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story / 에세이
심리학을 처음 배우면서 ‘심리학은 인간과 동물의 심리적 과정과 행동, 그리고 이 둘 사이의 상호작용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경험과학의 학문’이라는 정의에 매력을 느꼈다. 그중에 상호작용(相互作用·Interaction)의 효과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다. 자신을 바라보는 상대방과 눈을 맞추는 행위인 눈 맞춤(Eye Contact)은 사회적 상호 작용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다.
심리학자 메러비안은 소통을 위한 상호작용에는 말과 같은 언어적인 것과 손짓, 표정, 눈짓과 같은 비언어적인 것이 있는데, 상호작용을 할 때 의외로 비언어적인 수단을 더 많이 쓴다는 것을 밝혔다. 사람 간의 의사소통에서 언어적 요소의 중요성은 7%에 불과하고, 청각적 요소는 38%, 시각적 요소는 5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렇게 나온 7:38:55 비율을 ‘메러비안 법칙’이라고 부른다.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할 때 말투, 얼굴 표정과 태도에도 신경 써야 한다. 자신의 메시지, 말투, 얼굴 표정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대방은 우리의 진심에 의문을 던질 것이다. 첫인상(First Impression)은 소통의 시작이다. 일관성(一貫性)을 유지하려는 심리 때문에 일단 형성된 첫인상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작은 장점 여러 개를 강조하는 것보다 큰 장점 한 개를 강조하는 것이 더 좋은 인상을 형성할 수 있다.
호감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다. ‘초두 효과’(Primacy Effect)는 처음 입력된 정보가 나중에 습득하는 정보보다 더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만남에서 첫인상이 중요한 것과 마찬가지다. ‘게인 로스 효과’(Gain-loss effect)는 나중에 좋은 평가를 받으면 불안감이 갑자기 해소되는 감정변화를 느끼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호감과 비호감의 격차가 크면 클수록 상대방의 인상에 남게 된다.
호감 가는 사람들의 특징은 개방적이고, 사교적이다. 다른 사람 이야기를 경청한다. 행복하고 낙관적이며, 긍정적이다. 항상 자신감 넘치고 겸손하다. 진정성이 있다. 호감이 가는 사람들이 특별한 이유는 자발성과 완벽함의 가면 뒤에 숨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상대방에 어떻게 하면 호감을 줄 수 있을지 생각할 나이는 지난 것 같다. 얼마나 호감을 준 인생을 살았는지 되돌아보고 싶다. 호감을 준 상대방이 비호감을 느꼈을 때와 비호감을 줬던 그들이 의외의 호감을 가졌던 사람들이 생각난다. 호감과 비호감은 종이 한 장 차이라는 것을 이제 알기 시작했다.
『행동은 말보다 더 큰 소리로 말한다. 그리고 미소는 상대방에게 호감과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 데일 카네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