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nnamood Dec 13. 2021

덴마크 필수템! 자전거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남녀노소 필수템


자전거의 나라라고 많이 알고 있는 북유럽.

특히 덴마크, 그리고 그 중심인 코펜하겐에 살고 있는 나로서 자전거의 나라라는 말에 120% 공감한다.

이 말에 근거들을 대보자면

일단, 코펜하겐 자체가 크지가 않다.

자전거만 있다면 충분히 코펜하겐 전체를 누빌 수 있고, 중요한 건 덴마크에는 산이 없다.

경사가 없는 전부 평지이다.

덴마크 친구들 중에는 산을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친구들도 있다.

이곳 친구들은 스키를 타러 노르웨이나 독일로 간다.

온 땅이 평지인 덴마크는 다른 북유럽 나라와 비교해도 자전거 타기엔 최고의 나라다.

전혀 힘들지 않기 때문에 백발의 어르신들부터 꼬맹이들까지 전부 자전거를 많이 탄다.


또, 대중교통이 매우 비싸다.

환승시스템은 있다. 근데 그래도 비싸다. 안 그래도 물가가 살인적인 북유럽인데 버스, 지하철 비용 역시 만만치 않다. 택시는 그냥 아예 생각도 하면 안 된다.

자가용이 궁금할 텐데, 일단 덴마크에서 자동차를 사면 세금이 120%가 넘는다. 돈으로 치면 차를 두대 뽑을 수 있다는 말이지.

그래서 가성비를 따지면 자전거만 한 게 없다.


이런 여러 가지 이유에서 덴마크는 자전거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다.

첫 번째는 도로.

우리나라에도 자전거 도로가 있다. 점점 더 확대되고 있긴 하지만, 이곳의 자전거 도로는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서도 월등하다.

기본이 2차로이고 넓은 건 4차로까지 가능하다.

자동차와 똑같이 추월차선도 있고 모든 도로에 자전거 전용 신호가 다 따로 있으며, 온전히 자동차처럼 하나의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자전거에는 깜빡이가 없으니 손으로 대신한다. 좌회전 우회전 멈춤 등 다양한 수신호를 모든 사람이 한다.

처음에 와서 자전거를 탈 때는 수신호에 대해 좀 무시했었다. 굳이 이런 수신호까지 해야 해?

라고 생각했는데, 머지않아 깨달았다.

내가 수신호를 안 함으로써 뒤에 있는 자전거들이 피하지 못하고 연쇄 추돌 사고가 났었다.

한강에서 혹은 한 번씩 타던 한국에서의 만만했던 자전거 용도가 이곳에서는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

그다음부터는 누구보다 열심히 수신호를 하고 있다.


자전거 법도 잘되어 있어서 라이트 앞, 뒤는 필수이고 만약 없다면 벌금이다.

자전거를 가지고 기차, 지하철 등 대중교통도 아주 편하게 이용 가능하다.

불편하지 않도록 기차는 자전거 전용칸이 따로 있고 지하철 경우에는 자전거를 태울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서 시간만 잘 지켜서 이동하면 문제가 없다.


또 하나는, 주차이다.

자전거 나라인 만큼 모든 곳에 자전거 주차장이 따로 있다. 자전거를 안전하게 세울 곳이 많아서 더욱 잘 이용하게 되는 것 같다. 이렇게 자전거에 진심인 나라라서 일명 크리스티안 바이크, 앞에 사람도 태우는 자전거 같이 정말 멋있고 편리한 좋은 자전거들도 많이 있다.


나도 이곳에서 자전거 없는 삶은 이제 상상할 수 없다.

날씨는 상관없다 눈이 오나 비가 오나 어차피 모두 자전거는 필수이기 때문에.

그래서 비 옷이나 방수 관련 제품들도 덴마크 브랜드가 유명하고 또 이런 환경에 있다 보면 그런 제품들을 쓸 수밖에 없다.


날씨가 좋으면 좋은 대로, 비가 오면 우비를 입고

매일매일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하는 내 모습에 스스로 놀란다.

운동 겸 출근한다는 생각을 하니까 조금 더 내가 생산성 있게 사는 것 같고

건강한 삶을 사는 것 같기도 해서 뭐 여러모로 좋다.



 






 

이전 23화 12월의 북유럽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