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2. 강의, 다시:나-1

강의 준비를 시작하다

by 고원규 Nov 29. 2024

우연한 기회에 중장년 대상 강의를 기획할 강사 모집이 있어 보다가, 개인적으로 하고 싶은 주제가 떠올라 정리해본다. 실제 강의 모집에 응모할지는 모르겠지만, 아이디어를 계속 발전시키다보면 좀 더 구체적으로 좋은 내용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전체 3가지 주제로 연결된 4주짜리 강의는 "1분짜리 자서전쓰기"-"자기브랜딩 재설계"-"새로운 자기브랜딩을 바탕으로 창업아이디어 도출 및 실현"이라는 다소 방대한 범위를 다룬다.


첫번째 주는 다음과 같이 구성해보았다.


목적: 참가자들이 자기 성찰과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도록 유도


1부: 도입 (30분)

강의 목표 소개

            "이 강의는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간결하고 의미 있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입니다.          


활동: 나를 표현하는 단어 3가지

            참가자들에게 자신을 나타내는 3가지 단어를 생각해보고, 짝과 나누도록 요청.          

            이를 통해 간단한 자기 탐구를 시작.          


2부: 자기 이해와 스토리 구성 (40분)


자기 이해를 돕는 질문 제공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에게 가장 영향을 준 사건은?", "내가 가장 자랑스러운 순간은?" 등.          


미니 강의: 자기 이해와 스토리 구성 (40분)

1. 자기 이해를 돕는 질문 (10분)

활동: 질문 탐구하기

참가자들에게 A4 용지나 노트를 나눠주고, 아래 질문을 화면에 띄우거나 배포합니다.

            “내 인생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준 사건은 무엇인가요?”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요?”          

            “내가 가장 힘들었던 순간은 무엇이었나요, 그리고 그때 나는 어떻게 극복했나요?”          

            “내가 가장 자랑스러웠던 순간은 언제였나요?”          

5~7분 동안 참가자들이 각 질문에 대해 간단히 적어보도록 합니다.

            짝 토론: 옆 사람과 한 가지 질문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나누기.          


2. 좋은 스토리의 요소 소개 (10분)

강의 내용:

스토리의 기본 구조

            시작: 이야기를 여는 배경이나 문제 상황.          

            전환점: 갈등이나 깨달음이 있는 순간.          

            결말: 배운 점이나 현재의 나로 연결.          


예시: 간단한 자기 이야기를 실제 사례로 보여줍니다.

            예: “저는 어린 시절 내성적이었지만, 중학교 때 연극부에 들어가면서 변화했습니다. 그때 깨달은 것은...”          


활동: 내 이야기의 구조 짜기

참가자들이 자신이 적었던 질문 중 하나를 선택해, 시작, 전환점, 결말로 나누어 짧게 써보도록 합니다.

            예: "시작: 어릴 때 소심했음 → 전환점: 발표 대회에서 용기를 냈음 → 결말: 지금은 자신감 있는 사람이 됨."          


3. 스토리를 의미 있게 만드는 방법 (10분)

강의 내용:

공감 요소 찾기: "이 이야기가 듣는 사람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줄 수 있는가?"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사건이나 감정을 구체적으로 묘사할수록 이야기가 생동감 있게 느껴짐.

            예: “힘들었다” 대신 “그날 밤, 잠들지 못하고 하루 종일 울었다”라고 표현.          

            핵심 메시지 정리: "내 이야기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가치는 무엇인가?"          


활동: 메시지 도출하기

참가자들에게 다음 문장을 완성하게 합니다:

            "내 이야기를 통해 사람들이 느꼈으면 하는 것은 ______이다."          

            이를 통해 이야기의 중심 메시지를 명확히 하도록 합니다.          


4. 스토리 템플릿 작성 (10분)

활동: 템플릿에 따라 초안 작성하기

템플릿 제공:

            시작: 나의 배경 또는 특정 사건 소개 (2~3문장).          

            전환점: 나를 변화시킨 순간 (2~3문장).          

            결말: 그 경험이 현재의 나에게 준 교훈 또는 영향 (2~3문장).          

            참가자들이 자신의 스토리를 템플릿에 맞춰 초안을 작성합니다.          


3부: 작성 및 공유 (40분)

1페이지 자서전 작성하기

            조용한 시간 제공(20분).          

            간단한 가이드: "읽는 사람이 당신을 이해하도록 돕는 이야기를 작성하세요."          


작품 공유와 피드백 (20분)

            희망자들이 자서전을 공유하며 피드백을 주고받음.          


마무리 (10분)

느낀 점 나누기

            "자기 이야기를 작성하면서 어떤 점을 깨달았나요?"          


과제 제안

            자서전을 다듬어 완성하고, 자신의 목표나 비전으로 연결하는 추가 작업 권장.          





이전 10화 1. 실무수습-9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