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녜 Jun 19. 2024

떡볶이

떡볶이 먹고 갈래?

떡볶이. 단어만 들어도 설레는 음식이다. 세상에서 단 하나의 음식만 먹을 수 있다고 한다면 망설임 없이 떡볶이를 뽑을 정도로 나는 떡볶이가 좋다.


  떡볶이는 나에게 소울푸드다. 매콤 달콤한 양념에 쫄깃쫄깃한 가래떡 하나를 한입 베어 먹으면 그날의 스트레스가 사르르 녹아 없어지는 마법 같은 요리다. 나는 언제부터 떡볶이가 좋아졌을까? 아마도 종이컵에 가득 담긴 떡볶이를 500원 동전 하나에 살 수 있었던 초등학생 때부터이지 않았을까 싶다. 


  방과 후면 늘 배가 출출했다. 집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아쉬워서 학교 앞 '연지 곤지'라는 분식집에 들르곤 했다. 검은색 뿔테안경에 곧은 단발머리를 하셨던 분식집 이모님께서는 단골인 내 이름을 부르시며 내가 주문하기도 전에 컵 떡볶이를 미리 준비하셨다. 떡볶이는 철판에 오랫동안 졸여져 그 맛이 일품이었다. 거기에 뜨끈한 어묵 국물을 한 모금 마시면 세상 부러울 것이 없었다. 그 순간만큼은 <세일러문>의 마스 '비키'도 저리 가라였다. 


  단정한 교복을 입었던 중학생 때부터는 즉석 떡볶이의 매력에 빠져버렸다. 즉석떡볶이가 생각날 때마다 친구들과 용돈을 모아서 버스를 타고 '신당동 옛날 떡볶이'라는 식당을 찾았다. 모둠 떡볶이는 2,500원, 야채 떡볶이는 2,000원, 볶음밥은 1,500원에 파는 정겨운 분식집이었다. 보글보글 끓는 떡, 당면, 만두, 라면, 햄 사리들을 친구들과 골라 먹으며 아이돌로 이야기꽃을 피웠다. 냄비가 바닥을 보일 때쯤이면 볶음밥을 시켰다. 볶음밥은 먹다 남은 떡볶이 소스에 밥을 볶고 김 가루를 뿌려 그 모습이 투박했지만, 쌀 한 알도 남기지 않고 숟가락으로 눌어붙은 밥을 박박 긁어 행복을 먹었다.


  야간자율학습에 지쳤던 고등학생의 나는 친구들과 삼삼오오 모여 선생님 몰래 '떡반집'에서 떡볶이를 배달시켜 먹곤 했다. 감칠맛이 도는 떡볶이 국물을 말랑말랑한 떡과 함께 플라스틱 숟가락으로 떠먹으며 대학 입시에 대한 부담을 잠시라도 덜어냈다. 가끔은 포슬포슬한 계란을 포갠 햄 치즈 토스트를 떡볶이 국물에 적셔 먹는 재미로 밤샘 학업을 버텼다. 


  그렇게 떡볶이로 울고 웃으며 추억은 겹겹이 쌓였다. 떡볶이는 생각만 해도 학창 시절로 소환하게 하는 추억의 음식이자, 지금은 "오늘은 뭐 먹지?" 하면 바로 떠오르는 메뉴가 되었다. '가래떡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여러 가지 채소를 넣고 양념을 하여 볶은 음식'인 미미(美味)의 떡볶이. 앞으로 떡볶이를 향한 사랑은 계속될 것이다.



이전 09화 커피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