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림 May 17. 2024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밥상


부추 2단을 데려왔다. 여름이 온다는 것은 파릇하고 풍성한 야채 가득 밥상을 맞는다는 증거다. 저렴해진 부추 두 단을 다듬고 깨끗이 씻어 채반에 받쳐 두었다. 찹쌀로 풀을 쑤고 고춧가루, 마늘, 생강, 새우젓, 매실액, 액젓 등을 넣고 간을 맞춘 뒤 양념을 풋내 나지 않게 힘 빼고 슬슬 버무려주면 된다. 아마 부추김치처럼 손도 많이 안 가는 김치는 없을 것 같다. 바로 먹어도 괜찮고 살짝 익힌 뒤 먹어도 좋다.


부추를 다듬을 때면 부추 부침개 타령을 하는 남편이 있다. 계절에 상관없이 매번 눈에 띄는 부추는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부침개를 꼭 먹어야 한다고 우기기 일쑤다. 자라면서 밭에서 뽑아다 살짝 무쳐먹고 부쳐먹는 게 일상이었을 텐데 매번 밭에서 베어 먹던 맛이랑 같을 순 없다. 깨끗이 손질된 부추를 사면 손이 덜 가지만 매번 그렇지 않으니 때론 귀찮기도 하다.


서울 사람인 나는 부모님 고향이 강원도라 메밀과 투박한 음식을 자주 접했지만 남편은 신선한 밭 야채가 듬뿍 들어간 찬을 좋아한다. 부추김치를 먹어본 적이 없어 몰랐는데 매번 무뚝뚝하고 감정 표현을 할 줄 모르시던 시어머니가 유일하게 내게 알려주신 음식이다. 아들에게 잘 담가주라는 신호로 알아채고 배워서 나도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다.


음식이라는 매개체는 그 사람을 떠올리고 생각나게 하는 마법이 있다. 같이 밥 먹고 나눴던 이야기나 풍경, 분위기와 온도가 피어나 추억을 불러온다. 때론 기억에서 꺼내고 싶지 않은 일도 세월이 지나고 나면 그리움이라는 포장으로 좋았던 기억으로 남기도 하니 그 속엔 음식이라는 매개체가 있기 때문이다. 평소 좋은 말이나 칭찬, 살가운 정을 가득 담아 말할 줄 몰랐던 시어머니는 부추김치를 담글 때만큼은 내게 소환되고 살아난다. 그래서 음식은 그 사람을 생각나게 하는 기억의 꼬투리가 된다.


익어가는 부추김치 한 젓가락 가득 떠서 밥 위에 올리면 고기반찬 없이도 밥 한 그릇 뚝딱 해치우게 된다. 알싸하고 뒤에 오는 향긋하지만 달큰 부추 맛에 입 냄새가 나는 줄도 모르고 연신 집어먹게 되니까. 라면이나 국수 위에 올려먹으면 파김치가 저리 가라 할 맛이다. 밥을 부르는 맛이라고 할까. 익어갈수록 기운 빠지고 부피가 작아지지만 맛은 깊어지니 곰삭은 맛을 금방 불러오기도 한다.


여름이 다가오는 소리는 밥 먹는 소리다. 밥상에서 익어가는 각종 김치며 장아찌, 파릇하고 싱싱한 물기 머금은 야채를 가득 올릴 수도 있고 생으로 먹고 겉절이며 갖가지 반찬으로 태어나기도 한다. 그런 계절이 다가왔음을 알리는 것은 밥상으로부터 시작이다. 옷차림이 얇아지고 짧아지는 것 못지않게 몸도 마음도 가벼워지는 먹거리들이 즐비하니 계절은 밥상으로부터 시작되고 있다.



#부추김치

#여름밥상

#부추

#부추부침개

작가의 이전글 산책의 위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