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온수ONSU Oct 26. 2022

산천어축제 위법인가 생계 노동인가

 화천군과 동물보호단체 토론회


2020년 동물보호단체 '동물을 위한 행동' 전채은 대표와 강원번영회 정준화 회장이 산천어 축제 동물학대 논란을 두고 토론을 진행했다. (비디오머그, 2020년 2월 17일자) 전채은 대표의 3가지의 학대적인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첫 번째는 맨손잡이, 두 번째는 얼음낚시 세 번째는 밀집사육과 절식이다. 산천어들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기존 양식장보다 훨씬 더 좁은 곳에서 밀집사육되고 그곳에서 배설물이 덜 나오게끔 절식을 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동물보호법상 보호의 범위는 척추동물이기 때문에 사실상 어류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반대 측 입장은 동물복지법상 개와 고양이 등을 대상으로 하는 건 학대라고 볼 수 있지만 양식인 물고기를 학대라고 볼 순 없다고 했다. 반면에 동물보호협회에서는 식용과 동물실험은 허용할 수 있지만 오락과 유흥에 동물을 이용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선진국인 미국, 캐나다, 호주와 유럽 대부 나라에서는 '낚시 면허제'가 있는데, 그 내용으로는 낚시 시험 통과, 벌점제 운영, 어종에 따른 어획량, 사용도구 제한, 면허증 휴대의무 등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산천어축제에 참가한 어린이 같은 경우엔 낚시를 모르니 물고기를 밟고 고통스럽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결국 외국의 사례처럼 우리나라도 차라리 낚시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을 받아야한다는 의견이었다. 강원번영회 정준화 회장은 지역 특성상 물고기를 주제로 한 축제가 많기 때문에 어떠한 대책방안 없이 화천 산천어 축제만 학대라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화천에 산천어 축제 외에 다른 축제로 대체할 수는 없겠냐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강원도 지역 특성상 거친 산과 바다를 가졌지 때문에 다른 축제를 할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이에 동물보호단체 측은 생명을 착취하지 않고 환경을 생각하는 축제로 개선해나갔으면 좋겠다고 하면서 토론은 마무리가 되었다. (https://youtu.be/A4yTp4zDoOw)  




산천어 축제, "동물에게 고통" vs "지역경제 효자": 네티즌의 반응


"고기나 생선을 먹는 게 잘못이라는 것이 아닌, 오락을 위해 사육되면서 쫄쫄 굶기다가 인간의 낚시밥을 물게 하면서 살육하는 컨셉이 잔인한 것이다. 그 생명을 남용하고 착취하는게 문제인거지, 이건 생태계의 법칙이 아닌, 생명체에 대한 존중이 없는 인간의 이기주의일 뿐이다. 모든 생명은 소중하고 다 같이 조화롭게 살아야 하는데.."

"식량으로 생각하는 생물에게 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는 순간 이 세상에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잡식성인 이상 다른 생물의 생명을 빼앗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기 때문에 그들의 희생에 감사하는 것이 제일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원래 그 시즌에 그곳에 산천어가 많이 살기 때문에 사람이 와서 낚시도 하고 체험도 할 수 있다면 지역 특징을 살린 축제하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축제를 위해서 수많은 고기들은 일부러 양식 후 축제 기간에 물고기를 풀어서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잡게 만든다면 학대 혹은 학살이라는 시선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산천어 및 산천어축제에 관한 논쟁과 담론은 지역축제에서 인간-산천어의 관계가 어떠한 논리와 목표에 근거하여 설정되며, 산천어의 존재론적 위치가 어떻게 상정되는지를 보여준다. 즉, 이질적인 행위자의 연결, 해체, 배치를 통해 복수의 생명정치가 만들어지고, 이들 생명정치가 다양한 측면에서 타협하는 과정에서 산천어의 존재론적 의미가 형성된 것이다. 다수의 생명정치의 장은 서로 타협하거나 마찰하며 정치생태학적 논의를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는 인간・비인간 행위자와 기술, 담론, 실천 등이 관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변화의 흐름 속에서 산업, 축제, 담론은 (재)형성된다. 산천어는 생명정치 안에서 ‘판매될 상품으로써의 산천어,’ ‘유희의 대상 혹은 먹을거리로서의 산천어,’ ‘고통받지 않을 권리를 지닌 생명체로서의 산천어’ 등 다양한 존재로 위치하였다. 물론 초기에 산천어는 ‘양식 산천어’로서 야생 산천어-인간의 관계와는 다른 관계적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결론적으로 산천어를 ‘정치적 존재’로 규정하려는 생명정치와 그 명확한 논리 및 목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논리와 인간-동물의 관계 설정은 동물복지론과 동물권리론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궁극적으로 동물 학대 방지라는 목표를 공유한다. 동물복지론은 인간이 동물을 위해 복지를 제공할 의무와 책임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반면 동물권리론은 종차별주의(speciesism)를 거부하며 윤리적・도덕적 기준을 동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에게 평등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7권 제2호(2021)

이전 08화 식용동물은 고통스럽게 죽여도 괜찮나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