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비데 예찬.

by nay Jan 07. 2024

일요일 아침 공공 도서관에 간다. 이름도 예쁜 ‘푸른 숲 도서관’. 나란 사람에겐 아침이면 거의 매일 루틴 하게 장 건강을 확인하게 되는 시간이 찾아오기에, 도서관에서도 이 활동은 예외 없이 일어난다(변비라는 걸 겪어본 적이 거의 없다).


각 층마다 있는 남자 화장실에는 좌변기가 3대 설치되어 있다. 그중 하나는 유아겸용이라 일단 내 칸이 아닌 것 같아 패스하고, 나머지 두 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공공 도서관의 화장실이 대부분 그러하겠지만 난방이나 단열이 잘 될 리 없다. 오히려 냄새가 나지 말라고 창이 조금쯤 열려 있다. 예전에 단독주택에 살았을 때를 생각해 보면, 화장실은 계절의 변화를 제대로 느끼는 장소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요즘처럼 날이 추운 때 엉덩이를 까고 화장실 변기에 앉는 순간의 괴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이렇게 차가우면 차라리 참았다가 집에서 싸지, 나오려던 그것이 되려 쑥 들어갈 것 같은 기분마저 든다. 짧지만 강렬한 괴로움. 물론 그 차디찬 냉기가 내내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니 그저 1-2분 참으면 될 일이다.


전형적인 비데 사진(출처: 코웨이 홈페이지)전형적인 비데 사진(출처: 코웨이 홈페이지)



그러나 닿아 있는 부분은 차가움에 익숙해지더라도 전체적인 서늘한 냉기는 주변을 감싸고돈다. 기분이 썩 좋을 리 없다. 비데가 있다면 다르다. 좌변기의 온도를 서너 단계로 조절하게 되어 있는 것이 요즘 기본 기능 중 하나이다. 좌변 온도가 따뜻하게 세팅되어 있으면 바깥 날씨가 제법 춥더라도, 냉기가 있다 해도 두려울 것이 없다. 오히려 빨리 엉덩이를 대고 싶다. 앉는 순간부터 기분이 즐겁다. 그뿐이랴, 일을 다 본 후엔 세심하게 물로 연약한 그곳을 씻어준다. 세상에 이렇게 기발하고 사람 마음 훈훈하게 해주는 발명품이 있어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어른 전용(?) 두 칸 중 한 칸에만 비데가 설치되어 있다. 창문과 조금이라도 더 가까운 쪽은 그저 헛헛한 기본 좌변기이고, 가운데만 그 고마운 비데가 있을 뿐이다. 물론 돈이 들고 관리하는데 번거롭겠지만 차별하는 것도 아니고 왜 그랬는지 늘 궁금하다. 잔인한 경제적 논리일지, 아니면 비데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그리 결정한 것인지 모르겠다. 아예 둘 다 안 두었으면 모를까, 부쩍 추워진 지금 시기에 도서관 화장실에 큰 일을 보러 갈 때면, 제발 가운데가 비어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가운데 문이 반쯤 열려 있는 걸 확인할 때면 매우 기쁘다. 그렇게 비데칸을 점유하여 이용 중에 옆 칸에 누군가 들어가는 기척이 나면, ‘아이고 좀 괴로우시겠다’ 싶은 측은지심마저 든다.


오늘의 화장실 타임, 다행스럽게도 비데칸이 비어 있었다. 후다닥 들어가 앉아 일을 보면서 새삼 비데에 대한 예찬론이 스멀스멀 올라오기에 고마운 마음을 이리 글로 남겨 보았다.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아들 덕분에 새로 만드는 도서관의 추억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