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준비를 시작하다
우연한 기회에 중장년 대상 강의를 기획할 강사 모집이 있어 보다가, 개인적으로 하고 싶은 주제가 떠올라 정리해본다. 실제 강의 모집에 응모할지는 모르겠지만, 아이디어를 계속 발전시키다보면 좀 더 구체적으로 좋은 내용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전체 3가지 주제로 연결된 4주짜리 강의는 "1분짜리 자서전쓰기"-"자기브랜딩 재설계"-"새로운 자기브랜딩을 바탕으로 창업아이디어 도출 및 실현"이라는 다소 방대한 범위를 다룬다.
첫번째 주는 다음과 같이 구성해보았다.
목적: 참가자들이 자기 성찰과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도록 유도
1부: 도입 (30분)
강의 목표 소개
"이 강의는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간결하고 의미 있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입니다.
활동: 나를 표현하는 단어 3가지
참가자들에게 자신을 나타내는 3가지 단어를 생각해보고, 짝과 나누도록 요청.
이를 통해 간단한 자기 탐구를 시작.
2부: 자기 이해와 스토리 구성 (40분)
자기 이해를 돕는 질문 제공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에게 가장 영향을 준 사건은?", "내가 가장 자랑스러운 순간은?" 등.
미니 강의: 자기 이해와 스토리 구성 (40분)
1. 자기 이해를 돕는 질문 (10분)
활동: 질문 탐구하기
참가자들에게 A4 용지나 노트를 나눠주고, 아래 질문을 화면에 띄우거나 배포합니다.
“내 인생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준 사건은 무엇인가요?”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요?”
“내가 가장 힘들었던 순간은 무엇이었나요, 그리고 그때 나는 어떻게 극복했나요?”
“내가 가장 자랑스러웠던 순간은 언제였나요?”
5~7분 동안 참가자들이 각 질문에 대해 간단히 적어보도록 합니다.
짝 토론: 옆 사람과 한 가지 질문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나누기.
2. 좋은 스토리의 요소 소개 (10분)
강의 내용:
스토리의 기본 구조
시작: 이야기를 여는 배경이나 문제 상황.
전환점: 갈등이나 깨달음이 있는 순간.
결말: 배운 점이나 현재의 나로 연결.
예시: 간단한 자기 이야기를 실제 사례로 보여줍니다.
예: “저는 어린 시절 내성적이었지만, 중학교 때 연극부에 들어가면서 변화했습니다. 그때 깨달은 것은...”
활동: 내 이야기의 구조 짜기
참가자들이 자신이 적었던 질문 중 하나를 선택해, 시작, 전환점, 결말로 나누어 짧게 써보도록 합니다.
예: "시작: 어릴 때 소심했음 → 전환점: 발표 대회에서 용기를 냈음 → 결말: 지금은 자신감 있는 사람이 됨."
3. 스토리를 의미 있게 만드는 방법 (10분)
강의 내용:
공감 요소 찾기: "이 이야기가 듣는 사람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줄 수 있는가?"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사건이나 감정을 구체적으로 묘사할수록 이야기가 생동감 있게 느껴짐.
예: “힘들었다” 대신 “그날 밤, 잠들지 못하고 하루 종일 울었다”라고 표현.
핵심 메시지 정리: "내 이야기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가치는 무엇인가?"
활동: 메시지 도출하기
참가자들에게 다음 문장을 완성하게 합니다:
"내 이야기를 통해 사람들이 느꼈으면 하는 것은 ______이다."
이를 통해 이야기의 중심 메시지를 명확히 하도록 합니다.
4. 스토리 템플릿 작성 (10분)
활동: 템플릿에 따라 초안 작성하기
템플릿 제공:
시작: 나의 배경 또는 특정 사건 소개 (2~3문장).
전환점: 나를 변화시킨 순간 (2~3문장).
결말: 그 경험이 현재의 나에게 준 교훈 또는 영향 (2~3문장).
참가자들이 자신의 스토리를 템플릿에 맞춰 초안을 작성합니다.
3부: 작성 및 공유 (40분)
1페이지 자서전 작성하기
조용한 시간 제공(20분).
간단한 가이드: "읽는 사람이 당신을 이해하도록 돕는 이야기를 작성하세요."
작품 공유와 피드백 (20분)
희망자들이 자서전을 공유하며 피드백을 주고받음.
마무리 (10분)
느낀 점 나누기
"자기 이야기를 작성하면서 어떤 점을 깨달았나요?"
과제 제안
자서전을 다듬어 완성하고, 자신의 목표나 비전으로 연결하는 추가 작업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