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민형 CFA Jan 15. 2021

티맵모빌리티 2편) 구독형 모빌리티

티맵모빌리티의 구체적은 사업은 어떻게 1편

참고) 20년 11월 07일 링크드인에 작성한 글로 브런치로 옮겨왔습니다. 


티맵모빌리티 글은 총 7편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티맵모빌리티 1편) 티맵모빌리티 향후 방향성은?

티맵모빌리티 2편) 구독형 모빌리티

티맵모빌리티 3편) 온디맨드(On-Demand) 서비스

티맵모빌리티 4편) T맵 플랫폼

티맵모빌리티 5편) 서비스 별 담당할 회사는?

티맵모빌리티 6편) 티맵모빌리티는 성공할 수 있을까?

티맵모빌리티 7편)IPO를 위한 6,000억 로드맵


안녕하세요 모빌리티 산업과 기업분석 글을 쓰고 있는 김민형입니다. 

이전 글에서 티맵모빌리트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 글을 작성했는데요 좀 더 이점에 대해 글을 써 볼까 합니다. 

시장에서 티맵모빌리티에 기대하는 부분과 우려 부분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보입니다.


먼저 기대하는 부분을 보면 국내 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쟁자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아닐까 합니다. 

고객 대부분이 카카오 T의 경험을 가지고 있고 많은 유저를 확보하고 있는 점은 다른 경쟁자로 하여금 시장 진입에 있어서 부담을 가지는 부분으로 여기 집니다. 하지만 고객 입장에서 보면 탑승 경험 혹은 이동의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여기어집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타다 일 텐데요 

많은 고객들이 택시보다 비싼 요금에도 불구하고 타다를 이용하는 충성고객이 많았던 사실은 집고 넘어가야 할 부분으로 여겨집니다. 

결국 티맵모빌리티가 “택시”를 중심으로 하는 이동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분명 카카오 T 와 차별화되는 강점을 가져가야 할 부분 일 것 같습니다. 그럼 과연 어떤 부분에서 차별화 포인트를 가져갈 수 있을까요?

저 개인적인 생각으로 차별화 포인트에 대해 상상의 나래를 펼쳐 볼까 합니다. 

먼지 이미 언론에 소개된 티맵모빌리티의 초기 사업 부분을 다시 보면 

★ 티맵 플랫폼

★ 티맵 오토

★ 온디맨드(On-Demand) 서비스

★ 구독형 모빌리티 (MaaS)

★ 미래 모빌리티

입니다.

이중 오늘은 구독형 모빌리티(MaaS)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이점 ^^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구독형 모빌리티 서비스는 결국 통신 인프라를 활용을 시작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

앞서 글에서도 이야기했던 부분인데요 구독형 모델로 서비스를 출시 예정입니다. 다만 기사에서 언급된 내용 만을 본다면 그리 매력적인 상품인 아닌 것 같습니다.

즉 킬링 서비스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럼 여기서 “킬링 서비스를 무엇을 가지고 갈 수 있을까?” 에서 전 통신 서비스의 결합이라 생각합니다. 

SK 텔레콤 가지고 있는 무수히 많은 부가서비스들이 있고 이 서비스를 구독 모델에 포함시키면서 이를 기반으로 티맵모빌리티의 고객을 확보하는 부분입니다. 이를 통해 티맵모빌리티는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가게 됩니다.

1) 초기 티맵모빌리티 고객 확보를 통한 회사 가치의 긍정적인 평가 

ㄴ 현재 회사 가치를 1조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는 이점을 고려한 부분으로 여겨지고 플랫폼 회사의 Valuation에 핵심 요소인 고객 확보를 달성하게 됩니다.  

2) SK 고객의 Lock-in 효과 

이미 여러 사업을 통해 검증된 부분으로 SK 브로드밴드와 SK 텔레콤 상품의 결합을 통한 고객의 이탈 방지가 해당 구독 서비스를 통해 더욱 단단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3) 시장 선점효과 

현재 모빌리티 시장에서는 구독 서비스도 모빌리티 업계의 신규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쏘카의 구독 서비스 ‘쏘카 패스’로 2020년 9월 기준 누적 가입 30만 건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이는 서비스 출시 후 1년 6개월 만에 거둔 성과입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저 누적 30만 건의 숫자에는 허수가 많을 것으로 추정을 합니다.) 기타 다른 Maas를 지향하는 다른 회사들의 구독 서비스 및 자동차 구독 서비스 출시하고 있지만 아직 눈에 보일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포켓고테크놀로지스, 네이앤컴퍼니, 기아차, 현대차 셀렉션 등) 

이러한 상황에서 상황에서 티멥모빌리티의 구독 서비스는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은 통신 서비스의 결합으로 모빌리티 시장의 구독 모델로 시장 선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모빌리티 구독 서비스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에 다른 부분에 대한 예상을 이어가 보겠습니다. 

이전 01화 티맵모빌리티 1편) 티맵모빌리티 향후 방향성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