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다시 설계하기
1부: 되고 싶은 나의 브랜드 찾기 (40분)
강의 목표와 방향 소개 (5분)
"이번 시간은 여러분이 되고 싶은 브랜드를 구체화하고, 이를 현실에서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을지 탐구하는 시간입니다."
"내가 되고 싶은 모습과 좋아하는 활동이 어떻게 창업 아이디어로 연결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봅시다."
활동: 미래의 나를 정의하기 (15분)
워크시트 작성:
질문: "5년 후,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기억했으면 좋겠는가?"
"나의 강점, 가치, 관심사를 반영한 이상적인 자기 브랜드는 무엇인가?"
예시: "다양한 문화를 연결하는 창의적인 기획자",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공감 전문가."
짝 토론: 작성한 내용을 짝과 공유하며 피드백 받기.
미니 강의: 브랜드와 정체성 확립하기 (10분)
브랜드는 행동이다: 나의 가치와 강점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표현되어야 함.
브랜드 비전과 미션:
비전: 내가 되고 싶은 모습.
미션: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금부터 할 행동.
브랜드 스토리의 힘: 스토리가 브랜드를 더 매력적으로 만든다.
활동: 브랜드 비전 선언문 작성 (10분)
"나는 __ 사람으로 성장하고 싶다. 이를 위해 __을 실천하며, __에 기여할 것이다."
참가자들이 비전 선언문을 작성하고 공유.
2부: 내가 하고 싶은 취미와 활동 찾기 (30분)
활동: 흥미 탐구하기 (10분)
질문 리스트 제공:
"내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몰두했던 경험은?"
"내가 하고 싶었지만 아직 시작하지 못한 활동은?"
"사람들이 나에게 칭찬하거나 조언을 구하는 것은?"
참가자들이 3~5가지 활동이나 취미를 적고, 이를 간단히 정리.
미니 강의: 취미를 브랜드와 연결하기 (10분)
취미의 의미: 단순한 여가 활동이 아닌, 나를 표현하고 가치를 더할 수 있는 활동.
취미의 확장성: 취미가 다른 사람에게 가치를 제공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탐구.
예시:
요가 → 요가 강사 → 맞춤형 요가 클래스 창업.
독서 → 독서 모임 리더 → 독서 기반 워크숍 기획.
활동: 취미와 브랜드 연결 맵 작성 (10분)
워크시트 제공:
나의 브랜드 가치와 취미를 연결하는 방법 작성.
예: "사람들과의 소통을 좋아함 → 커피와 대화 모임 운영."
짝과 공유하며 확장 아이디어 논의.
3부: 창업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40분)
미니 강의: 창업 아이디어 도출 원칙 (10분)
문제 해결 기반 창업: 취미나 활동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가치 제공 기반 창업: 내 브랜드와 활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는가?
시장 검토: 이 아이디어에 관심을 가질 사람이 있는가?
활동: 창업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20분)
템플릿 제공:
내가 좋아하는 활동: ______
이 활동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 ______
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가치: ______
실현 가능한 방식: ______
참가자들이 개별적으로 작성한 후, 소그룹으로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확장.
활동: 아이디어 발표 및 피드백 (10분)
참가자들이 각자 가장 매력적인 아이디어 하나를 발표.
다른 참가자들로부터 간단한 피드백 및 추가 제안 받기.
마무리 (10분)
느낀 점 공유
"오늘 활동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나의 모습이나 아이디어는?"
실천 과제 제안
참가자들에게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한 추가 자료 조사 및 작은 실행 계획 작성 권장.
예: "다음 강의 전까지 창업 아이디어와 관련된 책 한 권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