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서우 Oct 09. 2022

제천 배론성지

한국 천주교가 우뚝 선 이유는 최양업 신부의 헌신과 이웃사랑이 아닐까? 

제천 시내 외곽에서 제천천을 따라 지나가는 5번 국도를 타고 원주방향으로 가다 보면 왼편으로 천주교 성지로 가는 길이 보인다. 이름은 배론성지. ‘배론’은 마을 계곡이 ‘배 밑바닥을 닮았다’고 해서 유래한 이름인데, 오늘날 천주교 원주교구 성지와 피정시설인데, 사제·부제 서품식과 순교자 현양대회와 같은 교구 행사도 이뤄진다.


성지의 역사도 200년이 넘었다. 원래는 신유박해를 피해 들어온 교우들이 모여 형성된 마을이었는데, 황사영이 백서(帛書)를 썼던 토굴, 최초 신학교인 성 요셉 신학당과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사제가 된 최양업 신부의 묘가 있다. 신유박해부터 병인박해 이전 시기까지 한국 천주교의 개척과 수난사를 잘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다.


이전에는 천주교인들의 피난처이자 교우촌이었지만, 지금은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배론 성지로 가보자.


황사영 백서 사건과 성 요셉 신학당

     

배론성지는 제천 봉양읍 구학리에 있다. 중앙고속도로 제천 나들목에서 38번 충주방향으로 나가 봉양읍에서 원주로 가는 5번 국도를 타자. 왼편에 있는 제천천을 따라 옛 구학역을 지나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현판을 따라 좌회전하면 배론성지에 도착한다.


배 밑바닥을 닮았다고 해서 지어진 배론성지. 성지 주변을 보니 말 그대로 첩첩산중이다. 왜 초기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이곳으로 피신했는지 이유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피신을 했더라도 혹시나 천주교를 탄압하기 위해 관군들이 들이닥칠까 봐 안절부절못했던 옛 신자들이 떠오른다.


성지에 들어서니 피정 시설답게 중앙에 연못이 하나 보인다. 연못 위로는 전통건물인 성 요셉 성당과 성당 뒤로 탑이 하나 있는데, 탑에는 ‘황사영 순교현양탑’이라는 문구와 두 손을 하늘로 올린 옛 전통 옷을 입은 청동상이 있다. 황사영이라. 그렇다. 조선 후기 역사를 깊게 들어가면 순조 원년(1801) 때 일어난 신유박해가 있었는데, 그중 '황사영 백서 사건‘이 나온다. 


황사영이 신유박해를 피해 백서를 썼던 토굴. 1987년 서울대 역사교육과 이원순 교수의 고증을 통해 복원되었다. 현재 백서 원본은 교황청 민속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배론성지 옹기가마. 신유박해를 피해 들어온 신도들의 생계수단이었다. 신앙촌에 옹기장수와 행상들도 있었는데, 옹기를 사고 팔면서 신앙촌 간 정보수집 및 공유하고 안전을 유지했다.


황사영 순교현양탑. 신유박해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인물이다. 백서 후반부에 언급한 청나라와 서양 군대의 개입 요청은 조선 조정이 천주교 박해에 더 박차를 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현양탑 오른편에 보면 황사영이 신유박해 이후 피신한 토굴이 있다. 이후 같이 배론으로 피난 온 황심을 만나 대책을 논의한 끝에, 토굴에서 흰 비단 위에 박해에 대한 전말과 대응책에 대한 검은 먹글씨 밀서를 작성하여 북경 구베아 주교에게 전달하기로 했다. 전달은 해마다 북경 동지사 일행에 끼어 들어오는 옥천희에게 전달하려고 했지만, 북경에서 의주로 돌아오는 길에 옥천희는 체포되고 만다. 포도청에서 고문을 못 견딘 그는 황심과의 관계를 말하게 되고, 이후 황심과 황사영도 체포된다.


백서는 박해로 폐허가 되고 어려움에 처한 조선교회의 현실과 신유박해 때까지 이뤄진 조선 조정의 천주교 탄압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하지만 후반부 문구들이 조선 조정을 경악케 했는데, 그중 일부를 살펴보자.


誠以此時命爲內服 混其衣服 通其出入 屬之於寧古塔 以廣皇家根本之地

진실로 이러한 때에 속국이 될 것을 명하여 그 옷을 같이 입게 하고 왕래를 터놓아 조선을 영고탑에 소속시켜 황조의 근본이 되는 땅을 넓히십시오.


영고탑은 청나라의 기원지다. 즉 조선을 청나라의 속국으로 만들어 달라는 이야기다. 게다가 서양 배 수백 척과 정병 5,6만을 대포와 날카로운 무기로 무장시켜 조선에 신앙의 자유를 허락해달라고 협박해주기를 희망했다. 이건 당시 반역죄에 해당되는 죄목이라, 조정의 천주교 박해가 더 거세지는 단초가 되었다. 물론 이런 어리석은 문구를 적은 황사영도 거열형에 처해졌다.


신유년 피바람이 일어난 지 50여 년 후 배론에 이방인들이 찾아오게 된다. 프랑스 외방선교회 선교사 메스트로가 자신의 집을 봉헌한 교우촌 회장 장주기 요셉의 도움을 받아 1855년 황사영 토굴 근처에 성 요셉 신학당을 설립했기 때문이다. 이듬해 푸르티에 신부가 교장으로, 프티니콜라 신부가 교수로 재직하여 전공을 신학과와 라틴어과로 나누었다. 동물, 식물, 지리학과 의술과 같은 과학지식과 일반상식도 가르쳤는데, 당시 조선에서 유일했던 서양식 근대학교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1년 후 열악한 조건 속에서도 8명의 신학생을 배출할 수 있었지만, 푸르티에, 프티니콜라 신부, 장주기 그리고 세 명의 신학생이 한강 새남터에서 병인박해로 순교하면서 신학교는 문을 닫게 된다. 하지만 이들의 유산은 20여 년 후 원주시 부흥골 임시 신학교를 거쳐, 서울 용산 예수성심신학원, 오늘날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로 이어지게 된다. 배론 산골짜기 초가집 신학당은 우리나라 가톨릭계 신학교의 기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배론 성 요셉 신학당. 오늘날 각지 가톨릭대 신학과의 모태가 되었다. 오늘날 신학당은 2003년 충청북도가 지원하여 복원했는데, 6.25전쟁 때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교장 푸르티에 신부(좌)와 교수 프티니콜라 신부(우). 두 신부는 1866년 병인박해로 순교했다. 하지만 이들이 남긴 유산은 오늘날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로 이어진다.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


성 요셉 신학당 건너에 또 다른 추모시설이 있는데, 최양업 토마스 신부 조각공원과 기념성당이다. 조각공원에 가면 최양업 신부의 생애를 볼 수가 있다. 최양업의 가족은 이미 증조부 때부터 천주교 집안이었다. 15세에 파리외방전교회 피에르 모방 신부에 의해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1836년 김대건과 최방제와 함께 마카오로 유학을 떠나 전교회가 임시로 만든 신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안타깝게도 이듬해 최방제는 위열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유학 시절 흥미로운 기록을 하나 볼 수가 있었는데, 1839년에 7개월 동안 김대건과 함께 마닐라 일대에 피신했다는 내용이다. 한국 가톨릭 교회사의 대가인 故 최석우 몬시뇰은 당시 포르투갈 선교 보호권 때문에 파리외방전교회를 축출하려고 위협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처음에는 도미니코회 수도원에서 지내다가 마닐라에서 30km 떨어진 수도회 농장에서 생활했다고 하는데, 짧은 기간이지만 아직 10대를 못 벗어난 소년이 낯선 열대기후에서 고생한 모습이 떠오른다.


배론성지 최양업토마스신부기념성당. 배의 밑바닥을 형상화해 지었다.


대성당 왼쪽 소제단. 최양업 신부의 활동을 지도로 보여준다.


하지만 필리핀에 머물던 시절 최양업의 가족은 기해박해로 풍비박산이 나게 된다. 부친 최경환과 모친, 게다가 자신을 신학생으로 선발한 피에르 모방 신부마저 이로 인해 순교하게 된다. 가족과 스승을 잃은 슬픔이 있었지만 후에 홍콩에서 기해박해 순교자들의 행적을 프랑스어에서 라틴어로 옮기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1849년 김대건에 이어 두 번째로 사제서품을 받았는데, 이때 조선 입국을 시도한다. 


사제서품을 받기 전에도 김대건 신부가 25세의 나이에 병오박해로 순교하자, 조선으로 들어가려는 시도는 계속 이뤄졌지만 실패했다. 그러다가 서품을 받은 해 12월에 극적으로 조선으로 귀국하게 된다. 귀국 이후에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삼남지방 127개의 공소를 모두 도보로 걸어 다니면서 사목활동을 했는데, 매년 7,000리(약 2,800km)를 걷는 도보 사목 생활을 무려 11년 6개월이나 계속했다고 한다. 이렇게 사목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오랜 기간의 박해 때문에 신자들의 고해성사가 밀려 있었던 데다가 신부 수가 부족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천주성교성과> 기도서를 번역하고, <서정가>, <사심판가>, <공심판가> 등의 천주가사를 저술하기도 했다. 하지만 무리하며 전교에 힘쓰다가 문경에서 과로로 쓰러져 향년 40세의 나이로 선종하게 되는데, 오늘날 성 요셉 신학교 뒷산에 그의 묘소가 있다. 한국 천주교에서는 김대건 신부를 ‘피의 증거자’, 최양업 신부를 ‘땀의 증거자’로 일컫는데, 최양업 신부의 발로 뛰는 전교 활동이 있었기에 오늘날 한국 천주교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최양업 신부 조각공원. 땀의 순교자로 살았던 생애를 그대로 보여준다.


최양업 신부의 묘소. 성 요셉 신학교 뒷산에 있다.


황사영 백서 사건부터 성 요셉 신학당과 최양업 신부의 활발한 전교 활동으로 알려진 배론성지는 조선 초기 열악했던 천주교 신도들의 사정과 조선 조정에서 이뤄진 천주교 박해의 역사를 생생히 보여준다. 심지어는 조선인 신자를 위해 헌신했던 프랑스인 신부들까지 순교했을 정도니까.


하지만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정착된 이유는 황사영이 바랐던 외세의 개입이 아닌 최양업 신부와 프랑스 신부들의 삶처럼 몸을 아끼지 않은 헌신과 사랑으로 이뤄진 것이 더 크다는 사실이 내가 성지에서 얻은 교훈이다. 남을 총칼로 굴복시키기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새 계명으로 말씀하신 이웃사랑이 천주교 신자, 비신자를 떠나 이 땅에 살아가면서 중요한 일이 아닐까?


배론성지를 나서며 본 문구. 최양업의 열번째 서한에 나온다. 하느님의 자비를 무엇보다 강조한 내용인데, 이것이 진정한 한국 천주교의 뿌리가 아닐까?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오마이뉴스에 동시 게재되었습니다.



이전 04화 단양 팔경 유람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