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린 May 04. 2024

호주의 거리두기, 우리 좀 가까워지면 안 되나요?

호주 살이를 하면서 나도 모르게 익스큐즈 미~ 하는 버릇이 생겼다.

조금만 사람 간 거리가 가까워지기라도 하면 익스큐즈미~ 혹은 고개를 약간 숙이게 되었다.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으나 호주를 살며 생긴 후천적 버릇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을 돌아오고선 그럴 일이 없어졌지만)


한국과는 다르게 호주에선 (아마 서양권에서는 그런 듯하다) 옆, 앞을 지나갈 때 사람이 가까이 있으면 익스큐즈미와 약간의 고개를 숙이며 지나가는 문화가 있다. 어디서 어떻게 유래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마 너무 가까이 있다는 게 서로의 마음의 거리와 비례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하다.


'우리는 모르는 사이잖아요. 너무 가깝습니다.' 하는 것만 같았다.


아무래도 가까워지면 체취와 열기를 풍기게 되고 낯선 이에게 나의 체취 또는 열기를 풍기는 건 어쩐지 선을 넘는 것 같아서인지도 모르겠다. 호주에서 살면서 나는 빠르게 문화를 받아들이는 사람이었다. 한국에서 나고 자라면서 체득한 문화는 조금 접더라도 호주에 있는 동안만큼은 내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한 현지인으로 살아보자!라는 게 내 모토였던 것 같다.

늘 여행이나 살이를 할 때면 난 그 나라에 맞게 살다가는게, 알아가는 게 좋다. 짧은 시간이라도 현지음식을 현지인방식처럼 즐긴다거나, 집 앞 놀이터를 놀러 온 것 마냥 놀다 가는 게 좋다. 여행지에 갔다고 너무 화려하게 꾸미는 건 어쩐지 나에게 맞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중국살 때는 한국인이냔 소리를 듣지 못했다.)


호주에 살동안 나는 모르는 사람옆 혹은 앞으로 지나가야 할 때 익스큐즈미를 내뱉게 되었다. 사람이 오기만 하면 거의 자동로봇처럼 내뱉은 것 같기도 하다 ㅋㅋ 그렇게 한동안 적응을 하다 동양문화를 가진 이민자는 그러지 않는다는 걸 깨달았다. 그때마다 나는 속으로 얼른 익스큐즈미를 하세요!라고 느낄 뻔도 했다. 어쩐지 가까운 거리에 익스큐즈미를 하지 않는 게 예의에 어긋나 보이기까지!


이내 나 또한 그 문화가 생소했고 어쩐지 동양, 서양문화가 다르다는 게 이런 곳에서 나타나는 건가 싶기도 했다. 그렇지만 꼭 그들 문화를 따라야 하는 건 아니다. 이미 호주는 다문화 국가일뿐더러, 흔히 말하는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라는 것들이 그다지 맞지 않는 나라가 된 것 같다. 서로의 존중이 필요할뿐


또 이렇게 분류하는 건 의미가 없다. 앞서 말했듯 이미 다문화국가로 백그라운드는 동양권일지라도 서양권에서 나고 자란 이들은 복합적 문화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이건 내가 서양권에서 자랐기 때문에~ 혹은 동양권 문화를 가진 부모밑에서 자랐기 때문에~라며 그때마다 나눌 수도 없는 노릇인 것이다.


외국인들이 보는 한국인 문화는 어떨까?

아참, 친구의 외국인남편에게 들은 한국인 특징 중 가장 인상 깊은 것은 무표정이라고 했다. 지하철, 버스를 타도 다들 눈을 마주치기는커녕, 각자의 할 일을 하고 붐비는 곳에서 어깨를 부딪혀도 다들 어떠한 말없이 자기 길을 간다는 것이다. 괜시리 우리나라 사람들은 여유가 없고 늘 바쁜것만 같아서 마음 한켠이 시렸다.


나도 그런 사람 중 하나였고 그런 상태로 호주에 갔다 자주 눈을 마주치고 웃어주는 사람들 때문에 한참 진땀을 뺐었으니까. 같이 미소를 날려야 할 텐데 너무 어색했다. 플러팅같이 느껴지거나 그 짧은 시간이 너무도 어색했다. 하지만 현지인처럼! 마인드였던 나는 조금씩 미소를 지으려 노력했다. 낯선 이에게 잘 지어지지 않는 웃음을 지어보며 어느새 자연스럽게 미소를 날리고 있는 나를 발견! 이런 점을 보면 익스큐즈미도 어쩌면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에서 나온 문화이겠다. 따뜻한 문화이다.



이전 08화 호주의 스윗한 바디, 랭귀지에 놀라지 마세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