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준민 Nov 27. 2023

학습자 중심 교육(SCL)이 뭘까3

'학습의 의미'를 알아야 주도성을 발휘한다

Own it : 학습의 주도권을 부여하라 

1) 디자인 지침1 : 외부 목표의 보증을 촉진하라     


 자율성은 개인의 주도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외부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증명하는 데에도 적용된다(Ryan & Deci, 2006). 학생들은 활동의 의미와 가치를 보증받을 때 외부 목표를 향해 자율적으로 노력할 수 있다. 이를 촉진하기 위해 교육자는 활동이 학습에 왜 중요한지, 활동이 더 넓은 학습 목표 달성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그 이유설명해야 한다. 목적과 가치에 대한 설명이 제공될 때 학생들은 더 자발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Reeve et al., 2002).

 예를 들어, 커뮤니티 칼리지의 수학 보충 과정에서는 각 수업의 시작 부분에 가상 변화 아바타가 나타나 관련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의 의미와 가치, 학습 목표를 추구할 이유를 인식하도록 돕는다. 이것은 학생들이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이후 연습의 기반이 되었다. 가상 변화 아바타와 상호 작용한 학생들은 아바타에 접근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과정의 내재적 가치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학기 초에 확립된 초기 학습 욕구는 학기 내내 지속 되었다(Kim & Bennekin, 2013).

 

<자립준비 청소년 대상 10주차 메타버스 진로교육과정>의 적용

어엿한 직업을 갖기 위한 진로를 설계하고, 미래의 자산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결국 ‘온전한 자립’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OT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어엿한 직업을 갖지 못한 채 수급비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 생기는 문제를 먼저 제시하여 학생들이 심각성을 먼저 깨달을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해당 교육을 통해 어엿한 직업을 갖고 자산관리 계획을 갖게 되었을 때 어떤 삶을 살 수 있을 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나아가 구체적인 자립 선배들의 삶을 통해 이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다음에는 구체적으로 학습의 주도권을 부여한다의 두 번째 디자인 지침인 '개인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 기회 제공'의 의미가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이를 자립준비 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10주차 메타버스 진로교육과정에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학습자중심교육 #SCL #주도성 #외부목표보증 #학습의미 #동기 

작가의 이전글 학습자 중심 교육(SCL)이 뭘까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