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근무가 기업, 근로자 모두에게 이득인 이유
팬데믹 이후 대부분의 회사들은 비대면 근무방식으로 전환하였었다. 그리고 n데믹이 지속되자 다시 대면 근무 방식으로 돌아가고 있는 요즘, 전사 재택근무를 선언해 근로자들에게 환호를 받았던 회사들이 있다. 대표적인 한국 스타트업으로는 야놀자와 배달의 민족이 있다.
그러나 이 두 회사는 전사 재택근무 선언을 한지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재택 근무를 중단/폐지하였다. 주변에선 재택 근무 때문에 제주도에 집을 구하거나, 수도권의 집 계약을 해지하고 고향에 집을 구매한 직원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그렇기에 두 회사의 정책은 이미 사측에서도 손해이다. 우선, 이렇게 중대한 정책을 손바닥 뒤집듯 바로 뒤집어 이미 직원들은 사기가 꺾일 대로 꺾인다. 직원이 가지고 있는 회사의 대한 애정과 충성도는 회사를 운영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회사들이 순수익을 줄여가며 복지를 내세워 직원들의 충성도를 높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재택근무는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도 높여준다. 기업과 근로자 모두의 효율성을 위해 나는 비대면이 보다 더 진보하고 나은 근무방식이라고 생각한다. 근로자 입장에서 왜 비대면이 효율적인지 알아보자. 대면 근무방식을 채택하면, 어쩔 수 없이 ‘출근’과 ‘퇴근’이라는 물리적인 이동이 필요하다. 또한 출근을 하기 전 필수적으로 ‘출근 준비’를 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당연하게도 이런 행위들을 하며 ‘정신력’과 ‘체력’그리고 ‘시간’을 소비한다. 이는 업무 내용과는 무관한 것들에 한정된 소중한 자원을 빼앗기는 것이다.
이에 반해 비대면 출근 방식을 보자. 출근 준비와 출근/퇴근에 걸리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짧다. 이를 준비할 시간 또한 별로 걸리지 않는다. 가령, 근로자 A가 출근 준비 시간에 1시간이 걸리고 출근 시간에도 1시간이 걸린다고 가정해 보자. 근로자 A는 이미 근무지에 가서 근무하기 전에 2시간이나 업무와 무관한 일에 정신력, 체력, 시간을 소비하고 온 상태에서 업무를 시작하게 된다. 이는 개인의 근무 집중도에서도 차이가 날 것이며, 퇴근 후 집에 가는 1시간을 추가로 생각하면 근로자 A는 휴식할 수 있는 시간(다음 날 근무를 위해 정신력,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시간) 조차 짧아지게 된다. 이런 식으로 하루 3시간 씩 주 5일 간 반복해서 했다고 가정했을 때, 근로자 A는 한 주에 15시간씩이나 일과 무관한 아니 어쩌면 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비효율적인 행위를 반복한 것이다. 한 달을 4주로 가정했을 때 이는 월간 60시간에 임박한다. 이 60시간은 현재 한국의 노동근로법에 명시되어 있는 ‘주 52시간 근무 제도’와 비교했을 때 결코 적은 시간이 아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비대면 근무 방식은 효율적이다. 기업이 회사를 유지하기 위해 지불하는 고정 지출의 대부분은 인건비와 이들이 일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사무실 등의 물리적인 공간 임대료일 것이다. 하지만 비대면 근무방식을 채택할 경우 기업들은 기업 건물의 규모를 혁신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좁아진 공간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보수 인력들의 고용을 줄여 인건비도 아낄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보다 효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게 된 근로자들의 생산력이 올라간 효과를 기업입장에서 톡톡히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이 재택근무를 폐지함으로서 추가 지출을 감수해야 하는 부분은 근로자의 출퇴근 길도 포함된다. 근로자가 출퇴근길에 일어난 사고에 대해서도 기업은 산재처리를 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산업재해보험법에서는 출근과 퇴근을 하는 길 조차 근무시간에 준하는 것으로 본다. 재택근무 시엔 물리적인 출/퇴근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이 부분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지만, 재택근무가 종료되고 직원들이 물리적으로 출/퇴근을 하기 시작하면 기업은 이 부분까지도 지출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