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춘, 92 장마, 종로에서 – 누구를 위하여 비둘기는 날아 오르나?
92 장마, 종로에서
작사 정태춘
모두 우산을 쓰고 횡단보도를 지나는 사람들
탑골공원 담장 기와도 흠씬 젖고
고가 차도에 매달린 신호등 위에 비둘기 한 마리
건너 빌딩의 웬디스 햄버거 간판을 읽고 있지
비는 내리고
장마비 구름이 서울 하늘 위에
높은 빌딩 유리창에
신호등에 멈춰서는 시민들 우산 위에
맑은 날 손수건을 팔던 노점상 좌판 위에
그렇게 서울은 장마권에 들고
다시는
다시는 종로에서 깃발 군중을 기다리지 마라
기자들을 기다리지 마라
비에 젖은 이 거리 위로 사람들이 그저 흘러간다
흐르는 것이 어디 사람 뿐이냐
우리들의 한 시대도 거기 묻혀 흘러간다
워, 워......
저기 우산 속으로 사라져 가는구나
입술 굳게 다물고 그렇게 흘러가는구나, 음.....
비가 개이면
서쪽 하늘부터 구름이 벗어지고
파란 하늘이 열리면
저 남산 타워 쯤에선 뭐든 다 보일게야
저 구로 공단과 봉천동 북편 산동네 길도
아니, 삼각산과 그 아래 또 세종로 길도
다시는,
다시는 시청 광장에서 눈물을 흘리지 말자
물 대포에 쓰러지지도 말자
절망으로 무너진 가슴들 이제 다시 일어서고 있구나
보라, 저 비둘기들 문득 큰 박수 소리로
후여, 깃을 치며 다시 날아오른다 하늘 높이
훠이, 훠이... 훠이, 훠이...
빨간 신호등에 멈춰 섰는 사람들 이마 위로
무심한 눈빛 활짝 열리는 여기 서울 하늘 위로
한무리 비둘기들 문득 큰 박수 소리로
후여, 깃을 치며 다시 날아오른다. 하늘 높이
훨, 훨, 훨.....
정태춘은 87혁명을 노래한 가수입니다. 위의 노래 이외에도 많은 노래가 있습니다. 김민기의 아침이슬이나 상록수와 또다른 결의 운동가요가 많습니다. 알리라는 가수를 좋아해서 그의 노래를 듣는데 저 노래가 들렸습니다. 무언가 관심을 끄는 부분이 있어서 정태춘이 부른 노래를 다시 들어 보았습니다. 몇 가지 의문과 저 노래가 사람을 끄는 포인트 같은 것이 생각났습니다.
1. 정치적 배경
1992년은 노태우 대통령의 말년입니다. 1993년 부터는 김영삼 대통령의 시대가 열립니다. 노태우 대통령은 김영삼과 김대중이 ‘서울의 봄’을, 서로 경쟁하느라 깨먹는 바람에 당당하게 선거로 당선된 대통령입니다. 그 당시 두 야당 지도자가 흔쾌히 단합해서 단일 후보 내지 못한 것에 대한 통렬한 반성은 아직도 없습니다. (아직 들어보지 못하였습니다.)
87년의 민주 혁명을 이렇게 도적맞고 5년이 흘렀습니다. 위 가사 제 1연에서의 분위기는 마치 어떤 무거운 것이 시민들의 머리를 누르고 있고, 아직도 군사독재의 음산한 분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일상화 되어서 살고 있는 듯이 그려져 있습니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20년 고생해서 민주화 혁명해 놓고 80년 5월에도, 87년 6월에도 자기 것을 빼앗겨 버린 무능하고 무력한 지도자에 대한 항의의 말부터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경제적 배경.
위 가사에서 경제상황을 짐작할 수 있는 곳은 ‘웬디스 햄버거’와 구로공단입니다. 웬디스 햄버거는 아마 외국 자본을 상징하는 것 같고 구로공단은 저임금 경공업 노동자를 상징하는 것 같습니다. 다른 곳에서 찾아보니 1992년 우리나라 일인당 국민소득은 8,900불(일본은 약 35,000불)입니다. 1972년에는 약 400불이더군요. 약 20배 정도 경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그 때 들어온 자본이 모두 외국자본이었고 외국의 이익을 위하여 투자되었다고 말하면 당시에는 선각 지식인 취급 받았습니다. 같은 논리라면 등소평이 중국을 개혁 개방해서 중국 역사상 최고의 번성기를 만들어 놓은 지금의 중국 정치, 경제를 설명하지 못합니다.
구로공단으로 상징되는 저임금 노동 문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 세계 무대에서 경쟁하여 외화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겪을 수 밖에 없는 경제 발전의 과정이었지요. 산업 혁명을 겪은 모든 나라가 고민했던 문제입니다. 자본가는 악, 노동자는 선.이라는 이분법을 들이댈 수는 없다는 것이지요.
3. 눈물과 물대포 그리고 비둘기
노래는 점점 클라이막스로 올라갑니다. 다시는 시청앞 광장에서 눈물 흘리지 말고, 물대포에 맞지도 말자고 합니다. (이런 글을 쓰노라니, 페퍼포그 발사관을 맨 손으로 잡고 경찰과 싸우다 손바닥에 화상 입었던 젊은이가 어깨 뒤에서 화면을 보고 있는 것을 느낍니다.)
훌륭한 결심입니다. 그러나 “어떻게”가 빠져 있습니다. 빠져 있는 것은 “어떻게”만이 아닙니다. “어디로” 혹은 “무엇을 위하여“도 빠져 있습니다.
방향없는 민중 운동, 방법 없는 민주화 운동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비둘기는 힘차게 날아오르지만 어디로 날아갈지 모릅니다. 햄버거 집 간판 위에 앉지도 못하고 구로공단을 지나 남해안 조선소로 가지도 못합니다.
비둘기가 공중에서 선회만 하던 지난 30년 우리나라는 반도체, 방산, 정밀기계 등등에서 세계 최고가 되었고 무역량 세계 6~7위 국가가 되었지요.
4. 비둘기는 어디로 날아올라야 하나?
비둘기는 어디로 날아가야 할까요? 공정한 부의 분배. 사람값 높은 사회, 무엇으로도 차별 없는 사회, 등등 아직도 어려운 문제는 많습니다.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둘기는 계속 하늘로 날아올라야 합니다.
적어도 지나가는 사람들의 손에 이유없이 돌 하나씩 쥐어주면서 아무데나 던지라고 선동하는 일부터 없어져야 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