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준민 Dec 01. 2023

학습자 중심 교육(SCL)이 뭘까4

'나만의 목표'가 있어야 학습에서 주도성을 발휘한다

Own it : 학습의 주도권을 부여하라

디자인 지침 2개인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 기회 제공   
  

 학습의 주도권을 학습자에게 부여하기 위해 교수자는 학생이 외부에서 부과된 활동에 참여할 때, 개인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을 장려한다(Lee, Hannafin, 2016). 학생들은 자신의 개인 목표 또는 결과를 명확히 하고, 그 가치를 더 두드러지게 만들고, 목표 완성을 위한 경로와 이정표를 명시함으로써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인다(Wigfield & Eccles, 2000). 명확한 목표 설정은 참여, 지속성, 전략 사용을 촉진하고 불안, 실망, 좌절을 감소시키며(Locke & Latham, 2002), 학업 성취도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Acee et al., 2012; Morisano et al., 2010).

 학생의 개인 목표는 외적 가치를 가질 수도 있지만(예: 성적 또는 졸업), 도구적 유용성을 확보하는 데 그 초점을 둘 수 있다(Kim, 2012). 이때 도구적 유용성은 쉽게 말해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유용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Keller(2009)의 동기 디자인 모델프로젝트의 유용성 가치를 높이기 위해 프로젝트를 학생들의 개별 요구에 맞추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설정한 프로젝트를 해결할 때, 그들은 자신의 프로젝트에 자발적으로 헌신하게 된다. 이러한 열정과 주도권은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감정과 태도, 그리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Lee, Hannafin, 2016).

 교수자는 학생들이 자신의 개인 목표를 문서화하고 행동 계획을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Lee, Hannafin, 2016).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성과 또는 실패를 반성하고 행동 계획을 수정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대학 수학 보충 과정의 예에서, 가상 변화 아바타는 자신의 행동을 지침으로 삼기 위해 어떻게 개인 목표와 계획을 만들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Kim & Bennekin, 2013). 이렇듯 목표 전염 접근 방식(Aarts et al., 2004)을 통해 학생들은 아바타의 목표를 자신의 것으로 채택하고 더 나아가 완전학습을 위한 구체적이고 근접한 목표를 설정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하여 스스로의 행동을 계획하도록 장려되었다.


<자립준비 청소년 대상 10주차 메타버스 진로교육과정>의 적용 

(1)학생들은 자신들의 개인적인 진로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진로탐색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교수자는 학생들이 자신만의 진로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관심직업 탐색, 관심직업이 실제로 하는 일/연봉/커리어 패스 탐색)를 제공하고, 구체적으로 자신의 진로로드맵을 계획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였습니다. 진로로드맵을 통해 결국 개인적인 진로목표를 문서화하고, 어엿한 직업을 갖기 위한 행동계획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2)또한 자신의 개인적인 진로목표를 달성 가능한 형태로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모델링을 통해 학생들이 실현가능한 진로목표로 수정할 수 있도록 스캐폴딩 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자립선배들의 다양한 성공 사례들을 통해 앞서 제시한 목표 전염 접근 방식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학습자중심교육 #SCL #주도성 #목표설정 #동기 #목표전염접근방식 #모델링

작가의 이전글 학습자 중심 교육(SCL)이 뭘까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