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원아 Dec 30. 2021

문틈으로 옆방 남자의 샤워소리가 들려오는 밤

나 혼자 방을 쓰고 거실을 함께 쓰는 쉐어하우스

흔히 '집'을 떠올렸을 때 미술 시간에 그리는 세모난 지붕의 네모난 건물을 호주에서는 '하우스'라고 부른다. 내가 두 번째로 살게 된 쉐어하우스가 바로 이 하우스 형태의 집이었다. 방을 혼자 쓰는 공용 주거 형태를 찾다가 가격, 회사와의 거리와 여러 조건들이 맞아서 계약을 했다. 집주인은 베트남 출신이었는데 집주인 가족 중 둘째 아들이 이 집의 방1에서 살고 있었다. 인구 밀도가 높아서 아파트나 오피스텔이 점점 더 높아지는 서울에 살다가 땅 위에 집이 딱 한 채 있는 하우스를 보니 신기했다. 그 동네는 시드니 중심가에서 조금 벗어나 있었는데 걸어도 걸어도 죄다 집들 뿐인 동네였다. 알고 보니 호주는 시드니와 멜번의 중심 번화가를 제외하면 대체로 이런 분위기라고 한다.

가도 가도 집만 있는 시드니 외곽의 풍경

집 첫 인상은 좋았다. 깔끔했고, 컸고, 내부가 깨끗했다. 그 전에 살던 쉐어하우스의 두 배 정도 되는 크기였다. 거실엔 쇼파가 디귿자로 놓여 있었고 벽걸이 티비가 걸려 있었다. 방에 러닝머신 기계가 있었다. 부엌과 식탁은 6~8명이 동시에 써도 좋을 만큼 컸다. 부엌엔 도마가 크기별로 있었고, 밥솥이 두개, 나무 장식으로 된 전문가용 칼세트가 있었다. 사람들의 방은 모두 문이 닫혀 있었다. 전체 현관문 열쇠만 공유하고 각자의 방문을 잠그고 다니는 구조였다. 총 다섯개 방에서 사람들이 각자 살고 있었고 내 방은 그중 가장 큰 방이라고 했다. 침대는 검정색 틀로 된 더블 사이즈 베드였는데 누웠을 때 등에 닿는 감촉이 편안했다. 손을 쭉 뻗어도 침대 양옆이 닿지 않았다. 호주에 와서 처음으로 이층 침대를 벗어나게 되었다. 책상과 의자도 있어서 할일을 하기에도 딱 좋아보였다. 호스텔을 지나, 3명의 룸메이트를 지나, 드디어 1인 방이 생겼고 또 괜찮은 일자리도 구했으니 이제 이 방에서 열심히 사는 일만 남았다고 생각했다. 첫날 밤이 오기 전까지는 말이다. 



이사 첫날, 퇴근하고 돌아오니 집이 텅 비어 있었다. 집주인이 설명해주길 한 명은 이집트계 디자이너였고, 나머지 사람들은 워홀을 온 대만 사람들로 공장에서 일한다고 했다. 다들 일이 늦게 끝나나 보다 하고 넓은 부엌에서 저녁 요리를 시작했다. 호주는 인건비가 비싸서 (최저시급이 우리나라의 2배) 식당에서 음식을 사 먹는 비용이 비싸다. 대신 과일, 채소, 고기류가 무척 싸고 가격에 비해 품질도 좋다. 2~3만원이면 1주일 먹을 아보카도, 버섯, 닭고기 등을 실컷 살 수 있다. 큰 집에서 혼자 만족스런 식사를 마치고 방에 들어왔다. 공부를 마치고, 내일의 출근을 기약하며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치지지지직 - 


어디서 물 쏟아지는 소리가 들렸다. 휴대폰을 확인해보니 새벽 1시. 무슨 소리인가 두리번 거리는데 이번엔 음악 소리가 들렸다. 내 방 바로 옆이 화장실이었는데 그곳에서 누가 음악을 틀어놓고 샤워를 하는 것 같았다. 이렇게 큰 소리가 날 수 있나? 벽이 없는 것처럼 소리가 생생히 들려왔다. 변기 물을 내리는 소리, 샴푸 같은 것을 꾹꾹 누르는 소리, 작은 헛기침 소리까지 적나라하게 말이다. 방에서 누워 숨죽여 이어플러그를 손에 쥐고 언제 그칠지 모르는 옆방의 샤워 소리를 듣고 있었다. 30분쯤 지났을까, 누군가가 화장실 문을 나서는 소리가 들렸다.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잠에 들려는 찰나, 이번에는 대만어로 된 여자들의 말소리가 들렸다. 또 누군가가 샤워를 하러 들어갔다. 그날 아마도 밤 늦게 공장에서 돌아왔을 대만 쉐어메이트들의 모든 샤워 소리가 끝날 때까지 자다 깨다 하며 새벽 늦게야 잠에 들었다.


며칠 후, 시드니 이민자이신 회사 동료 두 분과 맥주를 마신 날, 하우스에서 들리는 방의 소음에 대해 얘기했다. 동료분들은 그렇게 다 들리냐며 한 번 어떤 집인지 봐주시겠다고 했다. 맥주 회식이 끝나고 다같이 우리집으로 왔다. 두분은 벽을 쿵쿵 쳐보고, 문을 여닫으며 구석 구석 집의 구조를 살피더니 말했다.


"아 이게 원래 화장실이 이 방 안에 있는 구조인데 이걸 임시로 분리해놨네. 근데 화장실 문을 좀 약한 재질로 쓴 것 같아. 게다가 문 아귀가 잘 안 맞네? 다 안 닫히는 거지"

"잠깐만, 아~ 보니까 이게 원래 방이 아니네. 이 방까지 다 거실이었는데 쉐어하우스로 개조하면서 칸막이 구분처럼 좀 해놓은 것 같아. 그러니 거실, 부엌, 화장실에서 나는 소리가 다 들리지" 


바로 그랬던 것이다.


알고 보니, 기존의 가정집을 쉐어하우스로 개조하는 과정에서 튼튼한 콘크리트 같은 재질로 벽을 만드는 게 아닌, 다른 재질로 구획을 쳐놓았던 것이다. 하필 그게 내 방이었고 말하자면 내 방이 부엌, 거실, 화장실과 다 연결되어있는 셈이었다. 그동안 밤마다 나던 요리 소리와, 식사 소리, 샤워 소리, 변기 물 내리는 소리의 비밀이 풀리는 순간이었다. 나는 처음 집을 볼 때 이 방에 원래 집주인의 부모님이 사셨고, 쉐어메이트는 내가 처음이라고 했던 말이 생각났다. 어쩌면 가족이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며 집을 개조하고 그 이후에 내가 이 방에는 처음 입주한 게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회사 동료분들은 시드니에 처음 왔을 때 하우스에 익숙하지 않아 좋은 집을 찾느라 몇 번이나 이사다니며 고생했던 자기 경험을 얘기하며 껄껄 웃었다. 방음재를 설치하던가, 아니면 다른 방을 알아보는 게 어떻냐는 제안을 하셨다. 분명 뭔가 조치가 필요해 보였는데 낯선 곳에서 주 5일 출퇴근을 반복하며 또 다시 이사를 가기에는 약간 지쳐 있는 상태였다. 게다가 또 발품을 팔고 좋은 집을 찾기 위한 과정을 반복할 엄두가 안 났다. 그리고 비록 밤에 소리들이 나지만 그 시간을 제외하고는 꽤 편리하기도 했다. 그래서 그냥 무슨 소리가 나든 간에 익숙해지자는 마음으로 살았다. 뭐 어쩔 수 없지, 하는 맘으로. 심지어 새벽 1시 샤워 주인공이 매일 트는 샤워 BGM을 계속 듣다 보니 그 노래가 좋아졌다. 깊은 새벽, 동네가 다 집이라 경적 소리 하나 없이 모두가 잠을 자는 시간대에, 8월에도 무척이나 추워 담요를 두 세겹 덮고 수면양말을 신어야 하는 시드니의 하우스에서, 대만 노래를 들으며 잠에 들었다. 


같은 집에 사는 대만 친구들과 생활 패턴이 다르기도 했고, 디자이너 쉐어메이트는 통 볼 수가 없었기에 이곳에서는 거의 혼자 사는 것처럼 살았다. 밤마다 나는 소리들로 누군가가 살고 밥을 먹고 샤워를 한다는 것을 알 았다. 그러다 어느날, 처음으로 샤워 소리의 주인공을 실제로 마주하게 됐다. 방에서 할일을 하고 있는데 누군가 문을 똑똑했다. 


"헬로우?"

"익스큐즈미?"


밖을 나가보니 대만 남자로 추정되는 쉐어메이트가 봉지에 든 고기를 건넸다. 공장에서 남은 고기를 줬는데 나눠주고 싶다고 했다. 나는 고맙다고 인사를 하고, 냉장고에 넣어두고, 고마움을 표할겸 자연스레 식탁에 마주 보고 앉게 되었다. 몇 주 만에 처음으로 쉐어메이트인 그와 대화를 하게 됐다. 그는 대만 출신의 폴(영어 이름)이었고, 고기 공장에서 일하며 워홀을 온 지는 1년 3개월 차라고 했다. 나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물었다.


"보통 새벽에 귀가하지?"

"응 한 1시쯤?"


어! 바로 샤워 소리의 주인이다. 더 늦게 귀가하는 팀은 대만 여자 하우스메이트 였으니까. 나는 이때다 싶어서 물어봤다.


"혹시 샤워할 때 듣는 노래 제목 알려줄 수 있어?"


그는 매우 당황한 표정을 짓더니, 웃더니, 찾아보겠다고 했다. 나는 혹시나 오해를 할까봐 덧붙였다.


"그게 이 문이 방음이 잘 안돼. 소리가 들려서, 음악 소리가 들려서 물어본 거야. 노래가 좋은 것 같아서!"


그는 엉뚱한 질문에도 친절하게 노래 두 곡의 제목을 다 알려줬다. 바로 아래의 두 곡이다. 나는 아직도 가끔씩 누군가의 샤워송인 이 노래를 반복 재생하며 듣는다. 노래가 꽤 좋다.

쉐어메이트의 샤워송 1
쉐어메이트의 샤워송 2

이곳의 대만 친구들과 많이 친해지지는 못했다. 다들 평일에 10시간 넘게 공장에서 일을 한다고 했다. 그렇게 일하고 새벽 1시가 넘어 퇴근을 하면 샤워를 하고 늦은 저녁을 먹거나 먹지 않고 다들 각자의 방으로 들어갔다. 주말에는 다같이 놀러 나가거나 다른 대만 친구들을 불러서 집에서 놀았다. 한번은 방을 나서다 대만 친구들 무리와 마주쳤는데 거의 2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거실 쇼파에 앉아 퀴즈 게임을 하고 있었다. 무려 Paul이 사회를 보고 있었다. 난 대만어를 할 줄 모르고, 또 혼자서 한국 사람인 것이 약간 어색해서, 게다가 다들 아는 무리에 끼는 것이 뻘쭘해서 인사만 하고 집을 나왔다. 


대신의 호주의 하우스에 살면서 하나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 가도 가도 집만 나오는 곳에 사는 건 굉장히 심심한 일이라는 것 말이다. 집에서 지하철 역은 걸어서 25분이 걸리고, 대형 마트가 걸어서 40분 정도 거리에 있으며, 주변에 집 말고는 다른 아무것도 없었다. 해가 지면 온 동네 불이 다 꺼져 어두컴컴해진다. 만약 차가 있다면 조금 나았을 것 같다. 하지만 차가 있다고 해도 호주의 하우스에서 가족 단위가 아닌 채로, 혹은 쉐어메이트 없이 산다는 건 정말 심심한 일일 것이다. 오밀조밀한 서울에서 혼자 사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게 적막했다. 그러다 보니 회사 동료 분들도 주말이면 가족 단위로 캠핑을 많이 다니셨다. 아니면 교회 등 커뮤니티를 통해 삶의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분들이 많았다. 


"서울이 재밌는 지옥이라면 호주는 심심한 천국"이라는 말을, 하우스에 살아 보니 조금 알 것 같았다. 서울의 대로변 오피스텔에서는 새벽 3시에 편의점을 가도 테라스에 앉아 맥주는 마시는 사람을 목격하거나, 열려 있는 음식점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근처 사는 친구와 밤 늦게 만날 수도 있고, 대형 마트도 밤 12시까지 하고, 밤새 운영하는 카페도 많다. 그만큼 시끄럽기도 하고, 불이 꺼지지 않는 도심에서 피곤하기도 하다. 호주는 시드니 외곽만 돼도 근처에 편의점이 없어 해가 지면 집에 꼼짝 없이 갇혀 버린다. 심심한 것과 피곤한 것 중 어떤 게 더 나쁜 것인지 알 수는 없었지만 편의점 도시에 익숙해져 있던 내게 왕복 1시간 20분을 걸어 마트를 가는 일은 쉽게 익숙해지지 않았다. (버스로 가면 1시간 46분이 걸렸다) 작은 원룸에서 집 밖을 나서면 넓은 카페가 밤 늦게까지 여는 서울에서 지내다가 밤만 되면 넓은 집 안에 갇힌 것 같은 생활에도 적응하는 데에 시간이 필요했다.


그래도 하우스에 살면서 처음으로 마당 있는 집에서 햇볓 바로 아래 빨래를 말렸다. 뽀송뽀송해진 빨래에 민들레 꽃씨가 붙어있곤 했다. 가을엔 '자카란다'라고 하는 호주의 보라색 꽃이 동네를 채워 창문 너머로 무성한 보랏빛이 보였다. 서울 길거리에서 담배 냄새, 자동차 매연, 거뭇한 먼지가 몸에 붙었다면 호주 외곽 동네에서 걸어다니니 옷이나 머리에 꽃잎이나 나뭇잎이 붙어 있었다.



이전 06화 여덟명의 남녀가 한 집에 산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