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람 마음에 대해 관심이 많아져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자기애’라는 표현이 일상에서도 흔히 쓰이는 것 같습니다. 상담실에서 ‘자기애’에 대해 얘기하시는 분들의 얘기를 듣다 보면 대부분 부정적 의미로 표현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건강한 것이지만 뭐든지 과하니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2. ‘자기애’라고 하시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외부를 통해 자존감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갖고 있는데, 외부를 통해 자존감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내부에는 자존감을 유지할 만한 것들이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사람은 자신이 갖지 못한 것에 집착하기 마련인데 어린 시절부터 ‘자기애’가 적절하게 충족되지 못했다면 결핍된 ‘자기애’를 충족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쓰게 됩니다. 애정이 결핍된 사람은 늘 애정을 갈구하고, 자신이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사람은 능력, 사회적 지위, 외모, 학벌, 돈 등을 통해 근사한 사람이라는 것을 끊임없이 확인하고자 합니다.
3. 자기 심리학자인 코헛은 어린 시절 ‘자기애’가 채워지는 방법에 대해 칭찬을 받거나, 괜찮은 사람과 가까이하거나라고 했습니다. 이것들이 채워지지 못했다면 어린 시절의 방법을 성인이 되어서도 고수하게 되는데 타인의 칭찬을 갈구하거나, 잘난 사람과 가까이 함으로써 ‘자기애’를 채우려 하게 됩니다. ‘너 내가 누군지 알아?’ 이런 표현도 타인의 인정을 바란다는 점에서 어린 시절의 방법을 고수하는 것 같습니다.
4. 대상을 늘 갈구하지만 자신이 채워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런 분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나에게는 별 관심이 없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나에게 칭찬을 해줄 사람인지, 대단한 능력이 있어서 나의 ‘자기애’를 채워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관심도 단물(?)이 빠지면 언제 손절할지 모르기 때문에 친밀한 관계를 맺기 어렵고, 피상적으로 관계를 맺거나 파국에 이르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직접적이든, 은근한 방식이든 관계를 끊게 만드는 행동을 하여 상대를 지치게 만들고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으면 상대방을 탓하며 자신은 피해자가 되어 상대에게 죄책감을 느끼게 합니다.
5. 자기애에는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가 있는데, 외현적 자기애는 겉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알아보기가 쉬운 편이고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자기애’가 외현적 자기애에 해당됩니다.
6. 내현적 자기애는 자신의 자기애를 외부에 드러내지 않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그들은 외부로 자신의 대단함을 드러내는 대신, 내부에 깊은 취약성과 낮은 자존감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의 특성 때문에 주변 사람들이 쉽게 알아차리기 어려운데 외부로 드러내지 않는 이유는 타인의 평가나 비판을 깊이 두려워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본모습을 감추는 데에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왔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 겸손하고 내성적이며 친절하게 보입니다. 그러나 그 내면은 외현적 자기애 못지않은 우월감, 질투, 증오등으로 가득 차 있어서 갈등이 있을 경우 앞에서는 초연해 보이지만 뒤에서는 칼날을 갈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상담실에서 상담자가 이런 분들에게 멋모르고 팩폭을 날리게 되면 지옥(?)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7. 내현적 자기애는 자신의 단점이 드러나는 것을 두려워하기에 회피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회피성 성격장애와 비슷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다만 회피성 성격장애와 주된 차이점은 공감 능력의 결여와 비판이나 평가에 대한 분노 반응입니다.
이분들은 자신의 부족함을 감추기 위해 애쓰기 때문에 다른 사람 마음에 신경 쓸 에너지가 없습니다. 그래서 자기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공감하지 못합니다. 갈등이 있을 경우 진심으로 사과한다는 건 이런 점에서 매우 어렵습니다. 사과를 할 수 있으려면 상대 입장을 헤아리기도 해야 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비판이나 평가에 대한 분노 반응은 회피성 성격장애와 달리 매우 적대적으로 반응하게 되는데, 이분들의 분노는 분노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감추기 위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분노를 통해 남 탓을 해야 내 탓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분노가 크면 클수록 감추고 싶은 게 큰 것 같습니다.
8. 자기애적 특성을 가진 분들은 상담실에 오시는 것 자체에 자존심 상해하기도 합니다. 상담실에 온다는 것은 나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인정해야 하고, 상담자보다 상대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놓이게 될 뿐만 아니라 상담자가 나보다 좋은 걸 갖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외적인 성공이나 모습도 중요하기 때문에 상담실에 오셔서 종종 상담자가 어느 정도 ‘급’인지 평가하시기도 하는데 본인들 역시 타인들이 자신을 어떤 ‘급’으로 볼지 전전긍긍하며 사시는 것 같아 안타까운 생각도 듭니다.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의미 있는 관계들을 통해서 자신의 감정과 취약성을 알아가고, 인정하고, 공감받는 건강한 경험을 하게 되면 참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