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현안 XianAn 스님 Apr 22. 2024

화두 법문(話頭法門)
HuaTou Dharma Door

한국 전통 불교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칭송받는 명상법은 화두입니다. 그래서 한국에는 30년, 40년, 50년 이상 화두 수행을 해 온 전문가가 많습니다. 특히 선방 스님들과 이야기를 해보면 중국부터 한국의 불교 역사, 선지식의 이야기, 조사 어록, 경전 등에 대한 지식이 상당합니다. 게다가 수십 년간 수행하면서 겪은 많은 경험담과 통찰에 대해서 들어볼 수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화두"란 무엇일까요?


중국, 한국, 대만과 같은 동양권에서 가장 잘 알려진 선 명상법은 당연 화두(話頭)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꽤 많은 분들이 저에게 화두에 대해서 아는지, 화두를 해봤는지 물어봅니다. 그러면 제가 해줄 수 있는 대답은 "아니요! 저는 화두 잘 몰라요. 해본 적이 없습니다."입니다. 사람들은 보통 이런 대답에 실망을 감추지 못합니다. 화두를 하지 못했으니 수준이 떨어져서 더는 물어볼 것도 없다는 표정입니다. 그만큼 화두는 동양에서 가장 높은 수행법으로 여깁니다. 


화두는 무엇일까요? 화두(話頭)는 말 그대로 ‘말머리’라는 뜻입니다. 일본인은 ‘코안’이라고 부르고, 중국에서는 ‘공안’이라고 합니다. 그게 바로 명상 주제입니다. 그 화두는 스승이 제자에게 주는 것인데, 받은 화두를 명상 주제로 삼아서 심사숙고하는 것입니다. 즉 ‘참화두(參話頭)’를 하는 겁니다. 여기서 ‘참(參)’이란 앉아서 그 주제를 ‘관(觀, 자세히 보다)’ 즉 심사숙고한다는 의미입니다.


전통적으로 중국에 유명한 화두가 여럿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미생전 본래면목(父母未生前本來面目) 즉 당신이 태어나기 전 본래 얼굴은 무엇입니까”라는 화두는 육조대사로부터 유래합니다. 참화두를 한다는 것은 앉아서 좌선을 하는데, ‘태어나기 전 내 얼굴은 어땠을까?’, ‘뿔이 있었을까?’, ‘태어나기 전 나는 누구였을까?’ 등 앉아서 의문을 가져보는 것입니다. 또 다른 유명한 화두로는 뭐가 있을까요? “한 손으로 손뼉 칠 때 어떤 소리가 나는가[隻手聲, 척수성]”입니다. ‘한 손으로 치는 박수는 무슨 소리일까?’라고 스스로 묻는 것입니다. '한 손 박수 소리는 뭘까?’라고 그 주제를 스스로 묻습니다. 오직 그 질문만 하는 것입니다. 앉아서 자기 자신에게 한 질문만 하는 것입니다. 전혀 복잡한 과정이 아닌 겁니다. 


오직 앉아서 그 질문만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그뿐입니다. 한 생각만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생각으로 따라가지 않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떻게 한 손으로 박수 소리를 내지?’, ‘한 손으로 박수 소리가 날 수 있나?’ 등의 생각이 올라옵니다. 이제 두 번째 생각이 있습니다. 첫 번째 생각은 ‘한 손의 박수 소리가 무엇인가’라면, 두 번째 생각은 ‘어떻게 한 손으로 박수 소리가 날 수 있지?’입니다. 그러니까 생각이 둘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이건 더 이상 화두가 아닙니다.


화두는 오직 한 생각에서 멈추는 것입니다. 한 생각, 즉 ‘한 손으로 치는 박수 소리가 무엇인가’ 그 외엔 두 번째 생각이 없습니다. 그것이 바로 화두입니다. 예를 들어 태어나기 전 본래면목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하는데, 잠깐 날 태어나게 해 준 건 우리 아버지인데, 우리 어머니가 날 낳으셨는데, 내 얼굴 형태가 이렇게 된 게 두 분과 연관이 있을 텐데 등의 생각들이 올라올 수 있습니다. 그건 화두가 아닙니다. 그건 앉아서 생각하고 있는 것이지 더는 선 명상이 아닙니다. 그건 참선의 기본 원리에 반하는 것입니다. 


명상은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Meditation is no thinking). 선을 하면서 생각의 흐름을 따라가고, 그걸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그건 끝입니다. 선 명상은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앉아서 태어나기 전 내 본래 얼굴이 무엇인가, 그것만 묻습니다. 그리고 다른 모든 생각은 뭐든 다 버립니다. 그것이 바로 화두입니다.


스승이 제자에게 화두를 줄 때, 결가부좌, 호흡, 단전, 통증 등 이런 건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그냥 지침은 단 하나입니다. 그 화두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오직 하나의 지침은 “이것이 공안이다. 나가라”입니다. 그 외에 다른 건 아무것도 가르쳐 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화두에 실패하게 됩니다. 그리고 화두에 성공한다면, 아무런 말을 하지 않아도 스승님은 단박에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을 심인(心印, mind seal)이라고 부릅니다. 아무런 말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걸 이심인심(以心印心, mind to mind seal)이라고 합니다.


여러분도 화두에 호기심이 있다면 한 번 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중 어떤 주제든 고를 수 있습니다. "태어나기 전 본래면목은 무엇인가(父母未生前本來面目)?". "누가 염불하고 있는가(念佛是誰)?". "한 손으로 친 박수 소리는 무엇인가(隻手聲)?" 재미로 해보세요. 그리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그냥 한
 질문만 하십시오. 다른 건 다 떨쳐버리세요.


참고자료: 영화 선사의 영어 법문(2016년 4월 2일) https://youtu.be/6xalXaNOfOA


이전 18화 불편한 마음, 진전할 기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