 게, 나와 깊이 마주하는 게, 참 좋다. 그런 시간들이 많지 않았던 지난날의 기억을 되살려 글로 재현해보는 것도.


시답잖은 이야기라 할지라도 내가 의미 있게 생각하면 글감이 될 수 있다. 그것을 놓치지 말고 단상이라도 써놓고, 후에 퇴고 과정을 거치면 좋은 글로 탄생할 것이다. 글쓰기에 관심과 애정은 날이 갈수록 더 깊어질 것 같은 조짐이다. 이러한 모든 것이 ‘글 쓸 권리’다. 남을 의식하지 않고, 내 글을 쓰면 된다. 그게 매일 조금씩이라도 글을 쓰는 나의 권리다.

이전 03화 나는 전략가를 꿈꾼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