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 백조 관찰하는구나! 관찰 주제는 뭐야?
유진 : 관찰 주제는 백조의 색깔.
하나 : 뭐라고? (백조가 이미 하얀 새란 뜻인데...) 관찰 노트 좀 보자. A백조는 하얗다. B백조는 하얗다. C백조는 하얗다...
유진 : 산 넘어 호수에 D백조가 왔다고 하니까, 이제 무슨 색인지 보러 가려고.
하나 : 지구는 둥그니까 온 세상 백조 다 보고 올 셈이야? 개별 자료가 많으니, 추리를 해보면 되잖아. 이미 본 백조들이 모두 하얗고,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사람들이 백조는 하얗다는 걸 관찰했어. 이 개별 사실로 '모든 백조는 하얗다.'는 이론을 만드는 귀납법을 쓰는 거야.
유진 : 그러면 '모든 백조는 하얗다', 'D는 백조다.', 그러니까 'D는 하얗다.'는 추리가 가능하겠네.
하나 : 제법인데? 귀납법으로 만든 보편적 이론을 근거로 개별 사실을 알아내는 걸 연역법이라고 해.
유진 : 대단해. 하나야. 넌 천재구나. 그래도 산 너머 호수에 가서 백조를 관찰해야겠어.
하나 : 이미 추리를 해서 답을 알아냈는데... 왜?
유진 : 가능성은 낮지만 검은 백조가 있을 수도 있으니까.
하나 : 귀납법의 단점을 알고 있으니 너야 말로 천재구나.
[강한 주장] "무조건 목소리가 커야 돼. 목소리 큰 사람이 이겨!"
[욕설 위협] "이 주장에 반대하는 사람은 전부 멍청이야."
[비난] "당연한 걸 설명해 줘야 하다니 기본도 모르는군."
1. 세 가지 이상의 다양한 근거를 대자
주장 : 신조어는 표준어의 한계를 보완하고 언어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우리말로서 가치가 있다.
근거
1. 언어는 사회적 약속인 동시에 시대의 반영이므로 신조어는 가치를 지닌다.
2. 말은 생각의 표현이므로 표준어의 한계를 넘어, 자유롭고 창의적 사고를 가능케 한다.
3. 다양한 조합과 재밌는 변용으로 우리말과 글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소통의 즐거움을 준다.
깨달음 : 신조어는 시대의 반영, 창의적 사고, 대화와 소통을 촉진시키는 우수한 우리말인 만큼 즐겁고 자유롭게 사용할 때 우리 언어문화도 발전할 수 있다.
2. 수치를 활용하자
일부 국민은 통일의 필요성을 못느낀다. → 2024 통일의식조사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치 않다는 응답이 35%에 달했다.
한국인은 일반적으로 라면을 좋아한다. → 세계라면협회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연간 소비량 기준으로 세계 8위를 기록할 정도로 라면을 좋아한다.
3. 미괄식에 주의하자
[근거 1.] A나라는 귀족들의 부패로 역사에서 사라졌다.
[근거 2.] B나라는 지도자의 부패로 다른 나라에 흡수되었다.
[근거 3.] C나라 역시 부패로 인해 최빈국이 되었다.
[결론/주장] 비극적 역사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부패를 척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연역적 글쓰기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서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