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이 Oct 26. 2022

인생은 삶과 죽음 사이의 선택이다

선택이 당연한 사람들

pexels.com


문화적으로도 법적으로도 금기사항이 많았던 우리 사회와는 달리, 굉장히 허용적이고 다름을 포용하는 문화. 그리고 그 안에서 개인의 자유와 선택이 당연한 사람들이 있다.


배우자의 외도는 인격 살인과 같아서 치매에 걸려도 잊히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 또는 비슷하게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을 당해도 평생 트라우마로 남을 것이다. 아마 그 상황에서 아무것도 못하고 속이 썩어 문드러지도록 참아야만 했던 한이 남았겠지. 차라리 그렇게 원망하는 마음을 쌓아두는 것보다 당시에 내가 원하는 삶을 찾아 훨훨 날아갔다면, 오히려 그 상처가 치유될 수 있었을까?


일생일대 중차대한 문제도, 소소하고 자잘한 문제도 우리는 선택할 수 있다. 나중에 죽기 전 내 인생을 되돌아봤을 때 후회가 남지 않도록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현재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완전한 독립/분리


나에게는 너무나도 익숙한, 우리나라의 정서 중 하나.


부모님께서 하시는 말씀

죽기 전에 너 결혼하는 거 봐야지.

죽기 전에 손자 얼굴이라도 보고 죽어야 할 텐데.


그리고 자식들이 하는 효도

우리 부모님 퇴직하시기 전에 결혼식 올리자.

손주들 얼굴 보여주러 부모님 댁에 매주 가야지.

나이 드신 부모님, 사시면 얼마나 더 사신다고...


서로를 행복하게 해 줄 의무를 갖고, 서로에게서 행복을 얻는 그런 의존적인 관계... 가족이니까, 핏줄이니까, 천륜이니까, 하면서 대대손손 이어져 온 부모 자식 관계. 너의 행복이 곧 나의 행복인, 바라만 봐도 보고 싶고 매일 만나도 또 그리운 그런 관계... 이려나?


우리 사회도 완전하게 감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을까? 자신의 행복을 타인에게 전가하지 않는 그런 이상적인 관계가 될 수 있을까?


비록 나는 늙고 병들어 삶의 끝을 준비하지만, 내 자식은 행복하게 살 것이라 믿어줄 수 있을까? 나의 죽음을 축복해주기를, 그것이 나의 선택이니까 슬퍼하지 않기를 바랄 수 있을까? 내 자식이 잘 살 거라는 걸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하려는 마음도 없고, 나만의 기준에 맞춰서 자식의 인생을 평가하거나 비판하려는 마음도 없고, 오로지 있는 그대로 존중해줄 수 있을까?




"인생은 삶과 죽음 사이의 선택들로 이루어져 있다" 는 문구가 이렇게 현실감 있게 다가온 것은 처음이다. 


혹시 나는 내 인생의 많은 선택들을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미루어 스스로 결정하기를 포기한 것은 아닐까? 나는 여전히, 정답이 있는, 대다수가 동의하는, 사회적 통념에 맞는, 그런 선택들을 하고 있는 것 아닐까?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일들임에도 불구하고 선택하지 않은 채, 남에게 의존하고 있는 건 아닐까?


나는 오늘, 어떤 하루를 살고 싶은가? 매일을 어떻게 마무리하고 싶은가? 

넓고 멀리 본다면 내 삶의 끝에서, 나는 어떤 인생을 살았기를 바라는가?




https://brunch.co.kr/magazine/kim30064789

<외국인 남편 덕분에 배운 자존감 대화법

<남편이 미워질 때 보는 책>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