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보영 Apr 18. 2024

자녀 교육 강의를 듣다가 돌아섰다

ADHD엄마의 육아




아이가 자기주도학습 하기 원하시죠?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딱 한 가지만 하시면 돼요.



침을 꼴깍 삼켰다. 엄마들을 낚는 마법의 단어 자기주도에 이끌려 클릭한 영상이었다.



바로, 계획표를 쓰게 하는 겁니다. 오늘 해야 할 일의 목록을 만드는 것이죠.
처음에는 엄마가 먼저 만들어주시고요, 다음부터 아이들이 스스로 계획표를 쓰게 하세요. 엄마는 ‘계획표에 쓴 거 다 했어?’ 확인만 하시면 돼요.



결국 이거였어? 그냥 닫으려다 더 들어보기로 했다.



제가 이런 말씀드리면요 엄마들이 그러셔요. ‘아유, 우리 애한테 그거 쓰게 하다가 홧병 생겨요’ ‘계획표대로 할 수 있는 애였으면 여길 오지도 않았어요’

그런데요 일단 한 번 시작해 보세요. 처음에만 잡아주시고 작은 성취에도 칭찬 많이 해주세요.



피식 웃음이 났다.

‘그게 되겠어? 엄마인 내가...’

가슴이 꽈악 막히는 기분이 들었다.

‘... ADHD인데. ’



홧병이라면 나도 걸려본 것 같다. 내 아이가 아니라 바로 나 때문에.

영상 속 선생님은 자기 주도학습을 하는 아이로 키우려면 계획을 세우는 법을 알려줘야 한다는데, 나에게 ‘계획성’이란 남들은 봤다고 하나 나는 본 적이 없는 전설의 포켓몬 같다는 게 문제다. 나도 못 해본 걸 아이에게 시킬 수 있을까? 내가 아이의 계획표를 매일 써줄 수 있을까? 새해 다이어리를 사두고선 2월을 넘겨본 적 없는데? 매일 반복해서 밥 짓는 것도 힘들어서 남편에게 떠맡겼는데? 할 일이 넘쳐나도 스마트폰을 끄지 못하고 유튜브에 영혼을 맡긴 채 밤을 새우는데?

그러자 화살 같은 두려움이 가슴에 꽂힌다.



만약 내 아이가 계획성을 배우지 못한다면
그건 내 탓이겠구나.



나는 계획이 싫었다. 굳이 그걸 시작했다가 스스로의 저열함을 확인하고 싶지 않았다. 계획을 세워봤자 지키지를 못하니까. 꼭 해야 할 일일수록 의욕이 사라지니까. 그렇게 계획이 무너질 때 못된 쾌감을 느끼니까. 의무 앞에서 나를 쓰러뜨리는 그 저항감을 설명할 수 없어 그저 스스로를 혐오했다. 약속된 시간, 숙제 제출 기한이 다가올 때면 불안해하며 딴짓을 했다. 더는 미룰 수 없을 때까지 버티다 벼랑 끝까지 가야 정신없이 과제를 했다.

그러다 어느 순간부터 기한을 넘길 때의 쾌감을 알게 되었다. 마감 시간 이후의 세상에는 죄책감과 열패감, 그리고 미쳐버린 자유가 있었다. 나는 벌 받아도 싸니까 감점도 비난도 마땅했다. 그렇게 사춘기 자의식 회로에 심각한 버그가 생겼고 아직도 그걸 다 고치지 못했다.


육아에는 일관성이 중요하다거나 아이에게 좋은 습관을 길러줘야 한다는 말을 들으면 눈앞이 캄캄하다. 일관성, 좋은 습관, 꾸준함. 그것이 내게도 있긴 있을 텐데 나는 왜 이렇게 자신이 없을까. 되짚다 보면 결국 과거의 버그를 다시 만난다.




여기 트랙이 있다고 하자. 출발선에는 <계획>, 도착지엔 <실행 완료> 팻말이 붙은 트랙. 도착지의 팻말은 유독 영광스럽게 반짝인다. 도착만 하면, 그러니까 계획대로 실행만 하면 누구나 손목에 ::멋진 인생:: 도장을 찍어준단다. 출발시간도 중요하지 않다고, 도착만 하면 된단다. 모두가 트랙 위를 달리고 있는데 누군가는 문제없이 금방 도달하고, 혹은 비틀거리며 겨우 다다른다. 그 도장이 멋있어 보여서 나도 달려보기로 한다.


의욕적으로 출발한 뒤 씩씩하게 뛰어다가 ‘이제 끝까지 가야지’ 생각한 순간 양다리에 모래주머니가 5킬로그램씩 척척 붙는다. 이걸 반드시 해내야 한다고 생각할 때마다 더 무거운 팩이 하나씩 더 추가된다. 멈춰서 이걸 떼어보려 애쓰다 문득 트랙 바깥 풍경에 눈이 간다. 어, 저기 귀여운 개구리가 있네? 예전에 개구리가 나오는 만화를 재밌게 본 기억이 난다. 문구점에서 그 개구리가 그려진 공책을 샀었지. 옆에서 친구가 그게 뭐가 귀엽냐고 했는데 그 친구는 지금 잘 지내나? 저번에 취직했다고 들었는데. 생각난 김에 전화해 볼까? 슬그머니 트랙 바깥으로 걸어 나온다. 그러자 모래주머니가 툭툭 떨어져 나가 한결 가뿐해진다. 날아갈 것 같은 기분으로 친구와 신나게 수다 떨고 문득 떠올린다. 아, 나 지금 계획적으로 살아야 하는데. 또 실패했어. 난 좀 혼나야 돼. 그리고 다른 사람들 손목에 찍힌 도장을 부러운 눈빛으로 바라본다. 그러면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이게 뭐. 어차피 다 받는 거라 큰 의미는 없어. 그냥 도장인 걸. 목표를 이룬 게 더 중요하지.


그리고 다음 경주에 참여하러 가버린다. 나는 개구리가 폴짝폴짝 뛰는 모습을 멀거니 보다가 드러눕는다. 멋진 인생으로 인증된 누군가는 나에게 게으름이 문제라고 한다. 의지와 열정이 부족하다며, 도착만 하면 되는데 왜 그걸 못하냐고 묻는다. 모래주머니 얘기를 해봐도 다 핑계라며 무시한다.



나 같은 사람도 움직일 방법이 있긴 하다. 뒤에 사나운 늑대가 따라오는 것. 뛰다가 걷다가 나도 모르게 늑대의 존재를 잊어버린 채 중간에 딴 데를 보면 뒤에서 늑대가 신발을 물어뜯고 바짓단을 찢어야 한다. 그래야 나는 정신 차리고 끝까지 갈 수 있다. 그런데 겨우 도착하고 나니 늑대에 쫓겨 온 사람은 멋진 인생이 아니라고 한다. 그건 자발적인 경주가 아니라고. 그럴 만도 하다. 쫓겨온 내게도 성취감이 없었으니까. 늑대에 쫓기는 삶이 너무 불행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트랙에서 제 발로 나가버린 다. 이런들 저런들 나는 이 트랙을 완주할 깜냥이 못 되는 것이다.



자녀에게 할 일 계획표를 만들어주라는 강의는 내게 ‘승진하는 법’만큼이나 무의미했다. 나는 회사에 다니지 않으니까. 포기가 아니라 그냥 해당사항이 없는 것이다. 아이의 계획표를 만들어주는 걸 계획하다가 슬그머니 관둘 것이 빤하다. 영상 속 선생님이 이러면 자녀 교육은 네가 다 망칠 거라고 으르렁거리며 따라와도 나는 그 트랙에 오르지 않을 것이다. 계획과 실행으로 빛나는 ‘갓생’ 트랙은 내 것이 아니라는 걸 이제는 잘 알고 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 본다. 내가 선택한 트랙은 끝이 보이지 않을 만큼 길지만 무엇을 향하고 있는지는 안다. 밝게 웃는 미래의 너. 몸과 마음이 건강한 너. 자신의 가능성을 믿는 너.

두 아이 마음속 작은 버그라도 다 잡아내고 싶어서 오늘도 달린다. 내가 스스로를 용납하며 얻은 힘으로 아이들을 용납하며 살아야지. 아이의 입장을 한 번 더 생각하고, 하고픈 말은 한 번 더 참을 것이다.



오늘은 큰아이가 같이 춤추자고 해서 신나게 덩실거렸다. 그러다 둘째가 춤 그만 추고 자길 보라고 해서 열심히 손뼉 쳐줬다. 계획표는 없어도 이 정도면 꽤 멋진 인생이다.











작년에 이 글을 쓰고, 올해 신기하게도 작은 루틴이 생겼다.

큰아이에게 학습지를 하루 3장씩 풀게 하고 있다. 매일 빼놓지 않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평일은 저녁 먹고 틈 날 때마다 [수학 학습지3장+영어 영상30분]세트로 제안한다. 남편이 이 부분을 잊지 않고 챙겨준 덕분에 이제 루틴이라고 조심스레 말해도 될 것 같다.


아이가 학습지를 풀 때마다 나는 옆에서 다이어리에 일기를 쓴다. 며칠씩 밀린 걸 몰아 쓸 때도 많지만 그래도 계속 쓰다 보니 4월인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얼마나 놀라운 일인지! 오늘 먹은 음식이나 일어난 일 따위만 적고 있지만 무언가를 꾸준히 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양감이 든다. 며칠 놓쳐도 다시 시작하면 된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졌다.


아이도 나도 성장하고 있다.












이전 05화 빨강머리 앤처럼 살고 있구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