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진 Jul 20. 2022

금발 반대 3

마블 시리즈의 ‘로키’를 통해 보는 영화의상

*<로키>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여러 편의 영화를 거치며 영화의상으로 표현된 로키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침내 처음 글을 쓰게 만든, 문제의 드라마 <로키>에 다다랐다. 드라마 속 등장인물의 의상을 살펴본 후, 어째서 금발의 로키가 마블에 등장하게 된 것인지, 필자는 왜 이를 납득할 수 없는지에 대해 몇 자 적어보겠다.



<로키>


 이 드라마는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어벤져스> 결말 시점에서 도망가는 데 성공한 이후, 정해진 역사대로 행동하지 않아 시간선을 어지럽힌 죄로 TVA라는 단체에 체포된 로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로키는 자신과 같은 죄로 잡혀 온 다양한 모습의 평행세계 변종 로키들을 만나게 된다. 이때 변종은 시간선을 어지럽힌 이들을 드라마상에서 칭하는 명칭이다.


 드라마상의 만남을 통해 로키는 자기 내면과 본질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가지각색의 로키들의 모습은 각 로키의 특징을 드러낸다.


 주인공인 로키와 조연 모비우스와 유사한 TVA에서 배부한 유니폼을 입는다. 기본적으로 셔츠와 바지, 재킷으로 이루어진 복장으로 기존 로키의 의상보다 훨씬 단순하다. 이는 시청자들을 로키의 본질에 집중시키고 그가 내면으로의 여정을 떠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함이었다고 제작자는 밝혔다.


 로키가 금방 VARIANT(변종)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재킷을 잃어버리는 것도 마찬가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로키는 자신을 일평생 아웃사이더, 별종으로 여기며 살아왔다. <토르>에서 자신이 돌연변이 서리거인이었음을 알게 된 것은 이러한 자기규정을 더욱 공고히 했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조력자와 평행세계의 자신을 만나며 자기를 돌아보게 되었고 새롭게 자신을 규정할, 혹은 규정하지 않을 기회를 얻게 되었다.


 주연 로키의 의상은 드라마의 테마와 스토리 또한 표현한다. 셔츠의 어깨 부분에 가로로 절개선을 넣어 만든 장식인 요크는 일본의 일부 패턴 제작자들이 사용하는 종이접기 방식을 응용해 제작되었다. 이는 비트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종이 접기의 특성이 기존의 것들을 비튼 드라마의 전반적인 디자인과 스토리의 특성과 부합한다고 의상 디자이너가 생각했기 때문이다.


 바지에는 1950년대의 빈티지 직물인 샤크스킨 원단이 사용되었다. 이 천은 로키의 대표적 색깔인 초록색과 함께 갈색을 반사한다. 갈색은 TVA라는 단체가 미스터리한 동시에 친절하게 보이게 한다. 이 색은 황동 빛 금속과 나무로 이루어진 TVA의 시설과도 조화를 이루어 인물의 소속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로키를 비롯한 TVA의 직원들이 입는 유니폼은 이 단체가 사람들을 본래 있던 곳으로부터 분리해내고 개성과 자유의지를 억압한다는 것을 표현한다. 동시에 이 옷은 드라마의 누아르적 분위기를 살리기도 한다.


<로키> 속 로키와 모비우스


 이 유니폼의 또다른 특징은 로키의 기존 복장을 계승한 요소가 특별히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로키의 이미지 컬러를 고려해 바지 원단이 선택되기는 했다. 그러나 이렇게 선택된 바지를 비롯한 로키의 의상에는 명확히 녹색을 띠는 부분이 없으며, 뿔 달린 투구나 관을 쓰지도 않는다. 오히려 이 두 가지 요소는 로키의 변종들이 입은 의상에서 잘 나타난다.


 이런 새로운 디자인을 택한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추정해보자면, 드라마의 다른 주인공인 로키의 여자 변종 ‘실비’와 이미지가 겹치는 것을 피한 결과인 것 같다.


 원작의 반영, 주요 타겟층, 상업적 이해관계 등의 요소가 작용한 결과 히어로 영화의 비주얼은 유독 캐릭터의 개성적인 이미지에 의존하는 특성이 강해졌다. 이 개성의 어필에는 배우의 외모, 분장, 의상, 각종 소품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한 점을 고려할 때 톰 히들스턴은 캐릭터성을 보여주는 데에 있어 다른 변종 로키들보다 유리한 입지에 있다. 그가 로키를 연기한다는 사실에 관객은 몇 년간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배우가 연기하는 새로운 로키 캐릭터가 등장한다 해도 관객은 그 캐릭터에 적응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제작자는 이 적응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중에게 친숙한 로키의 의상과 그 이미지를 캐릭터에게 사용했으며, 영화뿐만 아니라 원작 코믹스에서도 적극적으로 모티브를 따왔다.


 변종 로키들 중 코믹스에서의 이미지가 제일 잘 나타난 캐릭터는 ‘클래식 로키’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만화책 속 캐릭터는 옛날의 복장이 현대적으로 변형되었으며, 그 의상이 다시 영화에 맞춰 현실적으로 재해석되었기에 코믹스의 첫 등장 때 복장과 영상매체 속에 나오는 복장이 꽤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클래식 로키는 만화책에 처음 나올 때와 거의 똑같은 모습으로 드라마에 나온다. 관객은 옛 만화책 속 로키가 드라마로 걸어 나온 듯한 인상을 받게 된다. 의상의 빈티지 직물과 다소 촌스럽고 우스꽝스러운 디자인은 온갖 것이 뒤섞이고 혼란스러운 드라마 후반부를 대표하는 듯하다.


 그밖에도 코믹스 속 아이 모습 로키의 복장(관, 후드, 허리띠 형태)과 영화 속 로키의 의상(가죽 재질 소매, 어두운 녹색 사용, 머리카락을 노출함)을 적절히 섞은 ‘키드 로키’, 특유의 뿔 달린 투구를 쓴 ‘악어 로키’ 등이 드라마에 등장한다.


<로키> 속 클래식 로키(좌)와 만화 속 로키의 첫 등장(우)
<로키> 속 키드 로키(좌)와 만화 속 소년 로키(우)


 그렇다면 실비의 의상은 어떨까. 맨 위에 걸친 후드의 안감은 초록색이다. 상의는 가죽옷에서 갑옷으로 바뀌었지만, 목 부근의 U자 형태 금속과 V자 무늬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팔 부분에는 가죽이 쓰였다. 어깨에 덧대어진 가죽은 기존의 어깨 갑옷을 계승했다. 한쪽 뿔이 부러진 관은 실비가 여러 시간대를 거치며 계속해 TVA와 싸워왔음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로키의 기존 의상과 굉장히 유사하지만 더욱 전투에 특화되어 있다.


 <토르> 속 로키 갑옷의 예식성이 로키의 관심을 상징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비의 이 디자인은 TVA에 대한 실비의 반감을 짐작하게 하며 드라마 결말 부 실비의 행동에 더욱 설득력을 불어넣어 준다.


 그 외의 가장 눈에 띄는 실비와 기존 로키와의 디자인 차이점은 머리카락 색으로 로키와 달리 실비는 금발이다.


<로키> 속 실비


 어째서 이러한 차이가 생긴 것일까. 주변인들과 이에 관해 대화하던 중, 토르 및 프리가와의 시각적 연관성을 형성하기 위함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실비는 어린 시절 TVA에 의해 납치당한 후 아스가르드로 돌아가지 못하고 가족과 떨어져 살았다. 주연 로키의 캐릭터성의 큰 한 축을 담당하는 것은 형에 대한 열등감이지만 실비는 토르와 비교받으며 자랄 일이 없었다. 이로 인해 토르와 프리가와 같은 긍정적인 성격 요소를 실비가 가질 수 있었던 것을 머리카락 색을 통해 표현한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깊은 유대감을 가지고 있던 프리가, 지속해서 대립하지만 결국 우애를 되찾은 토르와 더불어 실비 또한 로키에게 큰 파급력을 끼치는 인물이라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상당히 설득력 있는 이론이다.


 이밖에 드라마 속 실비라는 캐릭터는 원작 코믹스의 ‘인챈트리스’라는 금발 캐릭터를 일부 섞은 인물이라는 점도 디자인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드라마에 잠시 나오는 어린 시절의 실비는 훨씬 어두운 색의 머리카락이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의 블랙 위도우처럼 위장을 위해 금발로 염색했다는 설정일 수도 있다.


 원인이 무엇이든, 결과적으로 실비는 너무 토르랑 닮았다. 머리색뿐 아니라, 극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가는 인물이라는 점도 비슷하다.


 본래 토르 시리즈의 조연으로 시작한 캐릭터가 이번 드라마에서 처음으로 주연을 차지한다는 것을 기대하고 있던 팬들 입장에서는 실망스러운 사실이다. 엄밀히 따지자면 실비 또한 변종 로키의 한 명이므로 로키가 주인공인 것이 맞기는 하지만, 아예 실비라는 새로운 이름까지 붙어있으니 다른 캐릭터로밖에 느껴지지 않는다.


 드라마의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아예 로키와 실비는 다른 인물로 취급할 것이라 못 박았다면 로키의 비중 때문에 아쉬움은 생겼을지언정 새로운 캐릭터를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드라마에는 계속해서 로키와 실비를 같은 인물로 취급하는 장면이 나온다.


 기차에서 두 사람이 서로의 공통점에 관해 대화하는 장면이 있고, 둘은 드라마의 하이라이트에서 같은 마법을 쓴다. 심지어 두 사람이 사랑에 빠진 것을, 제작진은 극 중 인물의 입을 빌려 자기애라고 표현한다.


 다른 세계의 인물일지언정, 두 사람은 같은 사람이라 묘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조는 <문나이트>(이중인격 주인공),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다른 세계에 사는 4명의 주인공) 등에서도 이어진다.


 정리하자면, 마블은 로키와 실비의 공통점을 강조하고 싶은 것 같기는 하다. 하지만 드라마에서 묘사된 두 사람의 캐릭터가 너무 달랐고, 실비가 기존 주연이었던 토르의 위치를 대체해 로키는 뒷전이 됐다는 느낌이다.


 그 외에도 멀티버스라는 소재에만 치중해 캐릭터들의 서사 전개에는 소홀하다는 것 등의 문제가 합쳐져 드라마가 축을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흔들리는 느낌이 들었다.


 차후 나오는 드라마와 영화는 이런 문제가 개선되기를 바랄 뿐이다.

 


마치며


 영화 의상은 한 캐릭터의 심리와 행동의 변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유기성을 부각한다. 시각적이며 직관적으로 다른 캐릭터와의 관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공간적 배경에 캐릭터를 녹아들게 하거나, 영상매체의 테마와 캐릭터를 조화시키는 데에도 영화 의상은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상을 분석하는 것은 캐릭터의 특성과 상태를 알아보는 것에, 더 나아가 영화를 해석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다른 영상매체 속 의상에도 관심을 기울여 보는 것이 어떨까. 더 풍부한 해석의 장이 펼쳐질 것이다.



출처

Charlie Wen(@imcharliewen) • Instagram 사진 및 동영상, 2022.02.16. 검색.

Anthony Francisco(@anthony_francisco_art) • Instagram 사진 및 동영상, 2022.02.19. 검색.

Tom Hiddleston Fashion: Loki: the God of Style (2011-2019), 2022.02.17. 검색.

27 Mind-Blowing Details About Loki's Costumes, 2022.02.18. 검색.

Fabricating the Gods: Wendy Partridge talks about Thor: The Dark World, 2022.02.19. 검색.

Loki Costume Designer on TVA Uniform Inspirations and Tom Hiddleston's Pants, 2022.02.20. 검색.

Loki Costume Designer Christine Wada Breaks Down The Secrets Of The Show's Wardrobe - Exclusive Interview, 2022.02.20. 검색.

이전 07화 금발 반대 2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