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ing garden in canvas
유명인사들의 NLP
(Neuro-Linguistic Programming)
신경언어프로그래밍
아시나요?
내 마음 가꾸기 _ 'Healing garden in canvas'는 NLP기법 중 한 가지를 활용한 미술활동입니다.
유명한 운동선수 또는 미국 대통령들 대부분이 NLP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손바닥을 보이면서 사람들에게 인사하는 것도 NLP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나에게 총을 겨눈다면 우리는 손을 번쩍 들어 항복을 하게 되지요. 항복이란 것은 '나는 너의 편입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한 나라의 대표가 사람들에게 손바닥을 펴서 보이는 '행동은 나는 당신들의 편입니다!'라는 의미를 전달하게 되지요. 이 밖에도 NLP의 여러 기법들은 우리의 인생에서 좋은 영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우리도 유명인사들이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NLP기법들을 활용해 볼까요?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연설을 할 때 특정한 손동작과 목소리 톤을 활용했습니다. 중요한 말을 할 때 오른손을 살짝 펴고 앞으로 내미는 동작을 반복했죠. 이 동작은 청중에게 신뢰감을 주고 그의 메시지를 더욱 강하게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앵커링(Anchoring)’ 기법입니다. 덕분에 그는 연설을 할 때마다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마이클 조던은 경기 전 슛을 놓쳤던 장면이 떠오를 때마다, 즉시 성공하는 장면으로 바꾸어 떠올리는 ‘스위시 패턴(Swish Pattern)’을 활용했습니다. 그는 실패의 이미지를 머릿속에서 빠르게 지워버리고, 자신이 완벽한 슛을 넣는 모습을 상상하며 집중력을 극대화했죠. 이 덕분에 그는 중요한 순간마다 침착하게 최고의 실력을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은 대화를 나눌 때 상대방의 자세, 말투, 심지어 숨 쉬는 속도까지 자연스럽게 맞추는 ‘미러링(Mirroring)’ 기법을 사용했습니다. 이를 통해 상대방에게 “이 사람은 나를 잘 이해하고 있다”라는 느낌을 주었고, 강력한 대인관계 능력을 발휘했습니다. 실제로 그와 만난 사람들은 “빌 클린턴과 대화할 때는 마치 내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 된 것 같았다”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내 마음의 정원 가꾸기도
NLP의 기법 중 한 가지입니다.
내 마음 정원(Mind Garden):
자신이 원하는 감정 상태를 정원처럼 시각화하고 가꾸는 기법으로, 심리 안정과 자기 치유에 도움을 줍니다.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 신경언어프로그래밍)는 인간의 사고(Neuro), 언어(Linguistic), 행동(Programming) 패턴을 연구하여 목표 달성을 돕는 기법입니다. NLP는 자기 계발, 커뮤니케이션, 심리치료 등에 활용됩니다.
마음정원은 우리의 내면을 하나의 정원으로 비유하는 개념으로, 생각과 감정이 씨앗이 되고, 경험이 햇빛과 물이 되어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NLP(신경언어프로그래밍)는 언어와 신경 패턴을 활용하여 내면의 정원을 가꾸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긍정적인 사고 강화 NLP 기법을 활용하면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마음정원에 건강한 씨앗을 심을 수 있습니다.
감정 조절 능력 향상 NLP의 앵커링 기법을 사용하면 특정 감정(예: 평온함, 자신감)을 필요할 때 바로 떠올릴 수 있어 감정 조절이 쉬워집니다.
스트레스 완화 NLP의 시각화 기법을 통해 마음정원을 평화롭고 조화롭게 정돈함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자기 신뢰와 동기 부여 부정적인 신념을 재프로그래밍하고, 자신의 가능성을 극대화하여 자아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마음정원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돌볼 때 더욱 아름답게 피어나며, NLP는 이를 위한 효과적인 정원 가꾸기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종이로 완성하는 내 마음정원 그리기와 만들기 방법
나 혼자, 가족과 함께, 나의 아이와 함께 해볼까요?
스케치북에 내 마음을 정원으로 표현해 봅니다.
두꺼운 스케치북에 다시 정원의 구성요소를 하나하나 그리고 가위로 오려줍니다.
클래이 또는 풀등으로 정원을 입체적으로 꾸며줍니다.
주기적으로 나만의 정원을 다시 가꿔봅니다.
박진경작가의 조언:
정원에 예쁜 휴지통을 준비하세요.
내 마음 정원에 나를 힘들게 하는 무언가가 들어온다면
영원히 사라지는 휴지통에 버리세요!!
모두 사라진다. 마법처럼 마음을 비워봅니다.
NLP 유명 인사
NLP 분야에서 유명한 인물
리처드 반들러(Richard Bandler): NLP 공동 창시자로,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전공한 후 심리치료 기법을 연구하며 NLP를 개발했습니다.
존 그린더(John Grinder): NLP 공동 창시자로, 언어학 교수 출신입니다. 반들러와 함께 NLP의 기본 모델을 정립했습니다.
토니 로빈스(Tony Robbins): 세계적인 동기부여 연설가이자 NLP를 활용한 코칭 기법으로 유명합니다.
폴 매켄나(Paul McKenna): NLP와 최면을 활용한 자기 계발 전문가로, 영국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출간했습니다.
밀턴 에릭슨(Milton H. Erickson): 최면치료의 대가로, 그의 기법이 NLP의 언어 패턴 및 치료 모델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레고리 베이트슨(Gregory Bateson): 인류학자이자 시스템 이론가로, NLP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NLP에는 다양한 기법이 있으며, 자기 계발과 코칭에 많이 활용됩니다.
앵커링(Anchoring): 특정 감정이나 상태를 특정 자극(예: 손동작, 단어)과 연결하여 원하는 감정을 쉽게 불러일으키는 방법입니다.
내 마음 정원(Mind Garden): 자신이 원하는 감정 상태를 정원처럼 시각화하고 가꾸는 기법으로, 심리 안정과 자기 치유에 도움을 줍니다.
미러링(Mirroring): 상대방의 몸짓, 말투, 행동을 자연스럽게 따라 하여 라포(Rapport, 친밀감)를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서브모달리티(Submodality) 조정: 기억이나 감정을 시각, 청각, 촉각 등의 요소로 분석하고, 이를 변화시켜 감정을 조절하는 기법입니다.
리프레이밍(Reframing): 부정적인 경험이나 신념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하여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입니다.
스위시 패턴(Swish Pattern): 부정적인 습관이나 생각을 긍정적인 이미지로 빠르게 전환하는 기법입니다.
모델링(Modeling): 성공한 사람의 사고방식,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모방하여 자기 것으로 만드는 기법입니다.
NLP 기법은 개인의 목표 달성, 감정 조절, 대인관계 개선 등에 효과적이며, 심리 치료, 코칭,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내 마음의 정원을 그려보고 가꾸며
심리 안정과 자기 치유의 효과를 느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