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9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5. 한국어 교실 교재는 뭘로?

by 생글 Aug 08. 2024

학생이 집에 컴퓨터가 없다니 나의 계획은 무산되었다. 

사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경로로 학생들을 지도하려고 했었다. 

<모두의 한국어>를 사용하는 온라인과 <표준 한국어> 교재를 이용하는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면 

같은 내용을 몇 번 반복하게 되는 셈이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런데 컴퓨터가 없다. 

이제 한국에 온 지 몇 달 안 된 학생은 이제야 스마트폰에 적응하는 중이었다. 

물론 이제 초등학교 3학년이니 곧 컴퓨터를 배우게 될 것이고,  얼마 지나지 않으면 

아마 나보다 더 컴퓨터를 잘할 수 있게 되리라. 

하지만 지금은 내가 기대했던 두 가지 경로의 학습은 할 수 없게 되었다. 

결국 나는 주어진 시간 동안에 교재와 여러 가지 부교재를 가지고 

학생과 함께 공부하는 수밖에 없었다. 




지은이 국립국어원 기획 | 이병규 외 집필출판사 마리북스 | 분야 어학> 한국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판형 207*294 | 장정 무선 | 페이지 212쪽 지은이 국립국어원 기획 | 이병규 외 집필출판사 마리북스 | 분야 어학> 한국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판형 207*294 | 장정 무선 | 페이지 212쪽 

주 교재는 국립 국어원에서 발행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편>을 사용하고 있다. 

아마 대부분의 한국어 교실에서 이 교재를 사용할 것이다. 

중도 입국 학생들이 한국의 학교와 교실에 적응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어 있어 좋은 교재이다.

익힘책도 이용하고 있는데, 한국어 수업에서 배운 문법 사항이나 어휘 등을 

연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숙제나 복습하기에 좋다. 


출처: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수학습샘터 국내학령기(초중고) 교재 출처: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수학습샘터 국내학령기(초중고) 교재 


그럼에도 그 연습 문제의 양은 충분하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국립 국어원에서 나온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익힘책> PDF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매번 배우는 내용 부분을 프린트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국립 국어원 한국어 교수학습샘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s://kcenter.korean.go.kr/kcenter/index.do

 



온라인 사이트 <모두의 한국어>를 소개하며 얘기했듯이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편>에 나온 목차는 <모두의 한국어>에 나온 콘텐츠 목차와 

그 내용이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여건만 맞다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통합 수업이 가능하다.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저학년 의사소통 2> 목차


1. 친구와 인사해요

1. 친구와 인사하기

2. 새 짝

3. 친구에게 부탁하기

4. 친구 집

5. 친한 친구

6. 친구 칭찬하기

.

.

.


<모두의 한국어> 2단계 1단원 콘텐츠

출처:모두의 한국어출처:모두의 한국어


따라서 한국어 수업 시간에 교재를 통해 배우고, 

<모두의 한국어>에서 다시 한번 복습을 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각 단계 마지막에는 형성평가 있어 그동안 배웠던 것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도 가질 수 있다. 

문제는 20문제로 쓰기를 제외한 다른 문제들은 마우스 클릭만으로 문제를 풀 수 있다. 

하지만 쓰기 문제는 한국어 키보드를 사용해야 해서 어린 친구들이 사용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니 

이 부분에 있어서는 평가 방법의 대안을 만드는 등 선생님의 융통성이 필요하겠다.




국어 교과 수업을 위해서는 일단 국어 교과서를 이용했다. 

교과서는 국어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가장 잘 알 수 있는 자원이었다. 

미국의 한국 학교에서도 한국의 국정 국어 교과서로 수업을 하기도 한다. 

초등학생 수준에서는 문법 용어를 어떻게 말하는 지, 

어떤 순서로 진행하는 지 잘 나와있고,

몇 개 학년의 국어 교과서를 살펴보면 어떤 차례로 국어 진도가 나가는지 

알 수 있어서 생의 수준에 맞춰 1학년 교과서를 사용해 가르치지만 

학생 학년에 맞춰 심화 학습을 해 줄수도 있다.

다만 학생들의 어휘가 너무 부족해서 학년에 맞춘 학습은 좀 많이 어렵긴 하다.   


브런치 글 이미지 4
브런치 글 이미지 5


<모두의 한국어>를 사용하려면 <에듀넷> 회원 가입을 해야 하므로 

<에듀넷>을 활용할 수 있다.

교과서를 이용하기 위해 <에듀넷> 수업 연구 자료를 참고로 하면 

어떤 방식으로 가르쳐야 할지 감이 잡힐 것이다.    




그 밖의 부교재로는 독해 문제집과 맞춤법, 받아쓰기 문제집을 사용하고 있다. 


아래 문제집들이 지금 사용하고 있는 것들인데, 

이 교재가 한국 네이티브 학생들에게는 어떨지 모르겠다. 

그런데 내가 가르치는 학생들에게는 그 수준이 맞고, 

그 내용이 쉽게 구성된 것 같아 선택했다. 


뭐니 뭐니 해도 가르치는 학생들의 수준과 맞는 쉬운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교재마다 특징이 다른데, 

낱말 카드가 있어 어휘 공부를 하고 짧은 글짓기를 한다든지,

예쁜 스티커가 있어 꾸미기를 할 수 있기도 하다.


브런치 글 이미지 6


브런치 글 이미지 7


또 어떤 교재는 큐알 코드를 찍으면 듣기 파일을 들을 수 있다든지, 

아래와 같은 해설 영상이 나오기도 했다.  

출처 : 동아출판출처 : 동아출판


아마 다른 교재들도 이런 식의 여러 기능들이 다 있을 것이다. 

아이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교재를 선택해 즐겁게 한국어 수업을 하면 더 좋을 것이다. 



주어진 시간은 너무 짧고 학생들과 할 것은 너무 많았다. 

게임도 하고, 책도 읽고, 프로젝트 활동도 많이 하고 싶었지만 

그렇게 하기에는 우선 하나라도 한국어를 더 빨리 익히는 것이 급선무라 

한정된 시간이 너무 안타깝다.

 

    


매거진의 이전글 4. 모두의 한국어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