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ctantial Models (행위자 모델)
• 알렉산더 J. 그레마스(A. J. Greimas)의 이야기 분석 모델로, 이야기 속의 행위자(actors), 행동(actions), 역할(roles)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기법.
• 예: 영웅과 반대자, 조력자와 과제 등 역할을 구분함.
2. Allegory (우화)와 Parable (비유)의 차이
• 우화(Allegory): 개별 요소가 특정 의미를 갖고, 암호 해독처럼 해석해야 함.
• 예: 《천로역정》(John Bunyan)의 등장 요소들(기름=성령).
• 비유(Parable): 전체적인 이야기로 새로운 이해를 유도하며, 개별 요소는 상징적이지 않음.
• 예: 예수님의 비유 (탕자의 비유 등).
3. Aporia (아포리아, 난해함)
• 해결할 수 없는 철학적 난제나 논리적 모순을 의미함.
4. Code (코드, 해석의 틀)
•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기 위해 공유하는 해석의 틀.
• 예: 언어적 코드, 문화적 코드 등.
5. Concordance (조화) & Discordance (불일치)
• 조화(Concordance): 일관되고 조화로운 이야기 구조.
• 불일치(Discordance):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긴장감, 과거-현재-미래의 불균형을 뜻함.
6. Condensation (응축) & Displacement (이동)
• 응축(Condensation): 복잡한 의미가 압축되어 짧은 표현으로 나타남.
• 이동(Displacement): 상징적 표현이 원래 의미에서 다른 맥락으로 이동함.
• 예: 프로이트(Freud)의 꿈 해석.
7. Critical Theory (비판 이론)
• 프랑크푸르트 학파(Max Horkheimer 등)에서 유래.
• 과학적 방법과 마르크스주의를 활용하여 사회적 억압과 전체주의를 비판.
8. Differend (차이, 해결 불가능한 논쟁)
• 장-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가 정의한 개념으로, 이성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대립.
• 예: 서로 다른 논리 체계를 가진 두 입장이 타협할 수 없을 때 발생.
9. Distanciation (거리두기)
• 텍스트를 해석할 때,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하는 것.
• 해석자가 감정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분석하는 태도.
10. Divination (직관적 해석)
• 슐라이어마허(Schleiermacher)가 주장한 해석 기법.
• 분석보다는 직관적인 통찰을 중시함.
11. Enlightenment (계몽주의)
• 칸트(Immanuel Kant)의 개념으로,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의 자유”를 강조.
12. Extra-linguistic (언어 외적인 요소)
• 언어 자체가 아닌, 실제 세계에서의 의미와 관련된 요소.
• 예: 상징, 몸짓, 맥락 등이 포함됨.
13. Fictional Texts (허구적 텍스트)
• 실재하지 않는 가능한 세계를 탐색하는 이야기.
• 예: 소설, 신화, 비유.
14. Geisteswissenschaften (인문과학)
• 역사, 철학, 신학, 문학 등을 포함하는 독일어 용어.
15. Grand Narratives (거대 서사)
• 마르크스주의, 정신분석학, 기독교 세계관 같은 대규모 역사 해석 체계.
•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거대 서사를 부정.
16. Handbook Culture (설명서 문화)
• 모든 의미가 명확하게 규정된 문화.
• 예: 기술 설명서, 매뉴얼.
17. Hermeneutics (해석학)
• 텍스트와 사회 제도 해석을 연구하는 학문.
• 대표적 사상가: 슐라이어마허, 딜타이, 하이데거, 가다머, 리쾨르.
18. Heteronomy (타율성)
• 외부적 요인(사회, 규범 등)에 의해 결정되는 행위.
19. Historical Reason (역사적 이성)
• 헤겔(Georg Hegel)의 개념으로, 역사를 고려하지 않는 이성은 불완전하다는 주장.
20. Horizon (지평, 이해의 한계선)
• 고정된 입장이 아니라, 새로운 경험을 통해 변화하는 해석의 범위.
21. Incommensurability (비교 불가능성)
• 두 개의 개념이 서로 다른 기준을 가지기 때문에 비교할 수 없음.
22. Intersubjectivity (상호주관성)
• 개인이 아닌, 공동체 속에서 형성되는 지식.
23. Lifeworld (생활세계)
• 인간의 경험적,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는 세계.
24. Metacriticism (비평에 대한 비평)
• 비평의 타당성 자체를 검토하는 학문.
25. Metaphor (은유, 비유적 표현)
• 하나의 개념을 다른 개념으로 전이(Transfer)하여 표현.
• 예: “시간은 돈이다.”
26. Model Reader (모범 독자)
• 글쓴이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독자.
27. Monologic & Dialogic (단일적/대화적 담론)
• 단일적 담론(Monologic): 하나의 입장에서 말함.
• 대화적 담론(Dialogic): 다양한 입장을 인정하고 대화함.
28. Narrative Worlds (서사적 세계)
• 이야기가 만드는 독특한 현실 공간.
29. Objectification (객체화)
• 대상을 단순한 ‘객체’로 바라보는 것.
30. Open & Closed Texts (열린/닫힌 텍스트)
• 열린 텍스트: 다양한 해석 가능 (예: 시, 철학서).
• 닫힌 텍스트: 하나의 명확한 의미만 가능 (예: 설명서).
31. Otherness (타자성)
• 자신과 다른 존재를 인식하는 개념.
32. Overdetermination (과잉결정)
• 하나의 현상이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때.
33. Phenomenology (현상학)
• 주체와 객체의 구분을 넘어서 순수한 경험을 탐구하는 철학.
34. Postmodernism (포스트모더니즘)
• 기존의 보편적 진리를 부정하고, 다원성과 상대성을 강조.
35. Reader-Response Theory (독자반응이론)
• 독자가 의미를 적극적으로 구성함.
36. Referential (참조적 의미)
• 언어가 실제 세계의 대상을 가리키는 방식.
37. Relativism (상대주의)
• 절대적 진리 없이, 모든 진리는 상대적이라는 입장.
38. Semiotics (기호학)
• 기호와 상징이 어떻게 의미를 전달하는지 연구.
39. Speech Acts (화행, 말의 행위적 기능)
• 말이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행위를 수행할 수 있음.
• 예: “나는 너와 결혼하겠다” (약속 행위).
40. Socio-pragmatic Contextualism (사회-실용적 맥락주의)
• 텍스트 해석이 특정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관점.
• Habermas(하버마스)는 이를 사회적 소통 과정과 연관 지었고, Rorty(로티)와 Fish(피시)는 이를 독자의 주관적 경험과 관련지음.
41. Socio-critical Contextualism (사회-비판적 맥락주의)
• 단순히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맥락 속에 숨겨진 이데올로기나 권력 관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법.
• 해방 신학(Liberation Theology) 같은 비판적 해석 방식과 연관됨.
42. Speech Acts (화행, 말의 수행적 기능)
• 언어가 단순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는 개념.
• John L. Austin(오스틴)과 John Searle(설)이 발전시킴.
• 예: “나는 약속한다.” → 말하는 순간 약속이 성립됨.
43. Structuralism (구조주의)
• 의미는 개별 단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언어 체계 전체(구조)에서 결정된다는 이론.
• Claude Lévi-Strauss(레비-스트로스), Vladimir Propp(프로프), Gérard Genette(제네트) 등이 서사 구조 분석에 사용.
• 예: 이야기 속에서 “영웅과 악당”이라는 역할이 항상 반복됨.
44. Sub-codes (하위 코드)
• 특정한 전문 분야나 집단에서 사용하는 특수한 해석 체계.
• 예: 법률 용어, 의학 용어, 종교적 은유 등.
45. Typifications (유형화, 전형화)
• 역사적 연구에서 일반적인 사회적 역할이나 행동 유형을 모델화하는 개념.
• Emilio Betti(에밀리오 베티)가 강조한 개념으로, 개인이 아니라 사회적 역할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
• 예: “전형적인 왕의 역할” 또는 “고전적 영웅의 유형”.
46. Under-coded Texts (부족한 코드의 텍스트, 해석 여지가 많은 텍스트)
• 독자가 해석할 수 있는 정보가 너무 적어서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한 텍스트.
• 열린 텍스트보다 더 모호함.
• 예: “이 글의 의미는 독자가 결정한다.” 같은 모호한 진술.
47. Overdetermination (과잉결정, 다층적 의미 포함)
• 하나의 의미가 여러 개의 원인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 특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 사용됨.
• 예: 꿈 해석에서 같은 장면이 여러 심리적 요인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음.
48. Rationalism (합리주의)
• 경험보다는 이성을 통해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는 철학적 관점.
• 대표적 인물: Descartes(데카르트), Spinoza(스피노자), Leibniz(라이프니츠).
49. Referential (지시적 의미, 참조적 의미)
• 텍스트가 가리키는 실제 대상이나 개념을 의미함.
• 문학에서는 상징이나 은유가 아닌, 직접적인 의미를 뜻함.
• 예: “태양은 밝다.” → 여기서 태양은 실제 태양을 의미함.
50. Relativism (상대주의)
• 절대적 진리나 가치가 없으며, 모든 해석과 판단은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
• 대표적 철학자: Protagoras(프로타고라스), Richard Rorty(리처드 로티).
• 예: “도덕적 진리는 문화마다 다르다.”
관련서적
『WHY HERMENEUTICS?』 _ Anthony C. Thiselton, 2019.