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포기 않는 이유

꿈을?

by Henry Hong Feb 28. 2025
아래로

틈나는 대로 글을 쓴다.

만약 쓰는 글이 영상화된다면?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를 상상해 본다.

오래전부터 간직한 꿈.

흥행 감독!

오늘도 그 꿈을 향해 한 발짝 한 반짝 전진한다.


중년의 나이에 이런 얘기를 하니

듣는 사람이 민망해한다.

그들의 얼굴에서 읽을 수 있는 마음의 소리

'이 인간이 아직도 이런 생각을!'

'중년에도 꿈을 꾼다고?'

나이에 따라 조금씩 다른 당혹함이 묻어나는 표정.

그들의 표정 앞에서 표정 관리하는 나.


난데없이 내 꿈을 이야기한 게 아니었다.

이 나이에 갑자기 그럴 일도 없다.

누가 55세의 남자에게

"꿈이 뭐예요?"를 묻겠나?


이야기의 시작은 이렇다.

오랜만에 만난 사람과 식사 자리 같은 걸 갖고 있다.

누군가 내게 근황을 묻는다.

"틈나는 대로 글 쓰고 있고 영화로도 만들고 싶어!"

"영화?" "영화요?"

"예전부터의 꿈이었는데 진행해야지."

"너희는 요즘 뭐 하는데? 선배님은 요즘 어떠세요?"

나이는 달라도 비슷한 답변이 돌아온다.

“꿈은 무슨!”

"먹고살기 바빠서, 그런 거 잊은 지 오래됐다."

아니 누군 일 안 하고 굶고 삽니까?

먹고살기 바쁠수록 꿈을 꿔야 하는 거 아닌가!


꿈도 없는 사람들과 대화 이어가기가 쉽지 않다.

피로한 얼굴이 내게 옮을까 무섭다.

지극히 현실적인 이야기를 하게 된다.

"그래서 잘 삐지는 상관하고 요즘은 어때?"

"요즘 사업은 좀 어떠세요?"

자식 걱정에 부모 걱정까지.

어차피 마음대로 안 되는 게 현실.

흥미롭지 않은 이야기를 대수롭지 않게 서로에게 한다.

너도 나도 대수롭지 않게 된다.

간혹 리액션은 가미하지만 어차피 남의 일이다.

이야기하는 사람도 남의 일처럼 얘기하지 않았나!

자기 이야기를 남 얘기 처럼 하는 사람에게 감정 낭비를 하게 된다.

희망이 있는 꿈 이야기가 낫지 않나?


한 때는 영화 학도였고 독립 영화감독이었던..

나와 이력이 비슷한..

지금은 먹고살기 힘들다고 투덜 되는 스무 살 어린 후배가

묻는다.

"포기 안 하는 이유가 뭐예요?"

이유?

술의 힘을 빌어 훅 들어온 어퍼컷 같은 느낌의 질문이었다.

이 자식 취한 거 맞아?

잠깐 생각을 했다. 술을 한 잔 들이 켰다.

그러게 이유가 뭘까? 어떤 힘의 작용일까?

그리고 든 생각은..

쪽 팔리잖아.

포기는 너무 쉽잖아..

"포기는 너무 쉬워서 안 하는 거다!"

포기하는 사람이 유난히 많아 보인다.

씁쓸함이 묻어나는 그들의 얼굴.

할 만큼 했다는 자조의 미소.

그들에게 바란다.

포기하지 말라고.

시작점만 다시 찍으면 된다고.

제발 희망을 갖으라고.

그들이 꿈을 꾸길 바란다.

포기는 쉬워서 안 할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힘쓸 일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