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weet little kitty Jun 12. 2024

그림 속 큐피드의 실례

배뇨 장면을 그린 그림들

어린 남자아이가 시커먼 독수리에게 잡혀가는 그림이 있습니다. 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1606-1669)의 <가니메데의 납치 또는 강간>입니다. 날개를 펼친 독수리가 부리로 가니메데의 옷을 잡고 발톱으로는 왼팔을 쥐고 있습니다. 가니메데는 고통스럽게 울면서 뒤를 바라봅니다. 오른손으로 새를 밀어보지만 역부족입니다. 겁에 질린 가니메데의 다리 사이로 소변이 떨어집니다. 왼손에는 체리를 들고 있는데, 성적인 대상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천둥번개가 칠 것 같은 어둡고 음침한 하늘이 비극과 공포의 분위기를 고조시킵니다.

  

렘브란트, 가니메데의 납치(The Abduction of Ganymede), 1635, 드레스덴 주립 미술관

가니메데(또는 가니메데스, Ganymede)는 트로이의 왕자로, 호머의 일리아드에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존재’로 묘사됩니다. 제우스는 그의 아름다움에 반해 독수리로 변장한 다음 납치합니다. 가니메데는 신들의 술잔을 채워주는 역할을 맡게 되고, 나중에는 밤하늘로 올라가 물병자리가 됩니다. 이 이야기는 후대로 내려오면서 동성애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고대 로마에서는 젊은 남성의 몸을 성적인 대상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고, 황제도 남성을 애인으로 두는 경우가 흔했습니다. 그러나 테오도시우스 황제 이후로는 동성애를 처벌하기 시작했습니다.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의 부유한 도시에서는 동성애가 퍼지기도 했지만, 종교개혁이 시작되자 예술가들은 더 이상 동성애를 다루지 못했습니다. 마침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던 렘브란트는 동성애를 상징했던 가니메데를 미소년이 아니라 아예 어린아이로 그렸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얼굴은 몸집에 비해 성숙해 보이고, 하체도 비만하여 청소년을 작게 압축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어떤 이들은 가니메데를 질병 등으로 생을 마감하여 ’ 하늘이 일찍 데려간 아이’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어찌 됐든 공포에 질려 소변이 나오는 줄도 모르고 끌려가는 가니메데의 표정은 너무 가엾습니다.


적당한 수준의 긴장을 하면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방광의 평활근은 이완되고 괄약근은 수축되어 소변을 참을 수 있게 됩니다. 더 급한 일이 있으니 일단 소변을 참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극도의 불안과 공포를 느끼게 되면, 극도로 흥분한 교감신경계에 맞서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됩니다. 성인을 기준으로 대개 300cc 이상 방광이 차면 요의를 느끼는데, 갑자기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면 아직 요의를 느끼지 않아도 방광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괄약근을 열어 소변을 보게 됩니다.


아동이 소변을 보는 그림을 또 하나 볼까요?

루벤스(Peter Paul Rubens,1577-1640)가 술의 신 바커스(Bacchus)를 그린 <바커스>입니다. 바커스의 왼쪽에는 떨어지는 술을 받아먹는 아이가 있고, 우측으로는 소변을 보고 있는 아이가 있는데, 이런 아동을 ‘푸토(putto)‘라고 부릅니다. 푸토란 작품에 등장하는 통통하고 벌거벗은 아동으로 대개 천사나 큐피드를 상징합니다. 그림의 양쪽에 푸토가 한 명씩 있는데, 오른쪽의 푸토가 배를 내밀고 당당하게 소변을 보고 있어 보는 이를 당황스럽게 합니다.



루벤스, 바커스, 1638-1640, 에르미타주 미술관  


루벤스는 다른 화가들과 달리 바커스를 매우 비만한 체형으로 그렸고, 그림 속에서는 술의 신답게 잔이 넘치도록 술을 부어 마시고 있습니다. 왼쪽의 아동은 바커스의 잔에서 떨어지는 술을 받아마시고, 오른쪽의 아동은 대놓고 소변을 보고 있는 장면에 부끄러워집니다. 가슴을 드러낸 여성이 바커스에게 큰 병에 든 술을 역시 큰 잔에 따라주고, 떨어지는 술을 아이가 마시는 장면은 한심하기 짝이 없습니다. 루벤스는 대체로 무엇이든 풍요롭게 그렸지만, 적어도 이 그림에서는 과도하게 술을 마시는 행위를 경계하고 있습니다. 물이나 음료를 많이 마시면 소변을 많이 보게 되고, 특히 술은 간에도 나쁜 영향을 줍니다. 우리가 몸에 좋다고 여기는 물도 극단적으로 많이 마시면 혈중 나트륨 농도가 낮아져 뇌부종이 올 수 있습니다.

   

귀도 레니, 1623, 술 마시는 바커스(A Drinking Bacchus)

 

이탈리아의 바로크 화가 귀도 레니(Guido Reni,1575-1642)는 주로 종교화를 그렸습니다. 귀도레니는 이탈리아 볼로냐의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9살부터 화실에서 수습생으로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고, 뛰어난 재능으로 다양한 화가들의 화풍을 받아들여 자신만의 화풍을 완성합니다. 신성한 분위기의 종교화를 많이 남겼지만, 스탕달 신드롬을 일으키는 <베아트리체 첸치의 초상>으로 더 유명합니다.

렘브란트가 가니메데를 아이로 표현한 것처럼 귀도 레니는 바커스를 성인이 아닌 통통한 아이로 그렸습니다. 통통하고 귀여운 외모에 머리에 화관을 쓰고 있지만 삐딱한 자세로 술을 마시고 있어 동심이 파괴되는 순간입니다.                                                            


술을 마시면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는데, 이는 알코올이 ’ 바소프레신‘이라고 불리는 항이뇨호르몬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바소프레신은 뇌하수체의 후엽에서 분비되는데, 수분을 재흡수하고 소변을 너무 많이 보지 않도록 합니다. 알코올은 이러한 항이뇨작용을 억제하여 오히려 ’ 이뇨‘를 일으키는 것이지요.      

 오늘날에는 술뿐 아니라 우리를 즐겁게 하는 음료가 많이 소비됩니다. 그러나 당분과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과다섭취하면 당뇨와 비만, 위식도 역류, 불면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 청소년은 장시간 공부를 위해 카페인이 든 음료를 많이 마시는 편입니다. 이른 나이부터 카페인에 노출되면 위장과 수면습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칩니다.      


렘브란트는 납치당하는 가니메데를 소변을 찔끔하는 아이로 표현함으로써 동성애의 이미지를 걷어냈습니다. 루벤스와 귀도 레니는 아이가 소변보는 모습을 통해 무분별한 풍요와 방종을 경계했습니다. 모두 성인으로 표현했다면 조금은 불편했을 장면인데, 아이의 모습으로 그려 수치심과 불쾌감을 덜어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림 속 아동의 모습을 통해 화가가 표현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새기고, 절제와 균형의 미덕을 배워갑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